•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Person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8초

역설적 태도 연구에 기반한 상황적 패러다임 모델 구축 (Building Contingency Paradigm Model based on Paradoxical Attitude Study)

  • 이원준;정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12-420
    • /
    • 2010
  • 상품 및 시장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마케팅 대상에 대하여 역설적인 태도를 가지는 현상이 증대하게 되었는데, 이런 역설적인 태도들은 소비자와 상품간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 면접, 근거 이론 등을 활용하여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농식품을 중심으로 이런 역설적 현상들을 발견하고 소비자의 대응 행동 양식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전의 기대나 소비 경험이 역설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로 인하여 가격, 유통, 상품, 촉진 및 소비와 관련한 역설적인 품질 경험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발생된 경험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나 기타 기호, 위험 지각 등 중재적 조건의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소비자들에게 품질 역설과 관련된 상호작용이나 커뮤니케이션을 유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이 이런 역설적 상황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매 최소화, 잉여분 처분, 참여, 품질기대 조정, 품질기준 재정립, 품질정보원 활용 등 다양한 대응 전략들을 촉진하게 된다.

레스토랑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이 브랜드태도, 브랜드애착이 브랜드충성도간의 관계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 Lifestyle on Brand Attitude, Brand Attachment influence upon Brand Loyalty)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2016
  •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태도, 브랜드애착, 행동유형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 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외식업체의 이용경험이 있는 고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 하였고 광주지역 외식업체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라이프스타일과 브랜드태도간의 관계는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적인 성향과 습관적인 행동으로서 브랜드 태도인 인지, 편안함, 친숙한 특징들은 라이프스타일의 유형과 상관없이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과 애착간의 관계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은 브랜드 애착이 현실추구형, 가치지향형, 유행추구형 순으로 유의한 관계가 형성이 되었으나 사교지향성은 브랜드애착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았다. 셋째, 고객의 브랜드태도와 브랜드충성도 관계와 고객의 브랜드애착과 브랜드충성도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유의한 관계가 형성이 되었다.

모바일 광고특성, 개인특성, 구매태도와 구매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 소비자를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bile Advertisement Characteristics, Personal Characteristics, Purchasing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Focus on Youth Consumers-)

  • 배종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03-317
    • /
    • 2020
  • 스마트 폰 보급률의 확산과 다양한 기능의 발달로 모바일 광고라는 새로운 광고매체가 대두되었고, 일과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을 타겟으로 한 다양한 모바일 광고가 활성화 되었다. Z세대로 불리우는 현대사회의 청소년은 연령대 중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이 가장 길고, 경기침체기에도 청소년 소비자는 경기불황을 이겨낼 수 있는 중요한 소비층이기 때문에 이들의 구매력을 목표로 하는 모바일 광고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바일 광고특성과 개인특성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는 다시 구매행동으로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고등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광고특성과 브랜드 선호도에서 편의성의 인식이 높을수록 브랜드 선호도가 높았고, 둘째, 모바일 광고특성과 브랜드 신뢰도는 편의성, 정보성, 오락성의 인식이 높아질수록 수용도에 긍정적인 영향 미쳤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유행추구, 개성추구, 실용추구가 브랜드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구매태도와 구매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매태도 중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신뢰도가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소비자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광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소비자 감성 기반 뷰티 경험 패턴 맵 개발: 화장품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Beauty Experience Pattern Map Based on Consumer Emotions: Focusing on Cosmetics)

