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vism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33초

언어적 전환과 인문교육 (Linguistic Turn and the Education of Liberal Arts)

  • 백도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79-288
    • /
    • 2020
  • 본 논문은 인문학이 실용적이지 않다는 선입견에 대해 비판한다. 우선 지식에 대한 최근의 새로운 모형과 그에 따른 교육학 흐름의 변화를 소개한다. 새로운 지식관으로 전체론을, 새로운 교육이론으로 구성주의를 소개한다. 이와 함께 또 하나의 주목할 만한 현상이 '언어적 전환'이다. 언어는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문화 자체가 언어적 속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특별한 요소이다. 따라서 문화는 일종의 텍스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으며 언어와 맥락 등의 이해와 분석을 주로 맡았던 인문학이 세계를 읽고 구성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인문학 대학원에서의 수업과 같은 전통적인 인문연구 교육방식의 회복이 현재의 사회 변화에 적절한 새로운 '실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다만 학문적 기여가 중요하다. 또한 '지식기반사회'라는 새로운 환경은 또 다른 이유로 이 글의 주장을 강화한다. 지식의 빠른 변화는 종래의 암기식, 주입식 교육보다 지식의 통합과 재구성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교육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구성주의를 반영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지식 생성 수준 및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학년 분수를 중심으로 - (Effect of Mathematics Instruction Based on Constructivism on Learners' Knowledge Generation Level and Reasoning Ability - Focusing on 4th Grade Fraction)

  • 이응석;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1호
    • /
    • pp.79-1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추론능력과 지식 구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분수 단원을 구성주의 수학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을 실천하고, 학생들의 추론능력과 분수 지식 생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은 교사 중심 수업보다 학생들의 추론능력과 학습한 내용에 대한 재생력, 학습하지 않은 지식의 생성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은 교사 중심 수업보다 분수 지식 생성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은 수학적 추론능력을 발달시켜 지식 생성 능력 수준을 향상시킨다. 또한, 추론능력과 분수 지식 생성 능력이 학습자 중심 수업을 받은 학생들에게서는 상관이 있었으며 교사 중심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추론능력이 높아도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실험집단은 추론능력이 높으면 지식 생성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생들의 추론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지식 생성 수준도 향상될 수 있다.

구성주의 이론에 기반한 자기주도적 웹 기반 교육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Instruction Based on Constructivism for Self-Directed Learning Ablity)

  • 김기남;김의정;김창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55-858
    • /
    • 2006
  • 정보화 시대에 이르러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교육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 획기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교육에 있어서의 변화는 단순한 지식의 축적이 아닌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위한 적절한 해결방법을 습득함을 의미한다. 즉, 교사는 조언자로서의 역할을, 학생은 학습의 주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이는 교육의 주체가 교사중심에서 학생중심으로의 전환을 뜻한다. 이러한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환과 더불어 주목받고 있는 교수학습이론이 "구성주의(Constructivism)"이다. 구성주의의 틀안에서 과거의 교사중심의 직접교수법 대신에 학습자 중심의 참여학습을 강조하고 있으며,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의 실천적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천적 방안을 구축 가능하게 해준 것이 바로 정보통신기술 그중에서도 인터넷(internet)의 발달이다. 인터넷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웹(Web)은 그 특성상 구성주의 학습원리를 실현하는데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터넷을 활용한 웹상에서의 교수학습은 교실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판서에 의존하는 방식의 수업이 아닌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의 폭넓은 자료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며, 학습자에게 생동감 있는 학습 경험을 주어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업에 비해 비교적 시간과 장소의 제약에서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내용과 관련된 최신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와 같은 풍부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Interface)가 가능하고 게시판, 이메일, 채팅을 통하여 교사와 학습자간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학교나 교육담당자들도 이런 교육기자제의 첨단화 더불어 새로운 교수 학습 모형 개발에 힘을 쓰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토대를 둔, 월 기반 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통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라라서 학습자는 학습자의 필요(need)에 라라 선별적으로 강의를 수강할 수 있고, 키워드 정색을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을 구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주어진 문제에 대해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씨 학습 능력을 키우도록 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다.

  • PDF

9.19 군사합의서의 구성주의적 함의 고찰 (Constructivist Implications of the 9.19 Mili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 이강경;설현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1-110
    • /
    • 2020
  • 3차 남북 정상회담과 평양 남북정상회담, 싱가폴과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할 비핵화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비핵화 조건을 둘러싸고 북미간 입장이 충돌하며 협상은 교착국면에 빠져있으며 다소 회의적인 전망이 예견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이 어려운 이유는 동북아의 전통적인 안보딜레마와 미중간 패권경쟁, 신냉전체제의 형성 등 다양한 변수들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3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3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된 전환기적 시점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는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와 세계평화를 위해 반드시 이루어내야 할 역사적 과제가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평양 남북정상회담은 '9.19 평양공동선언'과 '군사분야 합의서'를 통해 북한비핵화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해 준 역사적 계기로 평가된다. 한편 국제정치이론의 주요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구성주의(Constructivism)는 이념과 역사, 문화 등의 관념적 변수가 물질적 요인, 국가행위자의 정체성과 이익을 규정하며 국제관계의 구조가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제 1주년을 넘긴 9.19 평양공동선언의 역사적 의미를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이론의 발전과정과 분석모델, 남북관계의 발전과정을 간략히 살펴보았고, 9.19 군사합의서의 군사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학습지도

