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CAL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적 CALS 표준화 구축방안 (Construction of Korean Korea CALS Standardization)

  • 김철환;김규수;신영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7-140
    • /
    • 1996
  • CALS is recognized as a national response to the new chapter of information society. It is essential that the standardization in Korea should be constructed compatible with not only domestic but al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oper direction of CALS standardization in Korea, based on the international CALS standardization movement. This paper classifies standard into five types and provides a proper direction and guidance far each standard. As a trend of CALS standard, all ten data files are converted using SGML standard far the interchangeability of data among heterogenous systems. CAD and Graphic data arc also moving toward to the STEP as their standard. In this regard, this paper discusses how to implement SGML and STEP Model.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how to construct an EDI system with CALS standard and how to establish a standard authorization institute which will be responsible far the standard authorization. Furthermore, this paper also proposes the CALS Test Network (CTN) as its experimental method.

  • PDF

건설CALS 완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 보상자료 공유방안 연구 (Research about sharing of compensation data between owner and contractor for construction CALS improvement)

  • 서명배;김남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144-147
    • /
    • 2010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산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건설사업정보화(CALS :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확장된 건설CALS는 건설공사 전 과정, 즉 기획, 설계, 조달, 시공,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교환하고 공유하기 위한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며, 현재 이를 지원하기 위한 5개의 단위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다. 이중 용지보상시스템은 건설공사의 업무중에 시공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보상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보상업무는 건설사업 과정 중에서 민원인과 직접대면하는 일이 많고, 액수도 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분쟁의 소지가 매우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상업무 수행시 다양한 이해당사간의 각종 보상자료 교환체계 확립을 통한 업무 선진화방안 제시를 통해 업무의 투명성을 최대화하고 민원을 최소화하여, 보상업무 담당자에게는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민원인들에게는 국가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상업무 선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건설CALS와 국가재정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 방안 (Method of Transparency Guarantee for Compensation Budget expenditure using Connection of Construction CALS and dBrain)

  • 서명배;김남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08-1609
    • /
    • 2011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건설기술관리법 제15조의 2에 따라 건설공사지원통합정보체계의 구성.운영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고 1998년부터 건설사업정보화(Continuous Acquisition Life-Cycle Support : CALS)를 추진중에 있다. 건설사업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설공사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개인의 소유권과 관계되어 있어 민원 소지가 많은 보상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용지보상시스템이 기 개발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보상비 지출의 핵심과정인 지급단계가 국가재정정보시스템과 별도로 운영중에 있어 체계적인 보상자료 관리 및 보상비 지급의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고 있지 않다. 이는 곧 부적절한 보상비 집행으로 인한 국고예산 낭비의 소지가 있고 보상비 집행에 대한 대민 신뢰도 저하로 인해 다수의 소송으로 이어질수 있다. 이에 기존의 보상비 집행업무 프로세스 개선 및 건설CALS 용지보상시스템과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민원인들에게 대민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설정보시스템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adata development for operating data together among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s)

  • 정성윤;김성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104
    • /
    • 2005
  • 최근 들어 건설분야에서도 정보화를 통해 건설업무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해 많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정보시스템들에서 생성, 유통되는 정보자원이나 데이터가 다양하고 방대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건설정보시스템들 간에 정보자원이나 데이터의 상호 연계성을 확보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한 정보자원이나 데이터을 추출하여 공유 및 재사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하였고, 16종의 건설CALS 메타데이터를 개발하였다.

  • PDF

항만분야 수용을 위한 전자도면 작성표준 확장 개발 (Extension of Korea Standard of the CAD Drawings in Construction CALS/EC to Adopt the Port Field)

  • 문진석;한충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57-967
    • /
    • 2013
  • 건설사업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생애주기 동안 방대한 분량의 전자도면이 생성되고 있으나, 비표준화 도면의 작성 및 유통으로 건설 주체 간 의사교환, 각 사업단계별 도면의 재활용 및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건설분야 전자도면의 작성표준을 제시하는 건설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의 특징은 선(線) 형태의 도로, 하천 및 철도분야와 단위 건축물 중심의 작성표준 체계로 구성되어 표준에 따른 전자도면 작성이 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항만, 택지 및 부지 등과 같이 다중의 시설이 복합적으로 면(面)형태로 구성된 건설대상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항만시설의 경우 일정한 연안지역에 배치된 복수 항의 목적에 따른 복합적인 부두, 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배후부지와 같은 택지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수의 토목시설, 건축시설 및 항만 전용 시설 등으로 복합 구성되어 기존의 전자도면 작성표준의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항만분야 수용을 위한 전자도면 작성표준의 확장 개발연구를 수행하며, 개발을 통해 도면정보관련 정보화 효율을 극대화하고, 궁극적으로 건설분야 설계정보의 원활한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방 CALS를 위한 IWSDB 구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WSDB for National Defense CALS)

