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material

검색결과 794건 처리시간 0.028초

저산소 및 열처리법에 대한 문화재 재질 안정성 평가 (Material Stability Assessment of Low Oxygen and Heating Treatment)

  • 장한결;백나연;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9-156
    • /
    • 2014
  • 기존에 사용되던 Methyl bromide가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해 규제대상이 되면서, 이를 대체할 친환경 방제처리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식품분야 등에서 방제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저산소 및 열처리 기술을 문화재 생물피해 방제 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 저산소처리법은 질소가스 주입으로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낮추어, 열처리법은 가온 또는 냉각을 이용하여 충 균을 치사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조건축물과 관련된 재질인 목재, 안료, 지류, 섬유 등에 저산소처리법과 열처리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저산소처리의 재질안정성 평가 결과 목재의 함수율이 약간 감소하였으나 자연회복력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안료, 지류, 섬유의 색차 및 강도는 안정하였다. 열처리법 적용 시에는 안료의 박리현상이 관찰되었다. 저산소처리법과 재질에 안정한 온도조건에서의 열처리는 기존에 사용되어온 화학적 처리방법 문제의 대안으로서 충분히 고려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김해(金海) 양동리(良洞里) 321호묘(號墓) 출토(出土) 갑옷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of the Plate Armour Excavated from No. 321 Tomb, Yangdong-ri, Gimhae)

  • Kim, Midori;Oh, Kwangseob;Kim, Dongwon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6권
    • /
    • pp.11-16
    • /
    • 2005
  • 김해 양동리 고분군 321호묘에서 출토된 종장판갑을 보존처리하고 그 구조에 대해 조사하였다. 종장판갑의 처리는 우레탄 폼에 포장된 판갑을 해체하여 약화된 유물의 재질을 강화하고 원래의 형태를 복원하는데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대구 시지동 출토 목제 두레박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Wooden Well-bucket Excavated from Siji-dong, Daegu)

  • 이효선;전효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6권
    • /
    • pp.67-71
    • /
    • 2005
  • 대구 시지동 생활유적 우물 내부에서 출토된 목제 두레박을 보존처리 하였다. 두레박은 오랜 매장 기간으로 인해 육안 관찰만으로도 부후가 상당히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취약한 상태의 유물 보존처리를 위하여 세틸알콜을 사용하였으며, 알콜의 농도를 점차 상승시키면서 목재내 수분을 알콜로 치환한 후, 세틸알콜 농도를 20%, 40%, 60%, 80%로 20%씩 농도를 상승시키고 각 농도단계에서 2주간씩 함침처리 하였다. 함침 완료 후 표면의 잔류 세틸알콜을 제거하고 자연건조를 실시하였다.

도포방식에 따른 밀랍지 시제품의 특성 분석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Wax-treated Paper Depending on Coating Methods)

  • 서진호;최경화;박지희;강영석;윤경동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2호
    • /
    • pp.64-69
    • /
    • 2009
  • Cultural heritages represent the histories and intellectual level of a country.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are regarded as the most valuable resources containing the record of Korean history. In some periods, wax-treated paper wa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Man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aper used as the material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but the manufacture method of wax-treated volumes and the degradation mechanism of wax have been not fully understood yet.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produce various kinds of wax-treated paper using by different coating methods and to analyse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wax-treated paper. The analysis of SEM demonstrates that beeswax treated paper made by brushing method produces flatter surface and more excellent penetration. Wax layer is produced on the cross section of beeswax treated paper as the increase of coating amount.

전시 조명에 의한 천연염색한지의 색과 강도 변화(I) (Changes in Color and Strength of Natural Dyed Korean Paper Caused by Exhibition Lighting(I))

  • 이승은;노현숙;이민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51-58
    • /
    • 2008
  • 박물관에서 항상 사용되고 있는 전시 조명이 유물의 변색 및 재질 약화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조명들이 유물과 비슷한 재질의 염색 한지 변색 및 재질 변화에 주는 영향을 직접 실험하였다. 전시 조명에 따라 염색 한지에 끼치는 영향은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들을 근거로 보다 유물에 안전한 조명을 선택할 방법을 모색하였다. 네 타입의 형광등을 실험해 본 결과 그 중 한 형광등이 변색 및 재질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어 박물관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여 합정리 유적 출토 백제이식의 과학적 분석 (Scientific Analysis of Baekje Earrings from Habjung-ri Site in Buyeo)

