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ability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1초

거푸집공사 시공성 향상을 위한 거푸집 배치 효율화 지원 모델 - 구조부재 조정을 중심으로 - (A Support Model of Optimum Layout Planning of Forms for Improving Constructability of Formwork)

  • 이동민;임현수;김태훈;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2-213
    • /
    • 2013
  • The constructability of Formwork has a importantly influence on the duration and cost in a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on the formwork are mainly focused on a method of construction. Although a layout planning of forms, especially, is an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constructability and cost, it is done by engineers empirically and intuitionally after completion of structure desig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optimal formwork layout model based on the rearrangement of structural members by using Genetic Algorithm to improve constructability of formwork.

  • PDF

건설공사의 Constructability 이론과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ry and cases of Constructability for Building Projects -With Case Study Application in Japan-)

  • 김진호;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7-164
    • /
    • 2002
  • I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ase study of production design were carried out through: 1) explor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rface between architectural and production design phases; 2)application of precast technologies.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planning in Japan may be characterized by ample use of Production Design which extends over the whole projects phases. Taking a composite construction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which allow for alternative combination of different technologies as a case study object, three projects have been chosen to analyze actual process of determining product sub-system and their specification. And the expectancies of this paper are that it can be used as efficient data for improvement of system to systematize Constructability(Buildability) in korea.

DESIGN MANAGEMENT FOR CONSTRUCTABILITY REVIEW OF HIGH QUALITY EXPOSED CONCRETE

  • Doo Won Hwang;Young woong Song;Yoon ki Choi;Dong Woo Shin;Jae Youl Ch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54-1157
    • /
    • 2005
  • This report is to do design management for constructability review of high quality exposed concrete, which is used increasingly in recent. To secure systematic management at design phase, we reviewed each definition and work at each design phase, we define high quality exposed concrete, a part of architectural concrete, as "an exposed concrete which has well ordered joint & is in pursuit of smooth surface." We reviewed requirements and influential factor to obtain High quality finishing surface and compared construction process of high quality exposed concrete with that of other finishing method. Management method at each design phase for constructability review to meet additional works and requirements is presented.

  • PDF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해외건설 프로젝트 시공성 평가 모델 (Constructability Assessment Model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 이용욱;이상구;장우식;한승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941-951
    • /
    • 2015
  • 국내 건설기업들은 해외건설 시장에서 6천 8백억 불 수주를 달성하는 등 양적성장을 지속해 왔으나, 원천기술과 사업관리 역량이 선진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지고 있으며 최근 무리한 저가수주로 인해 대규모 적자가 발생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천기술과 사업관리역량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며 시공성 개념은 이러한 대안의 하나이며 해외 선진국에서 다양한 연구결과가 실무에 적용되고 있다. 국내기업이 해외 EPC건설공사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공성 개념의 실무적용이 필요하다. 시공성이란 건설공사에서 전체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범위를 의미하며, 시공용이성과 프로젝트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공사에 대한 시공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서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고 구조 방정식 모델을 활용한 시공성 평가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여러 변수들 간에 복잡하게 연결된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으며 직 간접효과를 동시에 도출하여 해외건설 프로젝트 시공성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외건설공사의 시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소는 문헌고찰, 기업보고서 및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를 통하여 8개의 잠재변수와 34개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해외건설공사의 시공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비용절감, 공기단축, 품질향상 측면에서 전략적 대응방안을 수립함으로써 사업의 최종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공성을 위한 Dependency Structure Matrix 기반의 설계 프로세스 관리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Process Management Model using Dependency Structure Matrix for Constructability)

  • 박문서;함영집;이현수;김우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65-74
    • /
    • 2010
  • 시공단계의 경험 및 지식을 반영한 설계 결과물은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설계변경을 최소화하여 프로젝트의 낭비요인 제거와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을 가능하게 해준다. 설계자가 설계단계에서 시공단계의 경험 및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설계과정에서 필요한 시공성 지식을 필요한 시점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설계단계에서 시공성 지식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존의 접근방법은 체크리스트와 같이 설계단계 별로 활용되는 시공성 지식의 구조화에 초점을 맞추고, 설계의 사결정과정의 기본단위가 되는 액티비티 수준에서 시공성 지식의 활용시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하지만 적절하지 않은 시점에서 고려된 시공성 지식은 설계자에게 불필요한 재작업을 야기해 설계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정보교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설계 프로세스 상에서 정보흐름에 중점을 둔 설계관리를 통해 각 시공성 지식들을 요구하는 설계 액티비티가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Dependency Structure Matrix(DSM)를 이용하여 설계의사결정과정의 기본단위가 되는 설계 익티비티와 설계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시공성 지식간의 상호관계를 고려한 정보흐름기반의 설계프로세스관리를 제안한다. 이는 설계프로세스관리를 설계단계에서의 단순한 설계검토보다 한 단계 높은, 건설프로젝트 전 과정과 연계된 포괄적인 관리활동으로 발전시켜 건설생산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해체.조립식 모듈러 철골조 건물의 시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ability of Modular Steel Frame)

