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Records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3초

중국의 도시건설기록관(城建檔案館)의 기록관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in China)

  • 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13호
    • /
    • pp.233-285
    • /
    • 2006
  • 본 연구는 중국의 전문기록관의 하나인 도시건설기록관의 설립과정을 통해 도시건설기록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하나 도시건설기록의 관리과정을 상해도시건설기록관을 통해 보고자 하였다. 중국은 1950년대 말부터 도시건설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을 일반 공공기록물과는 달리, 전업(special work)에 따라 관리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리하여 도시건설을 담당하는 기관에는 도시건설기록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당안실(records centres)가 만들어져, 이곳에서 도시건설기록을 집중적이고 통일적으로 관리하였다. 문화대혁명(Great Culture Revolution)기간 동안 기록관리는 정체 되어버렸지만, 혁명이 끝난 후 도시건설기록관리는 공전의 발전을 하였다. 1980년대부터 중국은 이전의 당안실 대신, 도시건설기록관(urban construction archives)을 통해 도시건설기록을 일원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하였다.1990년대 전국의 467개의 도시 중 332개의 도시에 도시건설기록관이 설립되었다. 상해시 도시건설기록관(Shanghai Municipal Urnan Construction Archives)은 1987년에 설립되어 23만권(files)의 도시건설기록을 보존하고 있다. 그 관리는 상해도시건설당안관리 임시판법(The Provisional Regulation of Management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in Shanghai) 등 여러규정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도시건설기록관리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그 방향은 대체로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환경(시장경제체제, 정보공개의 현대화)에 맞는 도시건설기록관리체제를 수립하는 것이다. 둘째 기록을 관리만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의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윤을 창출이다.

신행정수도건설기록물 관리 사례 연구: 브라질의 ArPDF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Construction Records Management: Focusing on the Arquivo Publico do Distrito Federal of Brazil)

  • 박경현;김순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9-128
    • /
    • 2022
  • 신행정수도건설 사업은 국가의 행정수도 이전을 목적으로 이행되는 중요한 국정사업으로서 건설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물은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러한 신행정수도건설 관련 기록물의 관리가 미흡하기 때문에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브라질은 신행정수도인 브라질리아 건설을 수행하며 생산된 기록물을 공공과 민간영역을 포함하여 수집하고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국가이다. ArPDF는 브라질리아 건설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된 브라질의 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본 연구의 사례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ArPDF의 웹 사이트와 공식출판물 등을 분석하여 신행정수도건설기록물 관리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신행정수도건설기록물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 박용부;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83-101
    • /
    • 2011
  • 국제 표준인 ISO 15489와 관련코드에 따르면 공공조직이든 민간조직이든지를 막론하고 안정적인 기록물 분류체계를 구현하게 하는 기능 분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기업에서도 이를 따라 업무 수행 기록물을 분류 축적하여 검색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 성장을 위해서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분류기준이나 개발 방법론 연구 및 모형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기업 3개 회사와 중소기업 4개 회사 등 총 7개의 종합건설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류체계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분류원칙을 정리 종합하여 핵심적인 건설기록물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대기업 사례기업의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의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 구성을 상호 비교하면서 표준적인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 기록물 분류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결과로 개발된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청남대 건립 관련 잔존 기록물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urvived Records Related to Building Cheongnamdae)

  • 정상희
    • 기록학연구
    • /
    • 제47호
    • /
    • pp.161-193
    • /
    • 2016
  • 청남대는 1983년에 건립되어 2003년까지 대통령 별장으로 사용된 공공건축물이다. 그렇다면 건립과정에서 공공기록물이 생산되었을 것이다. 공공기관의 기록물은 보존기간 동안 관리되다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당시 보존기간표를 고려하면, 청남대 건립 시작부터 완공까지 설명책임성을 보여줄 기록물은 남아 있지 않을 확률이 크다. 그렇지만 보존기간과 상관없이 기록물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확인해 볼 필요는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이 연구는 청남대 건립 관련 기록물의 잔존여부 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건립과정에서 생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그것을 생산 또는 보존하고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공공기관에 잔존 기록물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이 결과를 가지고, 기존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수집전략을 제언하고, 앞으로 세워질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KS X ISO 15489를 통해본 건설기록물 관리 현황 - K공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Construc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KS X ISO 15489 : Focused on K Puplic Corporation)

