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in China

중국의 도시건설기록관(城建檔案館)의 기록관리

  • 이승휘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Study overviews the development process throughout the foundation procedure of the records centres of the urban Construction. The other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over the managing process of urban construction records in the Shanghai Municipal Urnan Construction Archives. As the late of 1950s in China, the principle was set up as the special work in every stage of the urban construction, differently general public records. so records centres is established at the agency where is in charge of the records of urban-construction that has managed the records of the urban-construction intensively and unitarily.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while Records Management has ceased. after Revolution, Records management for urban construction developed unprecedentedly. As the 1980s in China, urban construction archives instead of records centres existing started to manage records of urban construction. urban construction archives was established at the 332 of 467 urban the whole country in the 1990s. Shanghai Municipal Urban Construction Archives founded in 1987 where has preserved urban construction records of 230,000 files by abiding by the Provisional Regulation of Management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in Shanghai and other regulations. recently urban construction records management looks forward to new aspect. at first, Managing system setting up for affordable new environment (market economy, moderniz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is core stage. second, developing the contents as well as managing records is important. finally making a profit is priority for records management.

본 연구는 중국의 전문기록관의 하나인 도시건설기록관의 설립과정을 통해 도시건설기록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하나 도시건설기록의 관리과정을 상해도시건설기록관을 통해 보고자 하였다. 중국은 1950년대 말부터 도시건설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을 일반 공공기록물과는 달리, 전업(special work)에 따라 관리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리하여 도시건설을 담당하는 기관에는 도시건설기록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당안실(records centres)가 만들어져, 이곳에서 도시건설기록을 집중적이고 통일적으로 관리하였다. 문화대혁명(Great Culture Revolution)기간 동안 기록관리는 정체 되어버렸지만, 혁명이 끝난 후 도시건설기록관리는 공전의 발전을 하였다. 1980년대부터 중국은 이전의 당안실 대신, 도시건설기록관(urban construction archives)을 통해 도시건설기록을 일원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하였다.1990년대 전국의 467개의 도시 중 332개의 도시에 도시건설기록관이 설립되었다. 상해시 도시건설기록관(Shanghai Municipal Urnan Construction Archives)은 1987년에 설립되어 23만권(files)의 도시건설기록을 보존하고 있다. 그 관리는 상해도시건설당안관리 임시판법(The Provisional Regulation of Management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in Shanghai) 등 여러규정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도시건설기록관리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그 방향은 대체로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환경(시장경제체제, 정보공개의 현대화)에 맞는 도시건설기록관리체제를 수립하는 것이다. 둘째 기록을 관리만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의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윤을 창출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