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treatment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5초

월정교지 출토 목재유물의 보존처리 (The Conservation of an Woljung Wooden Bridege Structure)

  • 이창근;김익주;김신국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3호
    • /
    • pp.9-13
    • /
    • 1992
  • An Woljung wooden bridge structure, which assumde to has been built in the unification of shilla dynasty, was excavated at Nam-chun river basin inKyung-ju. As a result of primary investigation, the weigh loss was 70-80% and the volumetric shrinkage was up to 38% without any conservation. Between 1986 and1991, they were conserved by the two step PEG treatment at the Mokpo Conservation Institute for Maritime Archaeological Finds.

  • PDF

석조문화재 보존과학의 세계적 연구동향과 우리의 과제 (State of the Arts of the Conservation Science of Stone Monuments and Our Tasks)

  • 김수진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4년도 제20회 발표논문집
    • /
    • pp.1-14
    • /
    • 2004
  • World state of the arts of the conservation of stone monuments is reviewed and the modern conservation program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is proposed for the scientific conservation of stone monuments in Korea. The conservation program suggests that the site environment diagnosis, decay diagnosis, petrophysical property analysis, and conservation experiment should always be carefully studied before conservation treatment. It is an up-to-date widely accepted concept in the world of stone conservation science. Our urgent national tasks that should be accomplished for the scientific conservation of stone monuments in Korea are proposed in the following: 1) The stone monument conservation projects should be planned in accordance with 'Conservation Concept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and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ed 'Conservation Program for Stone Cultural Property'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2) It is proposed that 'National Institute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Properties' be established for systematic conservation research on th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3) The conservation projects of stone monuments should be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stone conservation specialist for their quality control. 4) Special national budget should be prepared for quick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conservation science in Korea.

  • PDF

Three-Dimensional Digital-Mold Modeling and Sand-Printing for Replication of Bronze Mirror

  • Jo, Young Hoon;Lee, Jungmin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5-33
    • /
    • 2021
  • To extend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to the replication of artifacts, meticulous details of the process and the diversity of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output materials need to be supplemented. Thus, in this study, a bronze mirror with Hwangbichangcheon inscription was digitalized by 3D scanning, converted into a voxel model, and virtual conserv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using a haptic device. Furthermore, the digital mold of the bronze mirror completed by Boolean modeling was printed using a 3D sand-printer. Such contactless replica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reflects the stability, precision, expressivity, collectivity, dur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artifacts. Its application can be further extended to cultural products as well as such areas as education, exhibition, and research. It is expected to be in high demand for metal artifacts that require casting. If empirical studies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on casting are supplemented in the future, it could extend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based contactless replication methods.

조선중기 조경(趙儆)영정의 보존 및 제작기법 연구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Conservation of Portrait Scroll of 'Jo Gyeong' Dated Middle of Joseon)

  • 장연희;유혜선;황유정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85-93
    • /
    • 2008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에서는 서화유물도록 발간 사업의 일환으로 초상화 3점을 보존처리 하였다. 그 중 조경영정은 조선 17세기 대표적인 선무공신상(宣武功臣象)으로 1997년 기증된 유물이며, 견본채색 전신상으로 족자표장이 되어 있다. 이 영정은 화견(畵絹)이 배접지와 완전히 들떠 있으며, 안료의 박락 등 열악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보존처리 전 과학적 조사(현미경 조사, XRF, X-ray)를 통해 제작기법 및 재질을 조사하고 해체, 클리닝, 배접지 제거, 결손부 보강, 배접, 마무리 순으로 보존처리 하였다.

암석 재질에 따른 보존처리제의 현장 적용성 평가 (An Estimation on the Field Application of Consolidants According to Rock Quality)

  • 김재환;한민수;이장존;송치영;이재만;김민지;이명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0호
    • /
    • pp.79-91
    • /
    • 2009
  • Stone cultural heritages are mostly situated in field, so they are damaged from mechanical, chemical and biological weathering, and their degree of strength is also weaken. Therefore, the scientific conservation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s are necessary in order to the long-term maintenance and safety conservation.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stimate on the field application of consolidants which are Wacker OH 100, Remmers KSE 300 and 1T1G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rocks. Based on the ultrasonic velocity, conditions of weathering damage before treatment are mainly ranked completely weathering condition (CW) or partly highly weathering condition (HW). After the first treatment, weathering damage conditions are changed by the high weathering condition (HW). These results shows that the internal pores of stone are filled with consolidant materials, so average ultrasonic velocities increases after treatment. And Remmers KSE 300 which is consolidant material is highest rate of increase of average ultrasonic velocities.

  • PDF

손기정 기증 고대 그리스 청동제투구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Ancient Greek Bronze Helmet donated by Sohn Keechung)

  • 박학수;정수빈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4권
    • /
    • pp.69-79
    • /
    • 2013
  • 손기정(1912 - 2002)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의 부상으로 받은 보물 제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제투구는 보존처리 부위가 열화되어 균열과 변색이 발생하였고, 코가리개가 상단 접합 부위의 균열에 의해 아래쪽으로 쳐지게 되어 다시 보존처리하였다. 코가리개를 본체에서 분리하고, 본체와 코가리개를 안정화 및 강화처리를 한 후 다시 접합하였다. 본체의 균열 부위와 결실 부위에는 직조 유리섬유로 보강하였으며, 코가리개는 접합 후 직조 유리섬유와 Ti판을 사용하여 보강하였다. 코가리개의 충전 부위는 주변과 같이 문양을 새기고 색맞춤을 하였다.

