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Drawing

검색결과 461건 처리시간 0.023초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의 공종별 위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Level of Work Types i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 이종빈;이준경;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95-99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me significant factors to influence level of safety at plant construction field and analyze degree of risk by work classification. Currently, there are lots of construction fields for the nuclear power plant for electricity generation, and our government also planned constructing more nuclear power plant in near future. However, much of the safety literature neglected the degree of risk factors on the plant construction field. Safety managers participated in the brainstorming session for drawing decision criteria of the degree of risk (i.e., significant factors). Then, they were asked to answer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for drawing most important factors. Finall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used to analyze level of risk by work classific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otal twelve factors judging degree of risk were found in the brainstorming session. Second, the questionnaire showed four significant factors, including number of workers, working environments, skill of craft and accident experience. Third, the results of AHP showed Architecture work is the most dangerous work among 6 work types.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reduce degree of risk in construction field of the nuclear power plant.

BIM Model 기반 철근 수량산출 시 고려사항 (Considerations When Quantity Take-Off of Rebar Based on the BIM Model)

  • 정서희;김주용;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3-7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ause of the quantity difference and present the considerations when take-off rebar quantity based on BIM model by comparing the quantity of rebar based on BIM model with 2D drawing.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take-off the quantity of rebars in the building frame work, and after take-off the quantity of rebars by 3D modeling the 2D drawing of the target building with Revit, the quantity difference was compared with 2D-based software. Therefore, when take-off the quantity of rebars based on the BIM model, instead of take-off the existing 2D-based quantity premium proportion, according to general structural consider development length, lap splice length, covering thickness, reinforcing bars and spacing. In the fu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of BIM-based frame construction quantity take-off.

  • PDF

건설도면 자료의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좌표체계 부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ordinate Transformation for Updating of Digital Map from Construction Drawing Data)

  • 박승용;이재빈;박우진;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1-288
    • /
    • 2009
  • 수치지도를 최신의 데이터로 갱신하기 위한 방법론 중 건설도면을 이용하는 경우 CAD 데이터에서 필요한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건설도면에 존재하는 가상좌표로 이루어진 연속객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선결조건으로 각 도면마다 분리되어진 객체를 접합하고 좌표를 부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합리적으로 도면의 신축보정 및 축척 간 접합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과 CAD 좌표에서 실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론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OC 건설 도면 중 준공도면으로 이루어진 도면 특히, 가상좌표계로 구성되어진 도로의 종평면도에 존재하는 객체들의 변환 및 활용을 위한 도면 간 접합을 2차원 등각사상변환방법과 부등각사상변환방법을 도입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도면간 이음선과 좌표경계선의 교차점을 접합점으로 하여 2차원 변환계수를 추출하고 이를 접합한 후 도면에 명시된 기준점을 이용 CAD좌표계에서 실좌표계로의 좌표변환방법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도면접합에는 2차원 등각사상변환방법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좌표계로의 변환은 2차원 부등각사상변환이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변환 후 위치오차는 수치지도 작성내규를 만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방법론은 추후 건설도면을 이용한 수치지도 갱신에 있어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BIM을 위한 도면 표현 사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Drawing Representation for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채갑수;김언용;전한종;이명식;김길채;최종천;유석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70-475
    • /
    • 2008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is rooted in the economic and functional advantages of maturing from paper-based 2D drawings. The paper-based design and construction drawings are typical production from BIM and using the drawing under BIM environment is needed because there is not an alternative media instead of paper-based drawings. However using the 2D drawing process based on 2D CAD for BIM environment directly has difficulties becaus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ta structure between CAD and BIM. CAD is based on traditional drawings as a whole while BIM is focused on individual objects and providing various levels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s. It can be an obstacle to move from 2D CAD to BIM that we don't have a standard or guideline for BIM. Futhermore, the complexity of drawing in representation would be the obstacle too, so the solution is discussed in the research based on the case of Samoo Architects and Engineers.

  • PDF

의궤에 기록된 건축도(建築圖) 물매(勿每, 水每)에 관한 연구 - 단면도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ulmae, Architectural Drawing Recorded on Uigwes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as a Cross-sectional Drawing -)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57-65
    • /
    • 2020
  • This study covered the Mulmae, architectural drawing recorded on Yeonggeon-uigwes and Sanleung-uigw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uigwes, the term 'Mulmae' was used as a mixture until the 17th century, but from the 18th century, the term 'Mulmae(勿乙每, 勿每, 水每)' was unified into 'Mulmae(水每)'. The paper of the Mulmae was made to be used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by using a thick oil paper called Yudun. Four Yudun were connected, and its size was 197.4×141cm, which was rather large. The Yingzaofashi(營造法式) of Song Dynasty describes how to draw a longitudinal section on a scale of 1/10. The scale of 1/10 was the maximum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Mulmae with the buildings in uigwes. A sectional drawing of Gongpo in Geunjeongjeon was drawn on a scale of 1/10. There is a testimony that a senior carpenter drew a cross-section on a scale of 1/10.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scal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drawn on the Mulmae paper was 1/10. The term 'the Mulmae' was used equally by carpenter activ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scope of the painting was clarified from pillar to rafter. Uigwes records that the Mulmae was made for wood processing.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ulmae painted the entire structure as a longitudinal section.

