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cise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win-lion Stone Lantern from the Godalsa Temple Site, Yeoju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 및 보존처리

  • National Museum of Korea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
  • Damwon Cultural Heritage Inc. (Damwon Cultural Heritage Inc.) ;
  • Man Gyeong Corp. (Man Gyeong Corp.)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주식회사 담원문화유산 (주식회사 담원문화유산) ;
  • 주식회사 만경 (주식회사 만경)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conducted a precise diagnosis and a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overall damage of the Twin-lion stone lantern from the Godalsa Temple site, Yeoju to be placed on display in the museum's outdoor stone garden, then reviewed the releva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and applied conservation treatment to the artifact. The museum carried out the treatment in the following order: precise diagnosis; dismantling of the previously-restored part of the roof stone; reinforcement and restoration of the roof structure with new stone; restoration of the previously-restored part of the lantern's support stone (jungseok); surface texture treatment to the restored area; cleaning (basic, laser); and color matching. The previously-restored part of the roof stone was removed and restored with new stone material, based on the results of a safety diagnosis regarding the separation at the said part. Granite from the Sangju area was selected as the material for the resto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mineral analysis as well as the surface color and particle size. The new stone was divided into three pieces based on the descending edges of the octagonal roof structure and joined together using epoxy resin. The structure was further strengthened by inserting titanium rods. It is expected that the status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win-lion stone lantern from the Godalsa Temple site in Yeoju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outdoor displays of stone cultural heritage.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는 야외 석조물 정원에 전시하고 있는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 및 비파괴 조사 등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손상도를 평가하고, 보존관리 방안을 검토하여 보존처리하였다. 보존처리는 정밀 진단-석등 옥개석 기존 복원부 해체-석등 옥개석 신석재 구조 보강 및 복원-석등 중석 기존 복원부 신석재 복원-복원부 표면 질감처리-세척(습식, 레이저)-고색 처리 순으로 진행하였다. 석등의 옥개석은 기존 복원부에서 발생한 이격에 대한 안전 진단 결과를 토대로 기존 복원부를 제거하고 신석재로 복원하였다. 복원용 석재는 광물 분석 결과를 참고하고 표면 색상 및 입자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상주석 화강암으로 선정하였다. 신석재는 옥개석의 팔각 모서리 내림마루선 기준으로 3개의 조각으로 분할하여 에폭시 수지로 접합하였고 티타늄봉을 삽입하여 구조 보강하였다. 이번에 진행한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 및 보존처리는 향후 야외에 위치한 석조문화유산의 보존 관리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산하, 이태종, 조하진, 박희정,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흑색오염물 유형분류 및 제거방안 연구, 보존과학연구 40, p55-68, (2019).
  2. 김영택, 이용운, 조성남, 이주목, 낙성대 삼층석탑 보존처리 사례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23, p31-48, (2020).
  3. 김주형, 한민수,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27, P103-124, (2022).
  4. 김지영, 이명성, 비파괴 기술을 활용한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의 표면오염물 분석과 물성진단, 문화재 55(2), p186-197, (2022).
  5. 박희정, 이태종, 박세린, 김명남,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의 실리카 필러에 의한 표면변화 비교 연구, 보존과학회지 38, p615-631, (2022).
  6. 안유빈, 유지현, 천유건, 이명성, 울주 천전리 암각화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식생지수 변화 분석, 보존과학회지 37, p659-669, (2021).
  7. 양혜리, 이규혜, 이찬희, 화석지 손상도 정밀진단 기반 보존관리체계 연구 :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광산지질 56(6), p675-695, (2023).
  8. 유재형, 양석진, 하선희, 김태하, 광원에 의한 경천사지 십층석탑 복원재 변화도 측정 조사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29, p81-98, (2023).
  9. 이명성, 최명주, 이태종, 전유근, 비파괴 분석을 활용한 조선왕릉 태릉 석조물의 손상특성 분석, 문화재 53(3), p222-241, (2020).
  10. 이승연, 오승준, 위광철, 석조 문화재 보존용 저황변 Epoxy의 제조 및 물성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26, P1-12, (2021).
