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Planning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38초

우리 나라 연안습지의 보전과 환경친화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ning for the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Korean Coastal Wetlands)

  • 박태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4-7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nings for the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Korean coastal wetlands. The function, economic value, and the necessity for the conservation of coastal wetlands are described.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Korean Governmental policies for the use of coastal wetlands, and their problems are surveyed and analysed. The management plannings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Korean coastal wetlands is suggested as follows: (1) The coastal wetlands need to be divided into 3 different regions based on PSR(Pressure, State, Response) of OECD. (2) Each region should be managed by appropriate management plans which are suggested in Chapter IV of this paper. Finally, in order to realize these management plannings the change of Governmental system and laws are suggested as follows: (1) The change of relevant laws is required. Additionally, each region should managed by proper governmental agencies. (2) The EIA(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should be improved. (3) The participation of regional people should be guarante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the business and other important planning regarding coastal wetlands. (4) The system which primed the ecological value of coastal wetlands should be established.

  • PDF

박물관자료의 보존을 위한 전시공간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Planning of Exhibition Space for Conservation of Collection in a Museum)

  • 정성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91-10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guidelines of exhibition space for conservation of collection in a museum.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a condition of conservation which is focused on deterioration in a exhibition spac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total 42 facilities and analyzed the specific instance which is excellent by factor of environment plan. Here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hibition space should be equipped with sufficient 'Filtering Space' before the outdoor and located central territory in a museum facility. Second, exhibition space should be partition off an area into the quality of collection, and then controlled by each of them. Third, in consideration of the annual air fluctuation of our country, the database which is adaptable for setting up the standard of temperature and RH must be prepar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ference Exhibition Room' which is formed cellular type and a 'Garnering Exhibition Center'. Fifth, for the prevention of deterioration which is generated in exhibition space, the showcase must be high air-tight. Sixth, it is necessary to reduce a inside space of high air-tight showcase. Seventh, art-sorb is suitable for control the organic matter of collection and a except of fiber optics is not suitable for lighting of showcase. Eighth, wall-type showcase should be have air-chamber which is formed like museum storage and run over 8 hours a day.

농업·농촌 부문 공기업의 공익적 가치 인식 연구 - 한국농어촌공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 Value from Public Corporation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 The Case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임채환;범진우;안동환;유도일
    • 농촌계획
    • /
    • 제27권4호
    • /
    • pp.83-96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public value created by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 representative public corporation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We categorize agricultural and rural public values as 'stable food supply,' 'conservation of national environment and nature,' 'formation and cultivation of water resources,' 'prevention of soil loss and flooding,' 'conservation of ecological system,' 'conservation of rural tradition and culture.'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we apply content analysis. An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e use topic modeling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alysis which is used widely in the field of text-mining. Results show that internal perception for value suppliers are mainly created for 'stable food supply,' 'formation and cultivation of water resources,' and 'conservation of rural tradition and culture.' External perception for value demanders are created for all public values, but its evaluation and demand include various aspects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보존처리실 신설시 고려 사항 (Things To Be Considered for a New Conservation Laboratory)

  • 안병찬
    • 보존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57
    • /
    • 2002
  • 문화재 보존실은 문화재 병원과 같은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사무실과 같은 기준에 따라 신설되는 것이 보통이다. 여기서는 보존실 신설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일반적인 조건들을 건축, 전기 및 조명, 공조, 소방, 기기분야로 구분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와함께 보존실 업무의 특성이 반영된 작업공간을 창출하는 요령으로서 처리실의 공간구획을 작업대를 기준으로 하고 기자재 배치시 상하수도 및 공조시설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처리실의 업무와 성격이 다양해 여기서 제시한 기준과 요령을 모든 경우에 적용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러한 조건을 이해한 뒤 해당 보존실 업무의 전문성과 기능에 적당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처리실 신설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상하류 지형특성을 고려한 기반 GIS 토사유실 평가 (The estimation of GIS-based soil erosion considering up- and down-stream topographic characteristics)

  • 이근상;박진혁;황의호;고덕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3-3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와 GIS 기술을 이용하여 지형특성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토양보존계획 및 관리를 위해 검토되어야 할 토사유실 원인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학적으로 인접되어 있지만 저수지의 탁도에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안동과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였다. 각 유역에 대한 효과적인 토양보존계획 및 관리를 위해서는 강우발생에 따른 토사유실의 전반적인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토양보존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 유역을 구성하고 있는 소유역별 토사유실 잠재성을 심도 있게 분석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와 임하호 유역을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하여 토양침식인자, 지형인자, 식생피복인자 그리고 토사유실량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제시된 접근방법은 토양보존계획을 위해 검토되고 관리되어야 할 우선지역 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 할 것이다.