  • 서봉군;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1호
    • /
    • pp.179-196
    • /
    • 2019
  • 최근의 '똑똑한 소비자(Smart Consumer)'라 불리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들은 제조사나 광고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기존 사용자나 전문가들의 후기, 여러 과학 지식을 획득하여 제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본인 스스로가 직접 판단하여 구매하고 있다. 특히나 화장품 분야는 인체 유해성과 같은 부정적인 요소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자신의 고유한 피부 특성과의 조화도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과 타인의 경험, 본인의 과거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생각하여 구매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고, 이에 대해서 적극적인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셀프 뷰티' 와 같은 '셀프' 문화의 열풍과 함께, 문화 현상인 '그루밍족'의 등장, 사회적 트렌드인 'K-뷰티' 와도 동행한다고 할 수 있다.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관심의 급부상도 이러한 현상 중 하나라 볼 수 있다. 소비자들의 맞춤형 화장품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화장품 제조사나 관련 기업들은 ICT기술과의 융합을 통하여 프리미엄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 및 시장 현황이 맞춤형 화장품을 향해 진화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피부 상태, 추구하는 감성,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까지 소비자 경험을 전체적으로 완전하게 다루는 지능형 데이터 플랫폼은 부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경험에 대한 지능형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첫 단계로 소비자 언어 기반의 화장품 감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소비자들 개인의 선호나 취향이 분명한 앰플/세럼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매출 순위 1위에서 99위까지의 99개 제품을 선정하여, 블로그와 트위터 등의 SNS 상에 언급되는 후기 내에 화장품 경험에 대한 소비자 감성을 수집하였다. 총 357개의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였고, 고객 여정 워크샵을 통해 유사 감성을 합치고, 중복 감성을 통합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최종 76개 형용사를 구축했다. 구축한 형용사에 대한 SOM 분석을 통해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감성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총 8개의 클러스터를 도출했고, 클러스터 별 각 노드의 벡터 값을 기준으로 소비자 감성 Top 10을 도출했다. 소비자 감성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별 소비자 감성에 서로 다른 특징이 발견됐으며, 소비자에 따라 다른 소비자의 감성을 선호, 기존과는 다른 소비자 감성을 고려한 추천 및 분류 체계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감성 분석의 활용 도메인이 화장품만이 아닌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음 확인했으며, 감성 분석을 통한 소비자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의 방법론의 적용하여 화장품 특화된 감성 사전을 과학적인 프로세스로 구축했으며,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 및 심리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Opt-in Marketing

  • OH, Won-Kyo;LEE, Won-Jun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2호
    • /
    • pp.49-59
    • /
    • 2020
  • Purpose: Online and social media and mobile shopping are increasing and companies are required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non-invasive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s. With the increased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sumers' personal and social concerns about the preven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re also increasing, and in response, personal or opt-in marketing has emerged to compensate for reckless information abuse. Despite the background of this emergence, the existing prior studies are limited to ignoring the negative feelings of consumers in the real world, including only the net function and positive effect of the opt-in mai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framework was intended to utilize the impact of human marketing activities on consumer attitudes combin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attitudes toward permation marketing were presented, such as informality, and perceived risks were presented as negative impact factors. Also, based on previous prior research, the prior factors of opt-in marketing were to present the effect on purchase intent through the medium of attitude toward opt-in marketing. Results: In this study, we used the framework of a two factor theory to address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s a leading factor in the customer attitude toward opt-in mail advertising, and as a result, functionality and personaliz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attitude and perceived risk have a negative impact on customer attitud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stomer attitude formed this way affects the intention to purchase agai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we have demonstrated that marketing, an opt-in marketing that has been recognized as part of marketing that is deployed after obtaining customer consent, has been applied without any other marketing methodology. E-mail advertising at this poin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system safeguards are in place under an opt-in protocol or system, and that even if an e-mail advertisement is carried out, customers will need to look a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risks, and suggests that they need to consider the customer's journey that could lead to purchase at the content level.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수정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The Intention of Using Wearable Devices: Based on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정지연;노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205-212
    • /
    • 2017
  •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주제를 가지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아직 사용경험이 없는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일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기술수용모델(TAM)의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소비자 개인특성(개인 혁신성, 자기효능감, 주관적 규범)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심미성, 호환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개인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췄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296부이며 표본추출은 임의표본추출을 사용하였으며 SPSS 23.0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사용의도에 대해서 지각된 사용,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변수는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TAM, 개인특성, 제품특성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의도를 살펴본 본 연구는 제품의 종류의 특징에 따라 한계가 있음을 다시 확인하였다.