한민족의 전통복식문화 계승 작업에 있어서 남북한 비교연구 - 여자 저고리 구성에 나타난 변화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Traditional Costume Succession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 on Transition of Women's Jegory Construction -)

  • 정혜경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17-30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into the traditional costume succession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mpar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kinds, names, drawing of Jegory. Conclusions are described as follows: 1. In sort of Jegory, south and north korea have same kind of Jegory according to traditional form. But in making method, south korea have pursued various style from traditional type to modern type, north korea have maintained just simple and practical basic style. 2. South and north korea have used same or similar names for the basic part of Jegory. But north korea has made new names for constructional needs, so many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name of details. 3. In drawing of Jegory, north korea has hold traditional method and then tried to seek for rational, scientific technique. Also, due to the influence of south korea that advanced in modern aesthetic, drawing of Jegory in north korea were changed to similar.

도면증강 객체기반의 건설공사 사전 시공검증시스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Pre-construction Verification System using AR-based Drawings Object)

  • 김현승;강인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3호
    • /
    • pp.93-101
    • /
    • 2020
  • Recently, as a BIM-based construction simulation system, 4D CAD tools using virtual reality (VR) objects are being applied in construction project. In such a system, since the expression of the object is based on VR image, it has a sense of separation from the real environment, thus limiting the use of field engineers. For this reason, there are increasing cases of apply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to reduce the sense of separation from the field and express realistic VR objects.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ethodology and BIM module for the pre-construction verification system using AR technology to increase the practical utility of VR-based BIM objects. To this end, authors develop an AR-based drawing verification function and drawing object-based 4D model augmentation function that can increase the practical utility of 2D drawings,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by performing case analysis. Since VR object-based image has a problem of low realism to field engineers, the linking technology between AR object and 4D model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use of 4D CADsystem in the construction project.

필지 객체의 형상 정합을 이용한 건물 설계도면의 좌표 등록 (Map registr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plan drawing with shape matching of cadastral parcel polygon)

  • 허용;유기윤;양성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3-198
    • /
    • 2013
  • 본 연구는 객체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건물 인허가 과정에서 제출되는 설계도면에 실세계의 좌표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설계도면에는 건물과 함께 건물이 위치할 필지 경계선이 포함되어 있다. 필지 경계선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곤과 KLIS 연속지적도 상의 필지 폴리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형상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좌표 등록에 필요한 변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설계도면에 존재하는 선형들의 기하학적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사 변환을 적용하였다. 이 변환에 필요한 평행 이동량, 축적 변화량 그리고 회전 변화량은 각각 건설도면과 연속지적도의 대응 폴리곤의 무게중심 차이, 면적비, 그리고 선회 함수를 이용한 형상 정합 과정에서 얻어지는 최적 회전 변화량으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경기도 수원시를 대상으로 세움터에 제출된 건설도면에 적용하였으며, 좌표 등록의 위치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좌표 등록된 설계도면의 건물 객체와 항공사진을 중첩하여 건물 모서리의 좌표를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좌표 등록에 참조한 연속지적도와 항공사진의 위치 오차의 크기에 따라 구도심지역에서는 RMSE 기준 2.37m의 정확도를, 신도심지역에서는 0.95m의 위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수치지도 작성을 위한 건물외곽선 단순화기법 연구 (A study on building outline simplifications considering digital map generalizations)

  • 박우진;박승용;조성환;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57-666
    • /
    • 2009
  • GIS 분야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원시 선형데이터로부터 수치지도 형태의 건물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일반화 기법 중 선형 단순화기 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수치지도 작성내규를 고려한 단순화기 법은 연구사례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 준공 시 이용되는 CAD 도면자료로부터 건물 외곽선을 추출하여 수치지도 건물데이터를 생성 또는 갱신하기 위해 방법론으로 수치지도 작성내규에 근거한 선형단순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Douglas-Peucker 알고리듬 등 가장 효율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개의 선형 단순화기법과 본 기법을 동일한 건물 외곽선에 적용하여 수치지도 작성내규 만족도 형상유사도 절점수, 선길이, 면적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안된 알고리듬의 경우 수치지도 내규 만족도 면에서 100%에 가까운 만족도를 보였으며 형상유사도, 절점수, 선길이, 면적의 측면에서도 다른 알고리듬들에 비해 거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추후 건설도면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갱신 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2차원 소방대상 시설물도면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방안 (Establishment Strategy of 3D Spatial Information from 2D Facility Drawing Related to Fire Fighting)

  • 이윤;김인현;최윤수;오규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47-54
    • /
    • 2010
  • 기존의 소방대상시설물 도면은 이미지도면이나 CAD도면 형태의 2차원 도면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의 형태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방방재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신속 정확한 대응체계를 위해서는 기존의 2차원 도면형태로 구축된 도면을 3차원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 대상이 되는 2차원 건축도면을 3차원 공간정보로 손쉽게 구축하기 위하여 건축도면에 대한 분석과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3차원 공간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소방대상 2차원 도면의 3차원 변환방법을 통하여 다량의 2차원 도면을 3차원 공간정보로 쉽게 변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방방재 업무의 활용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