  • 이기열;이병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9권
    • /
    • pp.187-20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관점에서 고등학교 수준에서의 수학적 모델링 (mathematical modelling) 자료를 개발, 적용, 활용함으로써 학교수학과 실생활 문제를 관련시켜 학생 스스로 관찰 ${\cdot}$ 해석 ${\cdot}$ 사고 ${\cdot}$ 분석하여 구조화하는 고차원적인 인지능력의 형성과 문제 해결력을 배양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고찰한다.

  • PDF

GBS(Goal-Based Scenario)에 의한 수업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 수업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How to Apply GBS (Goal-Based Scenario) to 'Ecology & Environment' Education in High School)

  • 강인애;이명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94-110
    • /
    • 2008
  •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 becomes such a big issue all over the world tha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been simultaneously emphasized. While diverse methods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have been researched,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a teaching-learning model called GBS (Goal-based scenario), aims to provide a new learner-centered approach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briefly presents two theoretical backgrounds of GBS (i.e., constructivism and Schank's dynamic memory theory), which is followed by specific and concrete strategies and methods of how to apply GBS in class for the teacher. GBS(Goal-Based Scenario) is a learner-centered model in which learners are presented with a reality-based scenario (or task or problem) and go through several stages of 'missions' to get to a final solution of the given scenario. GBS, while completely resonant with other constructivist learning models in terms of learner-centered approaches, is distinctive from others, when it supplies more specific, structured guides of learning, called 'missions', to the students throughout the whole learning process. In a words, GBS ought to be recognized as an unique learner-centered model compromising the contradictory concepts of 'learner control' and 'structure and specifics' in learning environments still without any damage of constructivist learning principles.

  • PDF

구성주의 교수-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for Constructivism in Teaching /Learning)

  • 유양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9-51
    • /
    • 2010
  •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창의적이고 자주적인 사람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교수-학습이 학습자의 자주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고 보아 자주적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도서관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매체센터로서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자주적 학습은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 매체센터로 운영될 때 가능하며 다양한 학습자료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클수록 창의적이고 자주적 능력이 향상된다고 판단된다.

해결중심상담접근의 철학과 상담자태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Philosophy and of counselor's Attitude of Solution Focused Counseling Approach)

  • 노명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24-373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해결중심/원리;가치;철학,태도'를 검색 주제어로 하여 저서, 학술논문, 석 박사 학위 논문을 문헌분석을 통해 해결중심상담접근의 철학과 상담자 태도에 대해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결중심상담접근의 철학은 내담자 중심이며, '효과'에 초점을 두는 것이고, 사회구성주의'에 기초한다는 것과 긍정심리학에 기초한다는 것이다. 또한 해결중심상담접근의 상담자 태도는 내담자에 대해 '알지 못함(not-knowing)'의 자세를 갖고, 진정성 있는 호기심으로 관찰하는 태도를 취하며, 내담자가 잘 해온 것을 칭찬해주며, 다양한 현장에서 해결중심상담을 실천하는 협력자이자 코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사회과 환경교육을 위한 STS 적용 방안 연구 -고등학교 1학년 사회를 중심으로- (STS Appliance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

  • 박인옥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2호
    • /
    • pp.116-132
    • /
    • 2001
  • The go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High School is to make students survey and work out the issues on environment and to help them continue and improve the work.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educate students the rational ability of decision-making. The more they can make decisions rationally, the more they participate actively in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model of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coinciding with the go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 This study is backed up by the following developing processes. To begin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being investigated. To urge the importance of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1 will present the righteous understanding of Science in societal contexts, the development of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ies, and the cognitive connections between society and science. For this, 1'm representing a new model of learning-teaching method, backed up by Constructivism, especially Vygotsky's ZPD theory, giving 4 steps from everyday concepts to natural lingistic thought. Based on the above hypothesis, at last I will represent a STS whose topic is a problem of beach preservation because I intend to show the possibility of STS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will help us lay a foundation stone of introducing S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of Social Studies.

  • PDF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to Teach: Theory Into Practice

  • Kwak, Young-Sun;Choe, Seung-Ur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79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constraints in implementing their ideal pedagogies an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their pedagogical beliefs changes. Unique features that the university-based coursework and field experiences had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to teach were also explored. Thi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employs constructivist aspects of teacher education and generates applications of constructivism to the practice of teaching. Major findings include: preservice teachers' having traditional pedagogy as the default, recovery of prior beliefs, constraints on implementing constructivist pedagogy, and being overly confident in themselves as teachers.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these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beliefs evolved and were refined over time as they incorporated various constructivist ideas. The benefits and influences of the M.Ed. program's theoretical coursework and the field experiences on these teachers' learning-to-teach experiences are addressed with rich data.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as well as for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discuss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