  • 조현경;전유리;어지은;조남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71-80
    • /
    • 2012
  • 소환이식은 주환(主環)만 있는 둥근 고리형의 이식이다. 본고에서는 백제 분묘에서 출토된 소환이식을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역사적 요소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여 합정리 유적에서 출토된 백제이식 6점의 조형적인 특징과 재료학적 특성을 현미경과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식의 성분조성비와 제작기법을 유추하였다. 분석결과 백제 웅진기에서 사비기에 이르는 시기에는 금과 은의 합금재료를 생산하는 기술, 가열 압접 기술, 아말감도금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금공품에 널리 적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연구는 차후 백제 이식의 시대별·지역별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Preparation of Stick Type Solid Glue as Paper Adhesive Using Mixed Seaweed Extract

  • Oh, Seung-Jun;Han, Won-Sik;Wi, Koang-Chul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9-277
    • /
    • 2019
  • Seaweed extracts, namely carrageenan obtained from Grateloupia elliptica and algin obtained from Laminaria, were employed as adhesive agents to synthesize solid adhesives for paper. Carrageenan from Grateloupia elliptica with the highest adhesive strength and lgin from Laminaria with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was selected. The selected carrageenan and algin were mixed in a ratio of 7:3, and the mixture was employed as an adhesive agent. At a high temperature, sodium stearate(used as a solidifying material) oxidized the seaweed extracts. Consequently, carrageenan and algin were added to the final manufacturing proces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final synthesized solid adhesive is found to be 3.02 MPa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is found to be 30.5 N. Compared to the adhesive strength (2.95 MPa) and compressive strength (30.11 N) of commercial solid adhesives,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 superior adhesion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proposed adhesive is environment-friendly because the presenc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maldehyde, and heavy metals(such as chromium, lead, and cadmium) were not detected. Moreover, when used, the flatness of paper was twice that of commercial solid paper adhesives. Hence, the proposed adhesive can provide excellent adhesion, stability, and usability.

여수 진남관 상량문의 재질분석 및 보존처리 (Materi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Sangryangmun in Jinnamgwan, Yeosu)

  • 임세연;유지아;이재성;정희원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3-2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여수 진남관 보수 정비 사업 중 발견된 상량문(1965년 기록)을 중심으로 재질의 성분분석 및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상량문은 금속함에 말아 보관되어 있었으며, 결손, 변색, 경화, 이물질에 의한 손상 등이 확인되었다. X-선 형광분석(XRF) 결과 구리(Cu)로 제작된 금속함에서 기인한 녹이 상량문 표면에 고착되어 있었다. 상량문 표면에 대해 적외선분광법(FT-IR)과 열분해-GC/MS(Pyrolysis-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카르보닐기와 지방산 화합물 등이 확인되어 상량문 표면 유기물은 기름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섬유 동정 결과 닥나무 인피섬유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분분석 및 상태조사, 접착제 예비 실험 등을 바탕으로 보존처리 재료를 선정하였으며, 닥섬유지와 메틸셀룰로오즈 등을 이용하여 보강 후 부분적으로 배접하였다.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 및 보존처리 (Precise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win-lion Stone Lantern from the Godalsa Temple Site, Yeoju)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주식회사 담원문화유산;주식회사 만경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1권
    • /
    • pp.71-103
    • /
    • 2024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는 야외 석조물 정원에 전시하고 있는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 및 비파괴 조사 등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손상도를 평가하고, 보존관리 방안을 검토하여 보존처리하였다. 보존처리는 정밀 진단-석등 옥개석 기존 복원부 해체-석등 옥개석 신석재 구조 보강 및 복원-석등 중석 기존 복원부 신석재 복원-복원부 표면 질감처리-세척(습식, 레이저)-고색 처리 순으로 진행하였다. 석등의 옥개석은 기존 복원부에서 발생한 이격에 대한 안전 진단 결과를 토대로 기존 복원부를 제거하고 신석재로 복원하였다. 복원용 석재는 광물 분석 결과를 참고하고 표면 색상 및 입자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상주석 화강암으로 선정하였다. 신석재는 옥개석의 팔각 모서리 내림마루선 기준으로 3개의 조각으로 분할하여 에폭시 수지로 접합하였고 티타늄봉을 삽입하여 구조 보강하였다. 이번에 진행한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 및 보존처리는 향후 야외에 위치한 석조문화유산의 보존 관리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