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점복자를 찾아가는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Visit a Fortune Teller -focused o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 채가영;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00-6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젊은 여성들이 점복자를 찾아가는 심리적 동기와 점복 경험을 통해 얻는 심리적 이득을 알아봄으로써 상담에 보완할 문화적 요인을 찾고, 상담에의 접근을 방해하는 요인을 함께 알아봄으로써 한국인들에게 보다 적합하고 편안한 상담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방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심리적 지지를 받고 싶은 내적 동기를 가지고 점복자를 찾아가고, 그러한 심리적 요구를 점복을 통해 채우면서 상담에서 얻을 수 있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경험하며, 문제해결의 대안을 얻고 있었다. 한국 내담자들의 즉각적인 문제해결과 방향제시에 대한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좀 더 지시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을 해줄 필요가 있고, 운명의 수용을 통해 내담자가 겪는 고통에 대해 억울한 마음에서 벗어나 극복의 의지를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심리적 요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전문적인 상담서비스로 이어지지 않는 주된 이유는 상담이 아직은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되어 있지 않아 정보를 찾기 쉽지 않고, 여전히 상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and Recovery Process of the Korean Depression)

  • 주은선;조영임;김단비;강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05-526
    • /
    • 2017
  • 본 연구는 우울증을 겪은 한국인들의 우울증 경험을 있는 그대로 충분히 드러내어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울증을 경험하고 회복한 1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 이전 삶, 우울증 경험, 우울증 회복과정, 우울증 회복 후라는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은 관계, 취약한 환경, 심리의 3개 범주, 주관적 경험, 타인 인지 가능의 2개 범주, 회복의 도움, 회복의 걸림돌, 자발적 회복노력의 3개 범주, 회복의 결과, 조언, 경험을 통한 변화의 3개의 범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Everyday life difficul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CQR) research)

  • 이현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61-570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에서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재가 장애인 8명을 심층면접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4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8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심리 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은 자신감 결여, 건강문제 염려, 결혼(재혼) 및 이성문제, 가족관계 어려움, 외로움, 노후문제 염려로 나타났다. 사회 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관계의 어려움, 생계문제, 출산 양육문제, 직장생활 어려움, 외출 시 번거로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종교기관 모임, 지역사회체계 이용,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인간중심 상담과 여성장애인 동료상담의 적용가능성 연구 (Research on Possible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and Handicapped Women Peer Counseling)

  • 주은선;이성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2-35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 자립 생활센터의 장애인 동료 상담과 인간중심 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 상담 업무를 맡은 13명의 동료상담가를 대상으로 9회기의 인간중심 상담을 진행한 후, 심층 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1) 있는 그대로의 수용, (2) 상담자의 변인, (3) 한계점 및 아쉬운 점으로 3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 가운데 (1)은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의 2개 범주, (2)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자신을 수용하게 됨, 문제를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 자신이 인식하지 못했던 부분과 바람을 알아차리고 수용함,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한계와 잠재력을 인식함의 4개 범주, (3)은 현재 삶을 돌아보는 계기, 앞으로의 삶에 대한 태도를 정함으로 2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아동양육시설 생활복지사의 역할 및 직무경험 분석 (Analysis on the Roles and Occupation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 김기화;양성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581-592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ccupation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ix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is qualitative research used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at and classified the main findings into five categories and twelve sub-themes. This study revealed that child care professionals define themselves as "caregivers" and "role models." Positive effects of institutional life on a child were forming peer relationships and being able to use diverse services while negative effects included acquiring a social stigma, having problems in developing attachment between a child and a surrogate caregiver, developing passive attitude and weak will power from communal living. Meanwhile, conflicts with children and poor working conditions led to burnout for caregivers. Our recommendations on the direction of change for the facilities are: categorizing admitted children, supporting restoration of family functions, reinforcing support for children's preparation for an independent life, and developing expertise. This paper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 care facilities as well as encourages further social discourse on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rder to promot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Developing a Measurement Instrument to Explore Variables that Predict Teachers' Referral Intentions: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 Lee, Ji-Yeon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3-41
    • /
    • 2021
  • Purpose: Exploring the variables that predict teachers' intent when referring students to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s importan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 (TPB) is a theory of predicting people's intentions of performing a particular behavior; the intent to perform a certain behavior is determined by three factors. (1) attitudes toward the behavior, (2) subjective norms, and (3) perceived control.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PB measurement to investigate what variables predict the intentions of teacher's referral behaviors. Methods: A qualitative study following standardized manuals and guidelines for developing a TPB measurement was us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was used.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study,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to assess teachers' referral inten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behavioral control was developed. Resul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were tested and verified.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would contribute to a future empirical study that will examine predictors of teachers' referral intention.

대학 마일리지 제도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Mileage Scheme)

  • 안수현;이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71-381
    • /
    • 2020
  • 대부분 대학들은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을 독려하기 위해 비교과 활동내역을 점수로 환산하여 장학금을 지급하는 마일리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이 학생들에게 전략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생 경험의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마일리지 제도가 정착된 대학의 학생 1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감수자에게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전체 영역 및 범주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을 받았으며, 최종적으로 '마일리지 제도에 참여하게 된 동기', '마일리지 제도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경험', '마일리지 제도에 참여한 이후 경험의 영향'의 3개 영역과 18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생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통해 현행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검토와 향후 대학이 마일리지 제도에 대해 접근할 다양한 시사점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 개념에 관한 탐색적 연구: CQR-M 분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of Student Succes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 류소형;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33-65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학생들의 자유로운 생각을 듣기위해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해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고 9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응답결과는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성공의 의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 등 3개의 영역에서 2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의미'에서는 '학업성취·취업 역량 증진·다양한 경험 쌓기·만족스러운 취업·원하는 진로 설정·관계형성 능력 증진·나만의 목표 설정과 달성·자기 개발·만족스러운 대학생활'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에서는 '진로개발 지원·직무역량 향상 시스템·대학생활 참여지원·인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학습역량 증진 시스템·경제적 지원 확대·학생 편의를 위한 환경'으로 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에서는 '학습능력·자기효능감·대인관계 유능성·자기인식 및 개선·직무역량·자기조절 능력·풍부한 경험·진로인식·자존감'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영역별 빈도와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job-seeking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healthcare)

  • 오예슬;오은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36
    • /
    • 2013
  • 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job-seeking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 major in healthcare. Methods: For the analysis, 10 fourth-year students who are willing to get a job were interview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2011 to November 2011 for 2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and analys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The main reasons for the job-seeking stress for students were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getting a job, uncertainty, anxiety, pressure, and age. A reinforcing factor for stress was family. Conclusions: Universities should provide education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supports to job-seeking students majoring healthcare because of their relatively fewer opportunities for getting a job compared to those who have a major in non-healthcare.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실습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Job Training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Healthcare)

  • 오은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3-95
    • /
    • 2017
  • Objectives: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job training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 major in healthcare. Methods: For the analysis, 11 fourth-year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job training at healthcare-related agencies were interview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2016 to June 2016 for 3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and analys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The main reasons for the job training stress for students fell into two personal and environmental domains. And the domains were analyzed by 12 categories in-depth. Students felt stress by tasks, personal relationship, and burden of duties. Conclusions: To deal with job training stress, students took emotional and behavioral treatments such as positive thinking, communication, and so o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agencies and training programs to lighten the stress for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