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이미화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Received : 2016.08.16
  • Accepted : 2016.09.17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for FRBRization. ICP, FRBR/FRAD and RDA as the content rules were referred as the framework for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LC RDA authority records examples, JSC of RDA authority examples, and VIA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were analyzed as case studies. 5 findings were suggested. First, authority records consist of name,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which are inter-related. Second, the construction of authorized access points was suggested according to 5 work types. Third, the consideration in describing work attributes as separate element and as part of an authorized access point, and othe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work were suggested. Fourth, the consideration in describing expression attributes as separate element and as part of an authorized access point, and other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ion were suggested. Fifth, 5XX was suggested for linking between work and expressio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revise KCR4.

본 연구는 FRBR 구현을 위해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의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기술을 위한 기본 틀로 ICP의 전거형접근점 지침과 FRBR/FRAD 개념모델, 내용규칙으로 RDA를 참조하였다. 입력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LC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JSC of RDA의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VIAF의 저작 전거레코드, 표현형 전거레코드를 조사하였다. 구축방안으로 첫째, 전거레코드 구조는 이름, 저작, 표현형 전거레코드로 구성되며 상호연계된다. 둘째, 저작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여 전거형접근점의 기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저작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저작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표현형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표현형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저작과 표현형의 연계를 위해 5XX에 상호 관계를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적용방안 및 고려사항은 국내목록규칙 개정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도서관. 2015. 국립중앙도서관 서지데이터의 FRBR 구현을 위한 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Korea. 2015. FRBRization of Bibliographic Records of KNL. Seoul: NLK.)
  2. 김정현. 2013. 한국목록규칙의 개정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123-143.(Kim, Jeong-Hyen. 2013.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uing Rul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123-143.)
  3. 김정현, 이성숙, 이유정. 2015. KORMARC 서지레코드의 FRBR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1): 1-23.(Kim, Jeong-Hyen, Lee, Sung-Sook, Lee, You-Jeong.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RBR Algorithm for KORMARC Bibliographic Record."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1): 1-23.)
  4. 노지현. 2008. KORMARC 레코드에 대한 FRBR 모델의 적용 실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1): 291-312.(Rho, Jee-Hyun. 2008. "An Application of FRBR Model to KORMARC Recor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291-312.)
  5. 도태현. 2012. RDA의 저작과 표현형의 접근점 규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27-48.(Doh, Tae-Hyeon. 2012. "A Study on Instructions for Access Points Representing Works and Expressions in RD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27-48.)
  6. 이미화. 2010. MARC 데이터의 RDA 저작 및 표현형 요소 분석을 통한 한국목록규칙 및 KORMARC의 고려사항.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51-272.(Lee, Mi-Hwa. 2010. "A Study on Suggestion for KCR and KORMARC by Analyzing Work and Expression Element of RDA in MARC."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251-272.)
  7. 이미화. 2011. AACR2에서 RDA로 목록규칙 변화에 따른 KCR4의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1): 23-42.(Lee, Mi-Hwa. 2011. "A Study on Considerations in KCR4 through Changes of Cataloging Rules from AACR2 to RD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1): 23-42.)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023
  8. 이미화, 노지현. 2016. 한국목록규칙에서 전거형접근점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47-23.(Lee, Mi-Hwa & Rho, Jee-Hyun. 2016.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Authorized Access Points in KCR4."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47-23.) https://doi.org/10.16981/kliss.47.201603.47
  9. 이유정. 2007. FRBR 실행을 위한 MARC 레코드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299-314.(Lee, You-Jeong. 2007. "A Study on Creation of MARC Record for FRBR Implement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299-314.)
  10. 조재인. 2005. 표현형 계층을 중심으로 한 FRBR 모형 분석 및 목록 체계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221-239.(Cho, Jane. 2005. "The Study on the FRBR Adoption into Cataloging Rule Focused on its Expression Leve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2): 221-239.)
  11. 조재인. 2009. RDA 구현 시나리오와 서지 제어의 장래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85-105.(Cho, Jane. 2009. "A Study for RDA Implementation Scenarios and Future Bibliogrnphic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85-105.)
  12. Delsey, T. 2009. FRBR and FRAD as implemented in RDA. In ALCTS Preconference RDA. [cited 2016. 1. 14].
  13. IFLA. 1998.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 김태수 역.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4. IFLA. 2009. 국제목록원칙규범.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역. [cited 2016. 1. 14].
  15. Hart, A. 2014. RDA Made Simple. Clifornia: Libraries Unlimited.
  16.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2014.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2014 revision. NY: ALA, CILIP, CLA.
  17.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2016. RSC/RDA/Complete Examples (Authority). [cited 2016. 1. 14].
  18. Library of Congress. 2015. LC RDA Core Elements. [cited 2016. 1. 14].
  19. Library of Congress. 2010. LC RDA Examples: Authority Records. [cited 2016. 1. 14].
  20. Maxwell, R. L. 2013. Maxwell's Handbook for RDA. Chicago: ALA.
  21. Mering, M. ed. 2014. The RDA Workbook. California : Libraries Unlimited.
  22. Taniguchi, S. 2012. "Viewing RDA from FRBR and FRAD: does RDA represent a different conceptual model?"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0: 929-943. https://doi.org/10.1080/01639374.2012.712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