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f Traditional Costume Succession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 on Transition of Women's Jegory Construction -

한민족의 전통복식문화 계승 작업에 있어서 남북한 비교연구 - 여자 저고리 구성에 나타난 변화를 중심으로 -

  • Chung Hye-Gyung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 정혜경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into the traditional costume succession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mpar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kinds, names, drawing of Jegory. Conclusions are described as follows: 1. In sort of Jegory, south and north korea have same kind of Jegory according to traditional form. But in making method, south korea have pursued various style from traditional type to modern type, north korea have maintained just simple and practical basic style. 2. South and north korea have used same or similar names for the basic part of Jegory. But north korea has made new names for constructional needs, so many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name of details. 3. In drawing of Jegory, north korea has hold traditional method and then tried to seek for rational, scientific technique. Also, due to the influence of south korea that advanced in modern aesthetic, drawing of Jegory in north korea were changed to similar.

Keywords

References

  1. 이종석(2000). 새로쓴 현대북한의 이해. 서울: 역사비 평사, p. 123
  2. 남인숙(1990). 북한의 가정생활실태: 의식주생활과 여성. 북한연구, 1(1)
  3. 북한총람(1983, 1986, 1994, 2003). 서울: 북한연구소
  4. 주강현(1991). 북한민속학사. 서울: 이론과 실천사
  5. 이선재(1993). 북한주민의 복식에 관한 고찰. 북한문화 연구,1,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6. 주강현(1994).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북한 생활풍습 50 년사. 서울: 대동
  7. 김여경(2001). 북한 전통복식문화 연구-조선옷의 전통 계승과 현대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실(1990). 조선민족풍습. 평양: 평양종합인쇄공장
  9. 백옥련(1996). 우리옷의 선에 관한 고찰. 조선 고고연구, 2, 평양
  10. 김옥경(2003). 전통적인 꼬리치마저고리. 민족문화유산, 3.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pp. 52-53
  11. 오순기, 장정희(2000). 옷설계와 재단. 평양: 공업종합 출판사
  12. 변순애(1998). 기본옷본에 기초한 조선옷의 새로운 설계방법. 과학의 세계, 120, 평양: 중앙과학기술통보사, pp. 67-71
  13. 리유미(1995). 조선민족옷. 평양: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
  14. 리유미(1999). 아름다운 조선옷.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15. 경공업성 피복연구소(2002). 민족옷 평양: 외국문 인쇄공장
  16. 리유미(1999). 아름다운 조선옷.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p. 72
  17. 리유미(2003). 조선옷-바지저고리. 민족문화유산, 2 평양: 과학백과사천출판사, pp. 42-43
  18. 천석근(1991) . 옷과 옷차림. 사회주의 생활문화백과, 2. 평양: 근로단체출판사편, p. 194
  19. 천석근(1991). 옷과 옷차림. 사회주의 생활문화백과, 2. 평양: 근로단체출판사편
  20.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1995). 조선민족옷. 평양: 외국문종합출판사 인쇄공장
  21. 리유미(1995). 조선민족의상, 평양: 평양종합인쇄공장
  22. 리유미(1999). 아름다운 조선옷.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23. 오순기, 장정희(2000). 옷설계와 재단.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24. 리유미 외 2인(2001). 옷도안과 실계. 평양: 2.16예술교육출판사
  25. 경공업성 피복연구소(2002). 민족옷. 평양: 외국문 인쇄공장
  26. 김옥녀 외 7인(2002). 옷본보기. 평양: 경공업성피복연구소
  27. 정영철(1996). 북한 '인민' 생활세계 연구. 96 북한 및 통일연구 논문집, 서울: 통일원. p. 31
  28. (기록영화)조선옷 품평회(1994). 평양
  29. 리유미(1999). 아름다운 조선옷.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p. 162
  30. 조선의 치마저고리(2000). 평양
  31. 김여경(2001). 재인용. p. 67. '북한의 패션유행' [중앙일보 북한네트] 2001년 1월 11일 게재
  32. 리유미(1999). 아름다운 조선옷.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p.51
  33.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1995). 조선민족옷. 평양: 외국문종합출판사 인쇄공장, p. 51
  34.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1995). 조선민족옷. 평양: 외국문종합출판사 인쇄공장, p. 55
  35. 천석근(1991). 옷과 옷차림. 사회주의 생활문화백과, 2. 평양: 근로단체출판사편, p. 332
  36.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1995). 조선민족옷. 평양: 외국문종합출판사 인쇄공장, p. 56
  37. 조선말대사전, p. 1191
  38. 조선말대사전, p. 258
  39. 이주원(1999). 한복구성학. 경춘사, p. 173
  40. 리유미(1995). 조선민족옷, 평양: 경공업위원회 피복연구소, p. 57
  41. 오순기,장정희(2000). 옷설계와 재단. 평양: 공업종합출판사, p. 199
  42. 권영숙(1986). 우리나라 여자저고리 원형설계에 관한 실험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변순애(1998). 기본옷본에 기초한 조선옷의 새로운 설계방법. 과학의 세계, 120, 평양: 중앙과학기술통보사, p. 67
  44. 김분칠(1976). 한복구성학. 서울: 교문사
  45. 권계순( 1977). 우리옷변천과 재봉. 서울: 수학사
  46. 박경자, 임순영(1983). 한국의상구성. 서울: 수학사
  47. 조정희(1984). 한복. 서울: 형설출판사
  48. 이주원(1987). 한복구성학. 서울: 경춘사
  49. 손경자(1990). 전통한복양식. 서울: 교문사
  50. 홍나영, 김남정, 김정아, 김지연(2004). 한복만들기. 서울: 교문사
  51. 박현(1997). 한복의 사적고찰 및 조형적 분석-치마저고리의 선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