  • 신선우;손해용;김철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3-116
    • /
    • 199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pproach to construct IWSDB for National Defense CAL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Korean version of CALS conception,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national defense system with a new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construction of IWSDB. A long-tenn goal of CALS is to construct fully Integrated Data Environment (IDE) and establish IWSDB for the application of CALS conception to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weapon system. IWSDB is a set of databases that contain digital data. It supports common interface of data objects and databases throughout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weapon system, including design, engineering, analysis, manufacturing, operation, and logistics. etc. The goal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we propose a righ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Data Environment. For the integrated database technology, we use the five schema architecture and the distributed object oriented technology that will lead to the "share of data." Second, we present the most effective IWSDB architecture for defense CALS, which will provide the efficient data sharing by business process modeling. Third, we suggest that IWSDB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 process which is related to the acquisition and logistics of weapon system for the national defense,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implemented with GITIS for government agencies and CITIS for the industries in order to obtain the efficient data sharing.

  • PDF

IT와 연계된 건설분야 신개념 BPR 모형 구성 (New Concept of Construction Business Process Modeling Connect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 곽중민;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51-158
    • /
    • 2003
  • 최근 건설산업에서의 오프라인(off-line) 프로세스는 건설CALS를 포함한 수 개의 정보화기술(information technology - IT) 도구에 의해 전자화된 프로세스로 변화되고 있다. 업무프로세스를 온라인(on-line) 프로세스로 개선함에 있어, BPR은 현행 업무절차로부터 불필요하거나 추가되어야 한 프로세스를 검토한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BPR을 위한 객체관계프로세스모형(Object-Related Process Model - ORPM)으로 구성된 새로운 프로세스 모형화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형화기법은 주요 정보화기술인 Workflow, ERP, 건설CALS 및 업무분할체계(BBS)와의 연계가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ORPM은 세부 건설업무프로세스를 표현하기 위한 대표적인 모형으로서, 8개의 객체, 9개의 관계, 6개의 활동구분 등으로 구성되었다. 건설산업분야의 BPR에 관한 연구와 실무적용사례가 부족한 현실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은 건설BPR을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국방 CALS 통합 데이터 환경을 위한 내용 기반의 표준 데이터 검색 기술 개발 (The content based standard data search technology under CALS integrated data environment)

  • 정승욱;우훈식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2호
    • /
    • pp.261-283
    • /
    • 2004
  • To build up the military strength based on information oriented armed forces, the Korea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promotes the defense CALS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 cycle Support) initiative for the reductions of acquisition times, improvements of system qualities, and reductions of costs. These defense CALS activities are the major component of the underlying mid and long term defense digitization program and the ultimate goal of program is to bring a quick victory by providing real-time battlefield intelligence and the economical operations of the military. The concept of defense CALS is to automate the acquisition and disposition of defense systems throughout their life cycle. For implementing defense CALS, the technology for exchange and sharing CALS standard data that is created once and used many time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velop an efficient CALS information exchange and sharing system, it is required to integrate distributed and heterogeneous data sources and provide systematic search tools for those data.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ontent based search engine technology which is essential for the construction of integrated data environments. The developed technology provides the environment of sharing the CALS standard data such as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and STEP(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Utilizing this technology, users can find and access distributed and heterogeneous data sources without knowing its actual location.

  • PDF

건설사업정보 표준 인증을 위한 운영방안 마련 -건설CALS 표준의 관점에서- (Operation Pla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formation Standard -From the Construction CALS Standard-)

  • 문진석;원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59-470
    • /
    • 2012
  • 건설정보의 크기와 복잡성이 증가하고 건설정보화 분야에서 정보기술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건설정보 관리를 위한 표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건설사업정보 표준에 관한 인증은 일부 시스템과 정보화 수준 등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건설사업정보 표준인증제도가 확립되어 있는 실정은 아니다. 이에 건설CALS 표준에 대한 인증 시스템의 도입과 건설정보표준의 실질적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확산전략을 추진한다. 인증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건설정보표준에 대한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증의 대상이 되는 건설CALS 표준에 대한 분류 및 분석을 통해 각 표준별 인증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인증대상 도입시 우선 대상을 고려하여 인증대상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대상에 대한 인증제도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전문 지식이나 기술이 요구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인증제도 운영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확립하고 전문성을 확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