나주 복암리 고분군 출토 소뼈의 수습 및 보존처리 (On-site Treatments and Conservation of Ox Bones Excavated from Bogam - ri tumulus, Naju)

  • 이정민;박영환;윤혜성;함철희;권혁남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6호
    • /
    • pp.74-85
    • /
    • 2015
  • 나주시 복암리 고분군 발굴현장 저습지에서 소뼈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소뼈는 전체적인 형태는 알아 볼 수 있으나 토압에 의한 하중과 반복적인 동결융해로 인하여 부후 및 균열이 발생하였고, 다수의 편으로 파손 와해되어 가루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파손된 편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물 주변의 토양과 함께 탈수${\rightarrow}$강화${\rightarrow}$포장 순으로 수습하여 실내에서 일련의 보존처리를 통해 완형을 찾고자 하였다. 유물의 해포 및 보존처리는 바닥면 흙 제거${\rightarrow}$강화처리${\rightarrow}$바닥면 보강${\rightarrow}$출토면 이물질 제거 및 강화처리${\rightarrow}$보관용 박스 제작${\rightarrow}$마무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나주 복암리 소 뼈의 경우, 머리가 없고 네다리가 묶여 있는 형태로 출토되었다. 이는 매납 당시 제의 의식에 의해 동물이 묶여있었고, 이후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출토 당시의 환경조건으로 인하여 뼈가 심각하게 부후되어 재질이 매우 취약하였으므로, 독립적 해체를 통해서 동물의 원형을 찾기보다는 매장된 이유와 형태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출토된 형태 그대로 복원하였다. 즉 이번 사례는 유물의 성격이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보존처리되는 형태를 제시하며,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골각기에 대한 수습에서부터 보존처리 까지의 전 과정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복제 기법을 이용한 찰갑의 보존처리 - 김해 진영 2지구 출토품의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Scale Armor Using Duplication Techniqu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Excavated Artifact from Jinyoung 2-Area, Gimhae -)

  • 김동민;박중혁;조현경;조남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5-86
    • /
    • 2015
  • 찰갑은 매납 이후 부식으로 약화되고 토압에 의해 각 소찰들이 흐트러진 상태로 출토된다. 따라서 출토 즉시 현장 보존처리를 통해 출토 당시의 모습 그대로 실내로 옮겨져야 하며, 실내 보존처리에서는 단단한 지지층으로 보강하여 바닥에 놓여 진 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보존처리 후 실견이 불가능한 바닥면에 대해서는 실측과 사진촬영 등을 통해 자료를 남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자료만으로 유물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김해 진영 2지구' 출토 찰갑의 보존처리에서는 바닥면에 대한 자료화 방법으로 실측, 사진촬영 이외에 복제를 통해 실견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갑은 토압에 의해 좌우로 찌그러져 정확한 형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였는데, 개별 지판을 복제한 후 하나로 합쳐 매장 당시의 원형대로 복원하여 실물자료를 확보하였다. 찰갑의 보존처리에서 새로이 복제 기법을 적용하여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웠던 바닥면과 경갑에 대한 실물자료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유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갑옷의 구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남원(南原) 척문리(尺門里) 출토 은화관식 보존처리와 외형적 특징 연구 (A Study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ilver Diadem Ornaments with Flower Design Excavated from Cheokmun-ri site, Namwon)

  • 이영범;양은희;범대건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0권
    • /
    • pp.15-20
    • /
    • 2009
  • 남원 척문리 출토 은화관식의 보존처리 과정과 부식화합물의 종류를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시대 은화관식 12점의 4가지 기존 형식 분류를 구체화 하고, 각각의 은화관식을 비교한 결과 제작기법은 동일하나 크기나 두께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것으로 볼 때 은화관식을 제작할 당시 많은 수량을 한번에 만든 것이 아니고 필요할 때마다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연군주묘(淸衍郡主墓) 출토복식(出土服飾) 중 직김(織金), 부김의(附金衣)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of Jikgeum(Weave with Supplementary Golden Wefts) and Bugeum(Gold sticking) Textiles and Costumes Excavated from Tomb of Cheongyeongunju (a Princess))

  • 박승원;이윤경;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67-83
    • /
    • 2008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연군주 출토복식(신수751 의류 일괄) 중 織金 및 金箔이 있는 복식의 보존 처리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금사 및 금박의 비파괴분석(X-선형광분석:XRF)을 실시한 다음 표면의 금(Au)이 열화가 진행되면서 분상화된 금층에 아교 2%용액을 도포하여 접착력을 강화하였다. 표면의 먼지와 오염물제거를 위해 진공흡입을 통한 건식세척과 분사식 습식세척을 병행하였고 손상부분을 보수하여 유물의 원형을 회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