  • 이흔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3-138
    • /
    • 2007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건설기록물 관리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국가에서 수행중인 가장 큰 국책사업인 고속철도공사를 비롯한 일반철도 건설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시설공단을 선정하여 건설기록물 관리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황을 살펴본 방법은 기록물 관리 국제/국가표준 KS X ISO 15489의 기록물 처리과정 기능요건인 획득, 등록, 분류, 저장, 접근, 추적, 처분을 기준으로 하였다. 먼저 획득부터 처분까지의 기능요건을 관련조항에 근거하여 각 단계별로 3~4개 정도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총 22개의 원칙을 정하였다. 22개의 지침의 준수 여부를 준수, 부분준수, 미흡, 미준수의 4단계로 구분하여 시설공단의 기록물 관리 현황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지침의 준수 여부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KS X ISO 15489 원칙에 준거하여 시설공단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과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배근 이력 가시화 방안에 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n Visualization of Bar Placing Records Using Augmented Reality)

  • 박우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6-127
    • /
    • 2018
  • Rebar work is important in terms of cost and process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long with formwork and concrete construction, and the quality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struc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horoughly inspect the steel reinforcement after casting the concrete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actual condition of the reinfor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ugmented reality system to visualize the records of bar placing work, which is increasingly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order to improve maintenance of reinforced concrete,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effectively manage the draw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tructural drawing, the placing drawing, and the photographed image at the construction and inspection stage, and develop a system that utilize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can display the state of the inside of a concrete structure by superimposing it on actual environment.

  • PDF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71-94
    • /
    • 2016
  • 본 연구는 FRBR 구현을 위해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의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기술을 위한 기본 틀로 ICP의 전거형접근점 지침과 FRBR/FRAD 개념모델, 내용규칙으로 RDA를 참조하였다. 입력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LC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JSC of RDA의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VIAF의 저작 전거레코드, 표현형 전거레코드를 조사하였다. 구축방안으로 첫째, 전거레코드 구조는 이름, 저작, 표현형 전거레코드로 구성되며 상호연계된다. 둘째, 저작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여 전거형접근점의 기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저작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저작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표현형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표현형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저작과 표현형의 연계를 위해 5XX에 상호 관계를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적용방안 및 고려사항은 국내목록규칙 개정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지부(度支部) 건축소(建築所)(1906-1910)의 기록물 관리와 현존 기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and the Existing Architectural Archives of Architectural Bureau(建築所, 1906-1910) in Korea)

  • 김태웅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7-19
    • /
    • 2002
  • Architectural Bureau(建築所, Kunchukso) that Imperial Japan set up in the Dept. of Treasury (度支部, Takjibu) executed many construction works from Oct. 1906 to Aug. 1910. In the meantime, this bureau produced many architectural records. But they were hardly preserved. Because Imperial Japan disposed the architectural records which had the historical value in according to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criteria.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inquiry precisely the architectural records considerating that the buildings that Architectural Bureau made were the products of government initiated construction and its activities influenced those of similar architectural bureaus after 191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rchitectural Bureau put through all processes from plan, design, executation to examination. Second, Architectural Bureau were producted many architectural records which cotained not only drawings but also various types of documents. Third, Architectural Bureau applied the preservation method at the first time in order to control buildings. Therefore, we can verify many informations that the drawings didn't give by analyzing the architectural records. In conclusion, we can establish the foundation that clarify the facts of buildings under the rule of Japan Imperialism and grasp the meanings if we raise the value of records and draw up the use plan by seeking new the architectural records and dividing them into the several groups on the production organizations.

  • PDF

기록관리기준 조사 및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ecords management criteria)

  • 이미영
    • 기록학연구
    • /
    • 제15호
    • /
    • pp.185-218
    • /
    • 2007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업무과정에 기반을 둔 기록관리체계 도입 기관은 기록관리기준표를 운영해야 한다. 기록물관리기준표는 정부기능분류체계에 기반을 두고 업무설명, 보존기간, 보존기간 책정사유, 비치기록물 해당 여부와 공개여부 및 접근권한 등의 관리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도 이런 기준들은 분산적으로 존재했었지만, 전자기록환경에서 '기록관리기준'이라는 범주로 묶여 더욱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 연구에서는 이미 기록관리기준을 도입 운영했던 사례를 살펴보고, 각각의 관리기준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기록관리기준표를 운영하는 목적과 목표에 따라 제대로 관리기준조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들이 시스템으로 운영되어야만 기록관리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다이내믹하게 업무와 기록가치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BIM for Construction Quality Record

  • Son, Sang-Hyuk;Lee, Dong-E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52-254
    • /
    • 2015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encourages effective information share and utilization among project participants during entire life cycle of facility.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keeps track of the historical quality records involved in construction operations and facilitates using BIM. The method is coded into BIM based Quality Record Traceability (BIM-QRT) System that makes use of historical records obtained from database administrating construction operations. This study is of value to practitioners because the method makes clear the project participants' responsibility relative to the quality of each and every element of the facility.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accurate, fully automated method for construction Quality Record Tracking by using a BIM along with construction operations data obtain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est cases verify the us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thods implemented in th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