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ivity Index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49초

THE CONNECTIVITY AND THE MODIFIED SECOND MULTIPLICATIVE ZAGREB INDEX OF GRAPHS

  • DU, JIANWEI;SUN, XIAOLI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9권3_4호
    • /
    • pp.339-358
    • /
    • 2021
  • Zagreb indices and their modified versions of a molecular graph are important descriptors which can be use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organic molecules from different aspects. In this work, we investigate some properties of the modified second multiplicative Zagreb index of graphs with given connectivity. In particular, we obtain the maximum values of the modified second multiplicative Zagreb index with fixed number of cut edges, or cut vertices, or edge connectivity, or vertex connectivity of graphs. Furthermore, we characterize the corresponding extremal graphs.

Distance Eccentric Connectivity Index of Graphs

  • Alqesmah, Akram;Saleh, Anwar;Rangarajan, R.;Gunes, Aysun Yurttas;Cangul, Ismail Naci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61권1호
    • /
    • pp.61-74
    • /
    • 2021
  • Let G = (V, E) be a connected graph. The eccentric connectivity index of G is defined by ��C (G) = ∑u∈V (G) deg(u)e(u), where deg(u) and e(u) denote the degree and eccentricity of the vertex u in G,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formulation of ��C that will be called the distance eccentric connectivity index of G and defined by $${\xi}^{De}(G)\;=\;{\sum\limits_{u{\in}V(G)}}\;deg^{De}(u)e(u)$$ where degDe(u) denotes the distance eccentricity degree of the vertex u in G.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study this new topological index. The values of the eccentric connectivity index is calculated for some fundamental graph classes and also for some graph operations. Some inequalities giving upper and lower bounds for this index are obtained.

Molecular Connectivity 법에 의한 탄화수소들의 $\pi$-결합에너지에 관한 이론적 연구 (제 1 보) (The Theoretical Studies for the $\pi$-Binding Energy of Hydrocarbons Using the Molecular Connectivity (I))

  • 김의락;은종국;이명재;김상해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3-152
    • /
    • 1987
  • 불포화고리 아닌 화합물(unsaturated acyclic hyrocarbons)과 불포화고리 화합물(unsaturated acyclic hyrocarbons) 153가지에 대한 $\pi$-결합에너지를 Huckel 분자궤도 함수론적으로 계산한 $E_{\pi}$값과 Kier의 molecular connectivity index, $\chi$와 비교하여 계산한 값 사이의 관계가 대단히 잘 일치함을 알 수 있고, Molecular Connectivity Index 중 일차 valence connectivity index, $^1{\chi}^v$$E_{\pi}$와 좋은 상관관계가 있다.

  • PDF

이질적 경관에서의 연결성 측정: 리뷰 및 적용 (Measuring Connectivity in Heterogenous Landscapes: a Review and Application)

  • 송원경;김은영;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3호
    • /
    • pp.391-407
    • /
    • 2012
  • The loss of connectivity and fragmentation of forest landscapes are seriously hindering dispersal of many forest-dwelling species, which may be critical for their viability and conservation by decreasing habitat area and increasing distance among habitats. For understanding their environmental impacts, numerous spatial models exist to measure landscape connectivity. However, general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connectivity and landscape structure are lacking, there is a need to develop landscape metrics that more accurately measure landscape connectivity in whole landscape and individual patches. We reviewed functional and structural definition of landscape connectivity, explained their mathematical connotations, and applied representative 13 indices in 3 districts of Seoul having fragmented forest patches with tits, the threshold distance was applied 500m by considering the dispersal of tits. Results of correla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connectivity indices could be divided by measurement methods whether they contain the area attribute with distance or not. Betweenness centrality(BC), a representative index measuring distance and distribution among patches, appreciated highly stepping stone forest patches, and difference of probability of connectivity(dPC), an index measuring including area information, estimated integrated connectivity of patches. Therefore, for evaluating landscape connectivity, it is need to consider not only general information of a region and species' characteristics but also various measuring methods of landscape connectivity.

Application of Quantitative Indices for Urban Environment Analysis in the Consideration of Remote Sensed Imagery: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 Lee, Ki-Won;Oh, Se-Ky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228-230
    • /
    • 2003
  • In this study, uses of remote sensed imagery in urban environment analysis are represented with the actual processed results with newly implemented programs running under ESRI ArcView-GIS to extract secondary information about mainly urban transportation environment. Implemented programs are about Accessibility index and Connectivity index. Accessibility index and Connectivity index are composed of four types of different algorithms and three types of algorithms such as alpha, gamma, and shimmel index. As show applied examples, tried to find out how remotely sensed imageri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t actual processing in the direct or indirect ways in these algorithms.

