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robot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1초

유리창 외부 청소용 로봇의 자중에 대한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Self-weight of Cleaning Robot for External Windows)

  • 김균태;전영훈;김정태;박경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3-204
    • /
    • 2017
  • In case of developing a guide-rail type window cleaning robot, only the first prototype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 size and the load of the window cleaning robot was not optimized, an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weight of the window cleaning robot, the stress concentration area was derived and the concentrated stress was quantified. Analysis showed that the upper rail shaft had a bending stress of 9.964Mpa and the bolt had a shear stress of 19.544Mp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future prototypes.

  • PDF

이동 로봇의 주행을 위한 새로운 지도 구성 방법 및 경로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w Map Construction and Path Planning Method for Mobile Robot Navigation)

  • 오준섭;박진배;최윤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49권9호
    • /
    • pp.538-545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map construction and path planning method for mobile robot. In our proposed method first we introduced triangular representation map that mobile robot can navigate through shorter path and flexible motion instead of grid representation map for mobile robot navigation. method in which robot can navigate complete space through as short path as possible in unknown environment is proposed. Finally we proposed new path planning method in a quadtree representation map.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new path planning method in a quadtree representation map.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triangular representation map it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distance transform path planning method. And we considered complete coverage navigation and new path planning method through several examples.

  • PDF

로봇 크레인 기반 시공자동화공법의 편익/비용 분석 (Benefit/Cost Analysis of Robot-based Automated Construction System)

  • 김태훈;이웅균;유위성;안성훈;도낙주;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3-134
    • /
    • 2011
  • While researches related with construction automation have dramatically increased, a Robot-based Automatic Construction system (RCA system) has developed for high-rise buildings in Korea. At the aspect that wide adoption of the RCA system is dependent on economic efficiency comparing with a conventional method, feasibility study on the RCA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However, due to practical limitations, the RCA system has tested to a seven story building. Based on the test results, this study implements a cost/benefits analysis to a simulated forty story building in order to derive more reliable data on the RCA system's practicability.

  • PDF

먹매김 시공 자동화 로봇 요소기술 및 요구성능 도출 기초 연구 (Preliminary Study on Elemental Factors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Robotic Layout System)

  • 김초원;박규선;지현서;김태훈;임현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7-258
    • /
    • 2021
  • Construction robotics is rapidly forming a market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en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e layout work for accurately constructing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building frame requires high accuracy and precision, and is one of the high demands for productivity and quality improvement through construction automation. Thus, as a preliminary study, we derived the elemental factors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developing an automated layout robot. In addition, alternatives on driving and marking units were investig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actioner's interview.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layout robot design.

  • PDF

압력센서를 이용한 수중항만공사 로봇의 실린더 길이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cylinder lengths of an underwater robot for harbour constru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 김치효;김태성;이민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0
    • /
    • 2012
  • 수중 방파제 피복작업은 사석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방파제 겉면에 2-3ton의 돌을 쌓는 작업으로 현재 잠수부에 의해 수작업으로 시공을 하고 있다. 수중에서의 사야문제와 작업의 특성상 잠수부의 육감에 의해 공사가 시행되며 작업 과정에서 산업재해가 빈번히 발생한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중 방파제 피복작업을 위한 수중항만공사 로봇을 개발하였다. 로봇의 유압 실린더 제어를 위한 위치 센서가 필요하며 기존 센서는 구동축에 부착되어 방수가 어렵고 건설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 하지만 압력센서는 유압라인상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므로 방수박스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방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수중항만공사 로봇의 유압 실린더 길이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실린더 길이 옵서버를 설명한다.