  • 정성림;강주원;박성무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65-71
    • /
    • 2008
  • 본 논문은 유닛 모듈러를 구성하는 주구조체인 각형강관 기둥과 냉간성형 LEB C-형강 보가 볼트 접합된 접합부를 가진 모듈러 건물의 시공성을 평가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모듈러 건축의 장점은 공사기간 단축, 경량성, 이동가능성 등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유닛 또는 모듈의 운송비용이 공사비 절감 비용을 반감시킬 수 있고 많은 공장들이 외부 지역에 있으므로 이들을 도심지나 원하는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추가된다. 그리고 유닛이나 모듈 설치에 크레인 등의 장비 사용으로 인해 시공비용이 증가될 수 있는 단점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연구한 모듈형상에 근거하여 해체조립이 용이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사례를 통하여 공기, 비용 등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비교분석을 진행하여 모듈러 건물의 시공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고층사무소 프로젝트의 시공성 항목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Analysis of Constructability Issues in High-Rise Office Buildings)

  • 권동혁;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35-238
    • /
    • 2002
  • 현대 산업사회의 과학기술 발달과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기업의 경영조직 업무내용의 확대와 질적 변화에 의해 사무소 건축이 대형화, 고층화되어지고 있다. 특히 수많은 주체들과 분야들로 이루어진 고층사무소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업 각 단계별 주요 정보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전 과정의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건축계획 구조, 재료 및 시공성(Constructability)의 각 분야별 요소기술들이 효율적이고도 유기적으로 연결${\cdot}$접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계와 시공간의 상호 인터페이스의 미비로 인한 설계와 시공업체 간의 노하우가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유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고층사무소 사업의 시공단계에 있어서 반복적인 문제점이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사무소 사업의 시공성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로 인해 골조공사의 시공단계에서 유사하게 반복적으로 되풀이되어 발생하고 있는 주요항목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해당 순위를 제시하고자한다.

  • PDF

친환경적 설계인자를 적용한 생태복원공사의 시공성 평가 - 거제시 구천천 생태하천 조성공사를 중심으로 - (The Constructability Evalua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Construction Using Environment-friendly Design Factor - In the case of Construction of Gucheon Eco-River in Geoge City -)

  • 안병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9-114
    • /
    • 2013
  • In this study, constructability of ecologocal stream restoration process was evaluated and improved approaches for habitat were suggested. The study site is Gucheon River in Geoje city where conducted ecologocal restoration work within maintaining its flood control function. Application of ecological design factors and constructability in the process from planning to construction was analyzed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designing, it was focused more on the naturality of Gucheon River rather than the human convinience and ecological design factors were applied within the ecological capacity of the site. First, the indexes for constructability evaluation is selected.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as construction quality, design quality and construction administration system. Each index has details, so there are twenty sub indexes for contractibility evaluation. Second, the evaluation results shows that the index most in need of improvement was plumbing construction, followed by Stone construction and pavement construction. design concept was evaluated as appropriate in entire categorie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it can be improved in both process of design to enhance the technology and process of construction to enhance the quality management. The constructability of ecological stream needs adaptive management and it must be discussed with its designing which is at the stage before construction. Also it needs discussion with its designer constantly and feed-back process.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에서 135° 갈고리 대체 클립형 연결장치의 시공성 및 비용 분석 (Constructability and Cost Analysis of the Clip-Type Binding Implement Substituting 135° End-Hooked Transverse Reinforcement i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 박경언;윤현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59-46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띠철근 상세로 이용되는 갈고리 양단 135° 교차시공에 대해 동등이상의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시공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클립형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90° 갈고리 띠철근에 결속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안한 클립형 연결장치에 따른 시공성 평가 및 소요비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둥 1개 전체 철근 조립하는 데 작업 시간은 클립형 연결장치 사용시 50%의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용분석 결과 클립형 연결장치 1개 사용시 절감효과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표준 갈고리 상세 대비 약 32%의 비용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정형 건축물의 시공성을 고려한 디지털 최적화 기술 적용 방법 (Digital Optimization Method for Constructability of Freeform Building)

  • 김성진;류근석;류한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5-226
    • /
    • 2012
  • Nowadays the widely used media in architecture include visualizations, animations and three-dimensional models. An optimized 3D digital method using active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and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imaging is developed for accurate shape and 3D measurements in freeform buildings in this paper. In contrast to a conventional building using auto CAD system and others, the proposed active digital optimization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3D numerical data and parametric 3D model.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o present digital optimization method for constructability of freeform building. The 3D digital optimization method is appropriate to serious variations in freeform shape. The developed digital optimization method is necessary to be carried out to verify the robustness and accuracy for construc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