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31초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기반 건설정보 온톨로지 구축 (Building an Ontology based on the Unifi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 김학래;박의준;김홍기;윤석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5-112
    • /
    • 2004
  • 건설 산업분야와 관련된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SO/DIS 12006-2, MasterFormat 등의 분류체계가 국제적 표준으로 제안되었고 국내에서는 이를 국내실정에 적용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가 건설교통부를 통하여 제안되었다. 그런데 건설 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보다 높은 수준의 정보 표현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에 기반한 건설정보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온톨로지 기술은 개념들 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명확히 표현함으로써 건설 정보의 효과적 관리뿐만 아니라 상이한 정보 시스템들 간의 의미적 상호운용을 지원해줄 수 있다.

  • PDF

교육시설물의 효율적 유지관리 체계정립을 위한 분류 기준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Standard for Efficient Maintenance System of Educational Facilities)

  • 김송화;김성겸;조창연;손재호;김재온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03-407
    • /
    • 2007
  • 정부에서는 2001년 5월에 실무적용을 위한 ${\lceil}$건설정보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rfloor}$ 를 추진하여 대${\cdot}$중분류 등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을 건설교통부 공고로 2001년 8월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구축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는 건설공사에서 실무활용이 미흡한실정이다. 일반적인 시설물과는 다르게 교육시설물의 경우 적용기준이 혼재되어있는 문제가 이다. 더욱이 2005년부터 교육시설물에 BTL 민간투자 사업이 시행되면서 유지관리시업무기준이나 비용계상에 대한 기준을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에 적용할 경우 경계를 명확하게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유지관리 비용분석으로 사용되었던 공종(Work)중심의 시설물 유지관리를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위해 공간(Space), 부위(Element)중심 유지관리 분석을 하여, 효율적인 유지관리 체계정립을 위한 분류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 PDF

공정관리 과학화를 위한 지하철공사 NAS운영체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구축 (Database Model of Subway Construction NAS Operating System for Scheduling Management Science)

  • Choi, Jaejin;Cho, Byounghoo;Park, Hongt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22-331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 제시한 토목공사용 정보분류체계(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를 기반으로 지하철공사의 정보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을 근거로 NAS(Network Analysis System) 운영체계인 공사정보분류체계 - 공정도표 - 작업별 투입 자원을 연동하는 데이터 모델링을 구축하여 통합 모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 모델링의 통합모형은 다른 토목시설물공사에서도 동일한 절차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어, NAS를 기반으로 한 공정관리 과학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BIM 기반 유지관리정보 모델링을 위한 객체분류목록 개발 -건축 전기/정보통신 분야를 중심으로- (Object Classification List for BIM-based Maintenance Information Modeling in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s Field of Architecture)

  • 송종관;조근하;원지선;주기범;배시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183-3191
    • /
    • 2014
  • 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는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 비용의 83%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시설물의 효과적인 관리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부터 관리하기 위해 BIM 객체 기반의 분류목록을 개발하였다. 이 분류목록을 개발하기 위해 건설정보분류체계, 건축전기설비설계기준, 조달청 물품목록분류를 분석하였으며, 객체분류목록을 구성하기 위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각 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KSF 1540:2010 (CAD도면 작성 원칙과 기준)의 '도면의 분야 코드'를 분야분류인 대분류로 구성하고, 건설정보 분 류체계의 부위분류를 중분류로 구성하였으며, 조달청 물품목록 분류를 소분류인 장비 및 장치분류로 분류하고 해당 코드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단계 객체관점의 분류를 제공함으로써 운영 및 유지관리단계 정보교환 및 공유에 유용할 것이다. 나아가 운영 및 유지관리단계 기능별, 공간별, 용도별 장치 및 장비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설물의 효과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적공사비 적산방식 도입을 위한 조경공사 공종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주택단지 조경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Landscape Construction Work Classification for System Instruction of New Estimation System based on Historical Construction data. - With regard to Housing Landscape Construction -)

  • 박원규;김두하;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2-9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work classification system of landscape construction in order to offer the basis of new estimation system of public landscape construction. New estimation system is based on historical construction data. For application of this system, the standard work classification system is necessary. Because extensive cost data should be accumulated under an unified construction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study of new estimation system carried by KICT(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landscaping works belong to earth work of civil engineering. It looks very unreasonable work classification, because landscape archtecture has its own specialties and professional domain. In this study,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various landscaping works of housing developments are analysed. As a result. a standard work classification system of housing landscape construction is proposed in section VI-3. This standard work classification structure consists of three levels divisions (i.e large work division, middle work division, small work division) . Now in this study, housing landscape construction works are divided into four large works and twenty six middle works. According to work attributes, middle and small work division is possible to subdivide into details.