  11. 이승준, 조형훈, 김지호, 조효식, 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의 결손부 디지털 복원 및 3차원 프린팅 복제모형 제작, 박물관 보존과학 29, P99-110, (2023).
  12. 이정은, 박석태, 이찬희,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및 칠층석탑의 정밀 계측모니터링과 미세거동 해석, 문화재 56(4), p132-158, (2023).
  13. 이찬희, 김성태, 채우민, 박준형,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과 석등의 출처해석과 암석학적 특성, 보존과학회지 39, p36-53, (2023).
  14. 이찬희, 전유근, 화학적 풍화작용과 조성변화에 따른 열변질 이질암의 풍화심도 모델링 및 평가 : 울주 천전리 각석, 문화재 56(4), p160-189, (2023).
  15. 이찬희, 최명주,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의 손상특성 및 안정성 평가, 자원환경지질 54(1), p137-150, (2021).
  16. 조하진, 채승하, 송진욱, 이명성, 이태종,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석조문화재의 재질특성 및 풍화양상 연구 : 구리 동구릉을 중심으로, 문화재 55(4), p180-193, (2022).
  17. 채승아, 조하진, 이태종, 원주 법진사지 지광국사부도의 모르타르 복원지역의 물질적 특성과 표면 열화의 원인 분석, 보존과학회지 37, p411-425, (2021).
  18. 한두루, 김성한, 박석태, 이찬희, 통영 세병관 초석의 암석학적 특성 및 비파괴 손상평가, 자원환경지질 54(2), p199-212, (2021).
  19. 이찬희, 박석태, 이혜지, 이정은, 김혜빈, 고휘병, 김한나, 공예빈, 여주 고달사지 쌍사사 석등 정밀 안전진단, 국립중앙박물관, (2021).
  20. Ishihara, S., The magnetite-series and ilmenite-series granitic rocks, Mining Geology 27, p293-305, (1977).
  21. 김사덕, 이정은, 이동식, 이찬희, 익산 미륵사지석탑 복원을 위한 대체석의 동질성 검토, 보존과학회지 27, p211-222, (2011).
  22. 이찬희, 김무연, 조영훈, 이명성,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문화재 43, p4-25, (2010).
  23. 이찬희, 김영택, 이명성,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183-196, (2007).
  24. 이동식, 김현용, 김사덕, 홍성걸, 석조문화재 복원을 위한 금속보강재 매입방법 표준화 연구, 문문화재 46(3), p212-229, (2013).
  25. 김영택, 경복궁 근정전 권역 석조문화재의 보존과학적 손상도 및 진단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박사학위논문, p142-148, (2018).
  26. 도진영, 김정진, 조현구, 도심지역에 위치한 탄산염암 석탑 표면에 형성된 흑색층의 특성과 기원, 한국광물학회지 19, p383-392, (2006).
  27. 이종명, 문화재 복원을 위한 레이저 세정 기술, 보존과학회지 10(1), p10-20, (2001).
  28. 김진형, 김사덕, 강대일, 아오키시게오, 경천사 10층석탑 오염물 제거 방안 연구 : 레이저를 이용한 오염물의 제거 방안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3, p41-57, (2002).
  29. 김사덕, 이주완, 신은정, 김진형, 김용택, 북관대첩비의 훼손에 따른 과학적 보존처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23회 학술대회, (2006).
  30. 이태종, 김사덕, 이주완, 오정현, 이명성, Nd/YAG레이저를 이용한 포항중성리신라비 표면오염물 제거와 보존처리, 문화재 44(4), p142-153, (2011).
  31. 조하진, 채승아, 이태종, Fiber Laser를 이용한 석조 표면 오염물제거 연구: 흑색오염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56회 학술대회, (2022).
  32. 이태종, 조하진, 박희정, 채승아, 유하림, 강산하, 박지영, 정소라,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복원 III,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20).
  33. (주)담원문화유산, 야외전시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세척), 국립중앙박물관, (2021).
  34. (주)담원문화유산, 호암미술관 야외 석조문화재(석등) 보존처리 보고서, (재)삼성문화재단,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