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CAL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6초

건설CALS시스템에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적용을 위한 사전 고찰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Apply of e-Government Framework at the Construction CALS System)

  • 양성훈;김남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33-440
    • /
    • 2013
  • 건설CALS시스템은 건설 공사의 기획 설계 시공 단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발주처와 시공업체에 제공하는 업무지원 시스템으로써 건설CALS포탈, 건설인허가, 건설사업관리, 시설물유지관리, 용지보상인 5개 단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 국토교통부 및 관련 연구진들은 CALS시스템의 중장기 운영 전략 수립 및 최신 IT기술 접목과 같은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등 시스템 활용률을 높이고자 많은 자원을 투자 하였다. 그러나 단위 시스템의 서로 상이한 개발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서비스 개선 방안들이 전체 시스템의 유지관리 및 개발비용을 증가시키고 데이터 처리속도를 감소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위 시스템의 개발 환경을 통일 시킬 수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소개하고 SW개발비용 산정도구인 기능점수(Function Point)를 이용하여 건설CALS시스템에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 및 경제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건설CALS의 정보화수준과 타 부문의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n the Informatization Level between Construction CALS and Other Sectors)

  • 정인수;김남곤;김진욱;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26-37
    • /
    • 2009
  • 국토해양부는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건설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건설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설사업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위해 건설CALS(Construction 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발주사업에 비교적 성공적으로 적용하고 있지만 건설CALS의 성과는 체계적으로 파악된 바가 없으며 게다가 타 SOC정보화사업과 비교하여 그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지표를 사용하여 건설 CALS의 정보화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타 건설부문과 비교하여 건설CALS의 현 수준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였다. 평가는 정보화기반(네트워크, 하드웨어, 표준화, 데이터, 정보화, 정보보호), 정보화이용(정보 활용도, 정보기술도입효과), 정보화지원(정보화목표, 정보화조직, 정보화예산, 정보화 교육)의 세 개 분야에서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업정보화 수준평가', '중소기업 정보화 수준평가', 'IICI(informatization Index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를 가지고 각각의 영역별로 우수한 인자와 열등한 인자를 추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건설CALS의 정보화수준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예산수립시 배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환경관리를 고려한 건설CALS시스템의 개선방향 (Improvement Direction for Construction CALS System considering Environmental Management)

  • 정인수;김진욱;이찬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469-472
    • /
    • 2008
  • 건설부문의 정보화를 위해 국토해양부는 건설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CALS란 건설사업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 과정의 생산정보를 발주자, 관련업체 등이 전산망을 통하여 교환 공유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이다. 건설CALS사업은 시스템 개발 부문과 건설정보 표준화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개발된 시스템으로는 건설사업관리시스템(건설사용, 발주기관용),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건설인허가시스템, 용지보상시스템, 건설CALS포탈시스템 등이 있다. 건설CALS시스템에는 건설사업의 공정관리, 원가관리, 안전관리 등의 많은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환경관리 기능은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CALS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환경관리가 가능한 체크리스트와 매뉴얼을 개발하여 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내 건설CALS/EC 관련 표준기술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CALS/EC Future Applying Methodologies of Its Key Technologies)

  • 이주남;김인한;노대원;김운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7-108
    • /
    • 2004
  • 기존의 건설산업에서는 건설산업의 전 생명주기 동안 발생하는 모든 설계도면과 시방서 및 문서를 방대한 분량의 종이로 관리하여 왔다. 그 결과 유사 공사 실적자료의 재사용, 설계자와 시공자간의 정보교환ㆍ공유에 있어 공사의 실적저하, 예산낭비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 정보의 교환ㆍ공유에 기존의 형식인 종이대신 전자화 된 도면과 문서를 사용하도록 하는 업무개선의 요구가 있어왔고, 이러한 문제를 총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의 건설분야 전자거래프로그램이 요구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건설CALS/EC(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 Cycle Support/Electronic Commerce)와 관련된 요소기술의 국내외적인 적용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도면전자납품을 위한 건설 CALS/EC에서 표준기술이 되는 요소기술의 활용방안과 향후 개발 방향에 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CALS/EC 체계에 따른 건설도면 정보교환 표준(STEP)의 적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applying and activating the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STEP) by CALS/EC)

  • 김인한;최중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9-53
    • /
    • 2002
  • In the Korean domestic construction field, there are a lot of problems related to construction information exchange and sharing owing to the absence of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 To remedy the aforementioned inefficiency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STEP standard which is known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achieving the establishment of Construction CALS. This study focus on suggesting a methodology to activate the STEP based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 to the current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exchanging and sharing practice. In this paper,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ization projec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a methodology of applying and activating the STEP standard has been suggested. Finally, 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ology for applying the CALS/EC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STEP) have been suggested.