  • PDF

A Development of Unified and Consistent BIM Database for Integrated Use of BIM-based Quantities, Process, and Construction Costs in Civil Engineering

  • Lee, Jae-Hong;Lee, Sung-Woo;Kim, Ta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27-137
    • /
    • 2019
  •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calculation system for BIM-based quantities, 4D process, and 5D construction costs, by integrating object shape attributes and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onsist of Cost Breakdown System(CBS), Object Breakdown System(OBS) and Work Breakdown System(WBS) in order to use for the 4 dimensional process control of roads and rivers. First, a new BIM library database connected with the BIM library shape objects was built according to the CBS/OBS/WBS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civil engineering field, and a integrated database system of BIM-based quantities, process(4D), and construction costs(5D) for roads and rivers was constructed. Nextly, the process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cost classification system were automatically disassembled to the BIM objects consisting of the Revit-family style elements. Finally, we added function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four dimensional activities and generating a automatic cost statemen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WBS and CBS classification system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tend the integrated quantities, process(4D), and construction costs(5D) system for new roads and rivers, enabling the integrated use of process(4D) and construction costs(5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based on the tasks described above.

해외건설 기자재 전자카탈로그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e-Catalog System for Overseas Construction Equipments)

  • 안호준;박호병;장광섭;육종곤;이재천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98-108
    • /
    • 2008
  • Plant,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equipment data of overseas construction are obtained and then analyzed, classified and integrated by experts. With those refined data set, we built classification system and defined property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international standard (ISO 15926, IRDL). If class in ISO 15926 is predefined for equipment of interest, we used the class as is. If not, we created and defined new classes on the basis of ISO 15926 classes. If there is similar class for equipment of interest, extension or inheritance methods were used. As a result, classification system of five levels and 637 classes were built and construction equipment information were expressed in open structure of XML such as tree structure of classification system and detailed information with number equipments for each specific equipment. We also developed the electronic catalog system which is basically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arious product search functions.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의 공종분류코드 통합기준 연구 (Integrated Code Classification System for Work Sections in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and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s)

  • 강인석;곽중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80-91
    • /
    • 2001
  • 건설분야 표준분류체계의 코드항목들은 비용정보, 시방정보 등 분류체계가 적용되는 건설산업분야의 모든 정보들에 일관되게 적용될 때 그 효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므로, 토목분야 공종정보들은 하나의 단일화된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동일하게 분류될 필요가 있다. 현행 국내의 토목분야 표준분류체계 중 공종분류체계는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 작성요령' 내의 공종분류체계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10여 종의 토목분야 표준시방서 공종분류 또한 각각 상이한 분류방식 및 코드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이 국내 토목분야 공종분류 체계로서의 대표성과 표준분류체계로서의 효용성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수량산출기준 코드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시방서 분류코드의 통합기준을 구성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웹기반 활용시스템 시안을 구성하여 제시된 통합기준의 활용방안을 구체화하였다.

  • PDF

건설정보 분류체계 활용도 측정을 통한 분류체계 활성화 방안 (A Promotion Plan through Measuring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박환표;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90-100
    • /
    • 2004
  • 최근, 산업구조는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제조산업에서 정보서비스 중심의 산업으로 산업구조의 중심이 소프트하고, 고부가가치의 지식경제사회로 급격히 전환하고 있다. 건설산업도 점차 대형화, 복잡화됨으로써 건설정보화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ulcorner$건설정보 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lrcorner$ 를 추진하여 2001년 5월에 실무적용을 위한 대 $\cdot$ 중분류 등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적용기준' 을 건설교통부 공고로 2001년 8월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기 구축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는 건설공사에서 실무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을 분석해 보면, 새로운 표준화체계로 추진하기에는 기존의 체계를 변화시키기 어렵고, 잘 개발된 정보표준화의 홍보가 부족하고, 법적 인 구속력이 미약하여 그 적용이 미흡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 발주처의 정보분류체계의 인식부족 및 활용분야의 인식부족으로, 그 실무 활용성이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각 주체가 건설관리 분야에서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건설업무 활용도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그 활용도가 미약한 것으로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관리 분야에서 각 업무의 정보분류체계 활용도 측정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기 구축된$\ulcorner$정보분류체계$\lrcorner$의 각 파셋이 각 업무단계에서 어느 정도 활용되는 지를 분석하였고,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 박용부;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83-101
    • /
    • 2011
  • 국제 표준인 ISO 15489와 관련코드에 따르면 공공조직이든 민간조직이든지를 막론하고 안정적인 기록물 분류체계를 구현하게 하는 기능 분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기업에서도 이를 따라 업무 수행 기록물을 분류 축적하여 검색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 성장을 위해서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분류기준이나 개발 방법론 연구 및 모형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기업 3개 회사와 중소기업 4개 회사 등 총 7개의 종합건설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류체계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분류원칙을 정리 종합하여 핵심적인 건설기록물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대기업 사례기업의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의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 구성을 상호 비교하면서 표준적인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 기록물 분류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결과로 개발된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