  • PDF

경관생태계획 모형설정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Model)

  • 나정화;조현주;이현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8-64
    • /
    • 2008
  • 본 연구는 각종 대규모 개발사업 및 난 개발 등에서 야기되는 경관훼손 문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체계화된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설정하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 외 문헌분석 결과, 경관생태계획 모형설정을 위한 계획지표 항목은 자연보호지역의 설정, 습지 비오톱의 관리 및 조성 등 총 60개로 나타났다. 이들을 물리적 지표 항목 중심으로 재설정한 결과 최종적으로 선정된 계획지표 항목은 총 34개로 분석되었다. 사례지 현장조사 결과, 총 17곳의 사례지 내에는 문헌분석에서 도출된 34개의 계획지표들 모두가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조사 과정에서 추가된 계획지표 항목 4개를 포함하여 최종 선정된 계획지표 항목은 총 38개로 나타났다. 세부 계획지표들의 중요도 분석 결과, 대부분 5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연보호지역 설정, 경관보호지역 설정 등은 중요도 값이 6.2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또한, 세부 계획지표 특성별 유형화를 위해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근자연형 생물서식공간의 설치, 복구 및 관리' 등 총 7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상과 같은 세부 계획지표 항목의 유형화 결과 및 중요도 결과 값을 종합 분석하여 1차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설정하였다. 1차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좀 더 체계적인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최상 값 선택을 위한 다중비교(MCB)' 분석을 실시하였다. 5가지로 분류된 계획지표 군별 MCB 분석 결과, 각각의 계획지표군 모두에서 최상 값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전지역, 보완지역 등 총 9가지로 설정된 계획의 기본방향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 평균 중요도 참은 보전지역과 보완지역이 각각 4.62와 4.54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1차 모형, MCB 분석 및 계획의 기본방향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2차 경관생태계획 모형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직적 전환관계 분석에서 일례로 '보전지역'의 경우 휴양공간 조성을 제외한 모든 계획지표군에서 5.2 이상의 높은 중요도 값을 보였다. 또한, 수평적 연관성 분석의 경우 '추가적 개선, 관리 및 연결조치'와 타 계획지표군과의 연관성 정도는 5.3 이상으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과 경관으로부터 특별히 보호되어야 할 부분'과의 연관성에 관한 중요도는 6.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류생태계 보전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사방 전략(I) (Consideration on Environmentally Friendly Erosion Control Strategy for Conservation of Stream Valley Ecosystem (I))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7-75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current status to discuss erosion control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of stream valley ecosystem. To restore stream valley ecosystem, we should establish restoration plans to keep the original shape of stream. It is necessary to use environmentally sound materials with conservation of valley stability. Valley construction for erosion control works should be evaluated continuously based on concepts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stream valley ecology. It is categorized in point of the important of class of stream valley conservation ahead planning and constructure. We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stream valley construction needs to prevent mass movement of soil sediments. In addition, it is established the basal strategy to protect macro and micro aquatic organisms in stream valley ecosystem.

자연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A Legal Approach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Landscape)

  • 이상문;최형석;박창석;주신하;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13권3호
    • /
    • pp.23-32
    • /
    • 2007
  • In Korea, a regulation of visual impact evaluation on development plan in natural environment is provided at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but it was difficult to obtained the effectiveness enough to conserve natural landscape. So, the visual impact review on development plan is introduced to the act, through the revis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2005. The basic directions of visual impact review are preservation, restoration, view protection, and harmony. The items of review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alternations for the provided plan, (2) executive reduction plan of visual impacts including consideration of growth of plants, (3) deliberation process between persons or parties concerned, etc. For rapid settlement of visual impact review system, it needs that the validity, the reliability, and the objectivity should be confirmed through steady research about reasonable guidance of review.

우리 나라의 도시생태계 평가제도 고찰 (Study on Assessment Institution of Urban Ecosystem in Korea)

  • 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8-194
    • /
    • 2002
  • 우리 나라의 도시생태계 평가제도는 도시계획법에 의해 시행되는 제도와 환경관련떱에 의해 시행된는 제도로 구분된다. 도시계획법에 의한 평가제도는 개발행위허가기준과 도시계획 환경성검토가 있으며, 환경관련법에 의해 시행되는 제도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가 있다. 도시생태계 평가제도는 그 동안 개발지향적인 토지이용정책으로 인해 체계적인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평가기법도 입목본수도 및 녹지자연도 등을 제외하고는 객관적인 평가기법이 개발되지 알았다. 또한 평가 결과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에 대한 보전대책 및 계획과정과 사후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 나라의 도시생태계 평가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 비오톱지도와 같은 객관적인 도시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2) 평가결과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에 대한 보전지구 지정 및 훼손에 대한 보상 방안 마련, (3) 도시개발계획과 생태계 보전계획 수립의 병행 및 사후평가 시행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of Wetland Conservation Plan for Upo Wetland Protected Area)

  • 김수련;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80
    • /
    • 2019
  •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is used as a tool to set the management direction of wetland protected areas, and which is establishing a plan for the conservation, wise-use, and management based on wetland's con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plan considering the functions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Upo wetland protected area. To this end, there are analyzed the current issues, plans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Upo Wetland Conservation Plans in the past. The management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priority of those eleme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AH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ack of considering the chang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xisting plans in wetlands, conducting short-term projects related to maintenance original function of wetland,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for wetland protected areas and other adjacent areas, lack of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y stakeholders, inconsistencies in timing of the Conservation Plan and survey of wetland protected area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it needs to includ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strengthen cooperation of stakeholders and expertise, continuing of projects for wetlands' maintenance, priority of the project considering the management side, and to adjust the timing of plans to improve data avail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