  • PDF

Molecular Connectivity법에 의하여 발암성 Benzenoid 탄화수소의 (The Theoretical Studies for the)

  • 김의락;은종국;이명재;김상해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61
    • /
    • 1987
  • Benzenoid 탄화수소의 발암성은 분자의 위상학적 성질에 크게 의존하며, 특히 benzenoid탄화수소가 발암성을 가질려면 그 구조상에 "bay region"이라고 알려진 부분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81가지 benzenoid 탄화수소에 대하여 발암성 "bay region"을 molecular connectivity index의 크기는 그들 화합물 중에 단일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제외하고는 아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 (A Methodology for Assessing the Network Connectivity Improvement for Transport Hubs)

  • 박준식;강성철;김거중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67-17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노드의 연계성 산출 모형을 사용하여 공급 연계성과 체감 연계성을 정의하였고,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범위와 분석 대상 노드 설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개선효과 분석 과정을 체계화하였으며, 연계성 개선사업의 효과평가 방법 및 기준을 제시하였다. 방법론을 사례 연구에 적용한 결과 적절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전국 도로 네트워크에 실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교통물류거점의 네트워크 연계성 분석 결과 값들이 어느 정도 축적된 이후에는 네트워크 연계성의 서비스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도로 네트워크의 노드 연계성 산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the Connectivity of Nodes in Road Networks)

  • 박준식;강성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29-1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연계성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우선 두 노드 간의 경로 수, 경로의 굴곡도, 설계속도 및 용량을 고려하여 노드 간 연계성 지수를 정의하였다. 노드의 연계성은 그 노드와 타 대상 노드들 간의 연계성 지수의 가중 평균으로 산출되는데, 여기서 대상 노드들과의 연결 가중치는 통행수요와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계성 평가 모형을 가상 가로망에 적용한 결과 모형이 적용 가능하고 적정한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계성 평가 모형은 통행 단위를 통일시키고 철도 링크의 용량 산정 문제를 해결하면 철도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합 교통 네트워크의 연계성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다.

공항의 허브화 평가를 위한 연속연결성지수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Indirect Connectivity Model for Evaluation of Hub Operations at Airport)

  • 이상용;유광의;박용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5-206
    • /
    • 2009
  • 유럽 및 미국에서 항공산업의 규제완화는 항공사가 그들의 네트워크를 허브-앤-스포크 구조로 변경토록 하는 원천이 되었다. 최근에 나타나는 아시아 항공시장의 자유화 움직임은 이 지역 항공네트워크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로 인해 항공사와 공항 당국은 허브-앤-스포크 운영에 따른 상호 연결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 개념을 정의하고 연결성 지수를 수립 운영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 연결성지수(CICI, Continuous Indirect Connectivity Index)를 제안하여 유럽, 미주 및 아시아 지역의 주요공항들에서 항공사 스케줄에 따른 허브화 조정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속 연결성지수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출발-도착 항공편 간 환승 편의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간 연결성지수 설정, 둘째 항공편의 경유 거리에 의한 매력도를 나타내는 공간 연결성지수, 셋째 환승노선의 운항빈도에 의한 상대강도지수 도출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 연결성지수와 환승객수 및 로그 환승률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지수의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연속 연결성지수와 환승객수의 결정계수는 0.94, 로그 연속 연결성지수와 환승률의 결정계수는 0.69로 Danesi와 Doganis지수보다 높은 인과성과 우수한 설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Aspect Value of Individual Biotope -Focused on the Habitat Function of Biotope-

  • Kim, Han Soo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3-278
    • /
    • 2015
  • This study is intended to evaluate the value of functional aspect from the viewpoint of habitat. The indicators that are used in biotope evaluations are various, but most of them use the criteria to evaluate the naturality. This evaluation method cannot appropriately reflec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coming from relation to the surrounding biotope. In this study, the connectivity, cohesion and diversity between individual biotope are quantitatively measured by a landscape index. It is hard to draw the functional value of individual biotopes because the landscape index related to connectivity, cohesion and diversity comes from a landscape having a number of biotopes. The concept of contribution was us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concept of contribution is to quantify how much each individual biotope contributes to the connectivity, cohesion, and diversity in a certain range of landscape by deriv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andscape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individual biotop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results in functional aspect, this research has don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in the same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vidual biotopes such as artificial forests, fragmented natural forests, and small planting sites were highly 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