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of DB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25초

해안선 조사 측량 및 DB구축 연구 (Study of Shoreline Surveying and DB Construction)

  • 김병국;이종기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5
    • /
    • 2002
  • 오늘날 해안선은 육지와 바다의 경계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표면상에서 가장 독특한 공간 속성을 가지고 있는 해안선은 그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로 다양한 사용자와 공동체에게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국가적 관심부족으로 육상부문 지리정보에 비해 해안선부근 해역 및 육역에 대한 과학적 정보가 빈약하고 해안선 조사와 관련한 학술 및 기술적 기초조사 자료의 DB구축이 부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1년에 수행된 태안지역 해안선 조사 측량 및 DB구축 연구를 통해 앞으로 수행할 전국 해안선 조사 측량 및 DB구축의 기본계획을 수립하였고, 얻어진 데이터를 연안관리를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철도차량 운전실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 DB 구축에 관한 연구 (On the Construction of Requirements DB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 심상현;이재천;박찬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1-79
    • /
    • 2011
  • The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has long been an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of railload systems since it is quite critical in terms of system's operational safety. It is getting more attention as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s goes up these days. To this end, this paper describes how to systematically construct a DB for the requirements set in the course of the improvement process for the aforementioned cab work environment. As a solution approach, we have adopted the requirement architecture concept to cover the whole activities required to do such as in requirements generation, DB construction, change management, and traceability managem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requirement architecture framework a requirement process to collect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is discussed, and the guide lines are suggested for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the developed requirements. In addition, a base schema and requirements templates are developed, which will be used in generating requirements and constructing a DB. Finally, it is demonstrated how the requirements DB for locomotive cabs can be constructed using a computer-aided tool in an integrated fashion.

건설현장 활용을 위한 GIS기반의 국가지반정보DB 고찰 (Consideration of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GIS for application to construction sites)

  • 김상석;장용구;강호윤;강인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9-402
    • /
    • 2007
  •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base Project based on GIS has begun as public works and continued until now, the whole of country has been target on since the 2003. Today, the 60,581 number of geotechnical data(counted by bering number) have been constructed as GIS-DB and they are being serviced at the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NGIIMS)(http://www.geoinfo.or.kr). In this study, we considered operation status of NGIIMS, GIS-DB distribution of Geotechnical Information and utilization in order to investgate applicability of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base. The results appeared that Geotechnical Information DB was along road-center, and in the case of complex, was only to some area. But after the 2007 when the law of computerization responsibility would be institutionalized, the more geotechnical data will be constructed and be able to use at a construction site.

  • PDF

노인가구의 주거현황 DB 요소의 유형화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DB Construction of the Elderly Household)

  • 박남희;최재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69-7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using DB construction for elderly people. Document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 is increasing very rapidly. In particular, they consist of a single person or a couple. These households prefer to live and age in a detached house. However, the social welfare system does not satisfy their needs. Therefore a systematic social support or welfare system is required to reflect their needs. For example, related works of housing welfare need to be prepared so that their data base system correctly reflect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노인가구의 주거현황 DB 구축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DB Construction about the Elderly Household)

  • 박남희;최재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7-7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of housing DB construction about the elderly people. Documentary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 is increasing very rapidly. Especially they consist of single or coupled family. They want to live in detached house and aging in place. But social welfare system is not enough to satisfy their needs. So, it is need that systematic social support or welfare system to reflect their needs. For example, related works of housing welfare for them are prepared that their data base system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ving conditions.

  • PDF

사례연구 분석을 통한 발주방식별 성과비교 (Project Performance Comparison Based on Different Types of Project Delivery System)

  • 이수경;정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1부
    • /
    • pp.207-209
    • /
    • 2011
  • Numerous reports show that alternative project delivery systems (PDSs) such as design-build (DB), construction management at risk (CMR), and design-build-maintain (DBM) are increasingly used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compared characteristics of each PDS (design-bid-build (DBB), DB, CMR, or DBM) by analyzing quantitative data from 9 research articles. In order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DBB and alternative PDSs, the study is based on principal 3 factors - Time, Cost, and Quality. DB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the time part and also the cost performance depending on facility type and project size. The performance of quality has minor difference among different PDSs. These results support the fact that using an appropriate PDS by the characteristic of a project makes high value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 PDF

건설 자재정보 DataBase의 실용화 방안 연구 (A Research on how to turn informationization Database of construction materials to practical use)

  • 권오용;한충한;이화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47-750
    • /
    • 2007
  • 건설자재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 되고 있으나, 축적된 정보의 양 절대 부족 및 표준화 미비로 활용도가 매우 저조하다. 이에 따라 건설자재 정보화는 건설 실무자들의 업무와 연계하여 설계 및 시공 등 건설업무 모든 단계에 걸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화를 추진하여야한다.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무자 의견을 조사 및 반영한 건설 자재정보의 DB 구축 및 이용을 위한 정보화 방향은 첫째, 건설자재정보의 지속적 갱신 및 양적 증대, 둘째는 건설자재 정보의 공유 및 연계를 위한 분류 체계 및 용어의 표준화, 셋째는 건설 단계별 필요한 자재정보를 조회 툴 개발, 넷째는 자재정보 DB와 응용 정보시스템과 연계를 통한 설계 및 시공 등 모든 단계에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 등 을 고려한 단계적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

  • 강순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61-79
    • /
    • 2008
  • 본 연구는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을 다루기 위해 해외 소장 고문헌의 정리. 해외 소장 고문헌 DB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해외 소장 고문헌의 공동활용 방안을 다룬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해외 소장의 고문헌을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82년부터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영인하여 간략목록으로 발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려강출판사가 일본소재 한국고문헌목록 1-4를 발간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일본, 미국. 프랑스 등의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조사하여 일부의 목록집을 발행하였고. 국사편찬위원회는 일본소재 고문서 목록을 조사하고 그중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여 목록으로 간행하였다.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시스템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해외소장한국전적문화재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NF목록/원문서비스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고, 각 DB상의 문제점이 파악되었으며 그에 대한 몇 가지 대안도 제시되었다. 공동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문서 정리를 위한 목록 형식 덴 기술(시안)은 새로운 표준안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관련 기간들은 서지기록을 작성하거나 원문 텍스트를 디지타이징할 때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고문헌의 DB 구축과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긍극적으로는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고문헌 컨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건설 위험 식별을 위한 정보 검색 (Information Retrieval in Construction Hazard Identification)

  • 김현수;이현수;박문서;황성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3-63
    • /
    • 2011
  • 유사 재해의 반복적 발생은 건설재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유사 재해사례는 수행 예정인 작업의 위험을 발견하고 안전 대책을 수립하는데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과거 재해 사례들을 검색하여 안전관리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많은 검색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현장의 다양한 조건과 반영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많은 검색을 수행하거나, 실제 현장의 안전관리 계획 수립 단계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안전관리 검색시스템들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 검색 방법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한 안전관리 단계별 적용이 가능하며 현장의 상황과 유사한 재해사례를 검색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검색 시스템은 BIM의 객체를 추출하여 이를 현장 정보 DB와 결합하여 질의를 구성한다. 그리고 질의를 과거 재해사례 DB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과거 재해 사례를 찾고, 안전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 관리자는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과도한 질의 생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BIM 객체를 통해 과거 유사한 재해가 발생한 현장의 좌표를 얻을 수 있어 위험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