  • PDF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건설CALS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Design of a Construction CALS System Architecture on the cloud computing base)

  • 양성훈;김남곤;김태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18-821
    • /
    • 2012
  • 건설CALS 시스템은 건설사업의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방대한 정보를 관리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으로 건설CALS 포탈 및 항만건설통합정보 등 6개 단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시스템들의 개발 시기가 개별적이고 하드웨어 구성 또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신규 시스템 추가 시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가 어려우며 별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야 한다. 또한, 시스템 운영 중 발생한 유휴자원을 다른 시스템에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스템 운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건설CALS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아키텍처는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고 자원에 대한 동적 할당과 더불어 잉여 자원에 대한 높은 활용성, 시스템 가용성을 증대 시킬 수 있어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

건설사업에 IDEF 모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DEF modelling on the construction project)

  • 권오룡;염준근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7년도 한국전자거래학회 종합학술대회지
    • /
    • pp.269-286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Flexible 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FCIC) system to adapt CALS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quisition and supply process of the system are represented by IDEF0 function models and FCIC information systems are briefly described in this paper. The model presented her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ALS system.

  • PDF

건설 CALS 시스템 건설공사 활용을 위한 요소기술 및 장비의 현장 적용성 검증 (A Site Application verification of technology and Equipment for Construction Application of Construction CALS System)

  • 최상용;신태홍;김병곤;김태학;권순욱;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67-771
    • /
    • 2008
  • 최근 전 산업적 분야에서 첨단 IT와 전통산업의 융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와 시장을 창출하려는 융 복합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무선 및 모바일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산업계의 적용 사례 및 해당기술 활성화 등으로 인하여 건설 산업에 첨단 IT의 적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도로/하천 사업관리 업무에 활용 중인 건설 CALS 시스템을 유비쿼터스 모바일 기술 등 첨단 IT 응용 기술을 적용하여 첨단 건설사업 정보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요구사항이 증대되고 있고, 건설현장자료 사용자 수기입력(키보드 입력방식)의 문제점인 자료입력 지연, 부정확, 부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및 센서 기술을 활용한 자동 입력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CALS 시스템의 기능 고도화와 첨단화를 위해 유비궈터스 및 모바일 기술 등의 첨단 IT 적용을 위한 RFID 및 모바일 장비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건설CALS에서 고속도로인허가 시스템 구현 사례 (A Case Study on Implementing Highway Approval/Permission System in Construction CALS)

  • 윤주용;김민홍;이영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3-62
    • /
    • 1999
  • This paper is to analyze business activities of approval/permission (A/P) and to describe its problems. To conduct the A/P business activities currently,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complex business process and different business policies among the each organiz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he A/P system of highway construction CALS (Commerce at Light Speed). CALS, a top down vision of complete computing integration, promises to support electronic data exchange. The A/P system is designed to classified documents based on CALS standard and store them to database. The data register to the A/P system by the Internet, and each construction company can use the A/P system by Internet also. Benefits of the A/P system is reduction in junk documents for approval/permission actives, improvement in conduct and services life cycle support.

  • PDF

CALS/EC 건설도면 정보교환 표준(STEP)의 설계분야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applying the CALS/EC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STEP) in Design Fields)

  • 김인한;최중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163-168
    • /
    • 2001
  • 국내 건설산업 전반에서 건설도면 정보교환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건설 정보 교환 및 공유에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건설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국제 표준이며, 건설CALS 체계구축을 위한 표준화 기술인 STEP(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표준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건설도면 정보의 교환 및 공유에 대한 문제 해결 방안 제시와 국내외 건설도면 정보 표준화 연구 개발동향을 조사, 분석하여 STEP 표준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CALS/EC 건설도면 정보교환 표준(STEP)의 적용을 위한 검증과 인증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