  • PDF

항만공사용 로봇의 실린더 길이 측정을 위한 압력 옵서버 개발 (Development of Pressure Observer to Measure Cylinder Length of Harbor-Construction Robot)

  • 김치효;박근우;김태성;이민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3호
    • /
    • pp.299-308
    • /
    • 2011
  • 본 논문은 항만공사용 로봇의 실린더 길이 측정을 위한 압력 옵서버 개발이다. 로봇의 유압 실린더 제어를 위해 변위 센서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LVDT, 리니어 스케일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센서는 실린더 외부몸통에 장착되므로 건설현장과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실린더 길이를 측정한다. 압력센서는 유압 밸브박스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방수가 용이하다. 오일을 압축성 매개체로 간주하여 실린더의 위치와 속도 함수인 동적압력 방정식을 유도하고 RLS를 이용하여 실린더가 전진, 후진 리미트에 도달할 때마다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압력센서를 이용한 수중항만공사 로봇의 실린더 변위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cylinder displacement of an underwater robot for harbor construction using a pressure sensor)

  • 김치효;김태성;이민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865-871
    • /
    • 2012
  • 수중 방파제 피복작업은 사석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방파제 겉면에 2-3ton의 돌을 쌓는 작업으로 현재 잠수부에 의해 수작업으로 시공을 하고 있다. 수중에서의 사야문제와 작업의 특성상 잠수부의 육감에 의해 공사가 시행되며 작업 과정에서 산업재해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수중 방파제 피복작업을 위한 수중항만공사 로봇을 개발하였다. 로봇의 유압 실린더 제어를 위해 위치 센서가 필요한데 기존 센서는 구동축에 부착되어 방수가 어렵고 건설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내구성이 좋지 못하다. 하지만 압력센서는 유압라인상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므로 방수박스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방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수중항만공사 로봇의 유압 실린더 변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관측기를 설명한다.

Study for Operation Method of Underwater Cable and Pipeline Burying ROV Trencher using Barge and Its Application in Real Construction

  • Kim, Min-Gyu;Kang, Hyungjoo;Lee, Mun-Jik;Cho, Gun Rae;Li, Ji-Hong;Yoon, Tae-Sagm;Ju, Jaeheung;Kwak, Han-Wan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61-370
    • /
    • 2020
  • We developed a heavy-duty work class ROV trencher named URI-T (Underwater robot it's trencher) that can conduct burial and maintenance tasks for underwater cables and small diameter pipelines. It requires various supporting systems, including a dynamic positioning (DP) vessel, launch and recovery system (LARS), A-frame, and winch in order to perform burial tasks because of its dimensions (6.5 m × 5.0 m × 4.5 m, 20 t) and the tough working environment. However, operating a DP vessel has disadvantages as it is expensive to rent and operate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working schedule for some domestic coast construction c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using a barge instead of a DP vessel to avoid the above disadvantages. Although burying the cable and pipeline using a barge has lower working efficiency than a DP vessel, it can save construction expenses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crew.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over two months at the construction of the water supply in Yokji-do,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항만공사용 수중건설로봇의 기구설계 및 제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sign and the control of an underwater construction robot for port construction)

  • 김태성;김치효;이민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3-260
    • /
    • 2015
  • 열악한 작업환경 때문에 수중항만공사를 기계화하려는 많은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은 수중항만공사 중 사석 고르기 작업을 수행하는 수중건설로봇에 대해 기술한다. 로봇의 블레이드는 울퉁불퉁한 지형에서도 사석 마운드를 기준면에 대해 평편하게 고르고, 다목적암은 사석을 파고, 채울 수 있게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로봇에 설치된 위치 및 방위 센서와 동기를 이루면서 주행과 스윙운동이 포함된 다목적암과 블레이드의 기구학을 해석한다. 기준수심센서에 부여된 월드좌표에 대해서 블레이드와 다목적암의 위치와 방위를 나타내고, 기준면과 나란한 고르기 작업을 위한 형상을 찾는다. 고르기 작업을 위한 유압제어시스템을 개발하며, 로봇에 의한 육상 및 수중 사석 고르기 작업을 실시해 실험결과를 보인다. 로봇의 작업속도는 잠수부보다 8배 정도 빠르며 작업품질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잠수부가 작업할 수 없는 대수심에서는 효율성이 더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