조명환경이 제공하는 MOOD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 조사연구-Coffee Shop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stomer's Mood Preferences Influenced From The Lighting Environment-In Coffee Shop-)

  • 강무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호
    • /
    • pp.16-21
    • /
    • 1995
  • Although it has been suggested that lighting influences our moods, little is known about dimensionality of mood patterns. The knowledge of consumer's mood pattern in lighting condition may provide interior designers with a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lighting design.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moods occuring in lighting conditions. Meanwhile, this examines custom-ers' desired mood type of lighting, and explores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selecting the preffered lighting moods. The result uncovers five discriminable patterns of mood-dynamic, intimate, delightful, elegant, and serene feeling results from well organized lighting system. Among the five moods, serene atmosphere appears to be the most preffered mood from respondants. It is also found that the perceived preference of lighting atmo-sphere varies acros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s, socio-economic differences and the visiting pur-poses to the coffeeshop. These findings present interest-ing and potentially valuable implications for interior de-signers that proper planning of lights which inducemoods can achieve dramatic effects and aid in the cre-ation of the desired atmosphere.

  • PDF

외향성과 개방성 성격특성에 따른 의복선택기준과 선호의복이미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Preferred Clothing Image Related to Personal Traits of Extroversion and Openness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 김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39-151
    • /
    • 2011
  • Since personality lead to relatively consistent responses to one's own environment, consumers' distinct personality influences their buying behavi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behavior,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sumers' personality trait on the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preferred clothing image. Survey was utilized to collect the data and subjects were 333 high school students. Measures consisted of three main constructs: Consumer's extroversion and openness based on the Big-Five personality trait,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preferred clothing imag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RELIS 2, LISREL 8.8, and SAS 9.2. The subject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1 was a group of intermediate-level in openness and extroversion while Group 2 was a group of high-level in both personality traits. Group 3 was a group of high-level in openness but of low-level in extroversio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were confirmed to have five constructs: other-directed, aesthetic, fashion & conformity-oriented, brand-oriented, and practical. In the buying situation, Group 1 prioritized fashion & conformity-oriented and brand-oriented criteria but regarded other-directed and aesthetic as less important than other groups did. Group 2 considered that all of the clothing selection criteria were important except practical. "The were six factors in the clothing image: elegance, simple, ethnic, masculine, active, and modem.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referred clothing images. Group 2 liked most of the clothing images but group 3 did not. Group 3 preferred simple clothing image more than masculine or ethnic ones. Overall,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openness and extroversion of Big-Five personality traits could serve as a predictor of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preferred clothing image.

  • PDF

의료소비자가 인식하는 치과의원의 감염관리와 외부자극을 통한 재이용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use intention through external stimuli and infection control of dental office perceived by medical consumer)

  • 조민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71-580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focused on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behavioral changes of customers and re-use intention on medical institution after experiencing infection control through external stimuli. Methods : This research was based on self-standing survey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0, 214 people who randomly selected from five dental clinics located in Busan were analyzed as the final group.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12.0 for Window. Results : 1. 82.8% of those surveyed who experienced external stimulation have changed their behavior on hospital environments and facilities, and 80.5% of them answered the stimuli influenced their re-use intention on medical institution.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reason why medical team wear sanitary appliances'. In age group 30~39, 85.4% of participants chose the answer so the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Result by household inco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over $1,000 to $2,000 as 82.7% response(p<.05). 3. 94.4% of participants chose 'Required' for both surgical suits and gloves in research of 'The necessity level of personal sanitary appliances' which medical teams wear for treatment and 79.4% agreed that medical teams need to change their medical gloves whenever treating each patients. 4.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appliance in patient's awareness were surgical gloves and protective goggles has chosen as the least important one. Conclusions : Patients as medical consumer were highly noticed of importance of the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 and necessity of personal sanitary appliances. The patients who has accessed dental infection control information by external stimuli in advance showed objectival changes of their visit and behavioral changes with bringing medical environments together. This aspects influenced those patient's re-use intention in conclusion.

고객 직접 불평행동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ustomer Complaint Intention - Focusing on The Factors Under Company's Control-)

  • 임국화;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107-135
    • /
    • 2013
  • 오늘날 소비자의 불평행동은 기업에게 있어 소중한 마케팅 정보원천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 불평행동을 유도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소비자 불평행동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불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주로 개인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어 기업이 통제할 수 있는 요인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어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불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불평성공가능성과 불평비용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지각된 불평성공가능성과 불평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행동관련 요인으로 기업의 정서적 보상성향, 기업의 물질적 보상성향, 불평 접근성, 종업원 권한부여를 포함시켰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소비자 불평행동을 유도하는 기업대응전략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