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ion standardization databas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접합부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전단접합 설계 프로세스 개선 (Improvement of Shear Connection Design Procedure using Connections Standardization Database)

  • 김희동;황인규;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81-89
    • /
    • 2014
  • 국내에서 진행되는 전단 접합부 상세 설계 프로세스를 고찰한 결과 구조 설계자와 제작도면 작성자 및 제작자간의 상호 정보 교류에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 진행상에서도 불필요한 업무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접합부 상세 설계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구조설계자가 접합부 구조설계부터 최종 도면화 작업까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개선된 설계프로세스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강구조건축 접합부 표준상세 지짐의 내용을 활용하여 접합부 설계에 표준화 및 전산화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과 제작 및 시공성이 확보된 접합상세를 효율적으로 설계 및 도면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설계 프로세스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

지반굴착 흙막이 구조물 설계 및 시공시 중요문제점 분석 (The Analysis of the Important Problems on Designing and Constructing Earth Retaining Structures)

  • 이송;김주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67-174
    • /
    • 2002
  • 흙막이 구조물은 한정된 부지의 효율적인 활용 차원에서 고층건물, 개착식 지하철, 지하상가 등의 건설을 위해 시공되는 가설구조물이다. 최근 들어, 교량, 터널, 도로 등의 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표준화 작업과 DB화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각종 통계 자료가 축적되고 여러 문제점들이 분석되어 실제 설계 시공에 많이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 많이 설계 시공이 되는 흙막이 구조물과 관련해서는 DB화 작업이 전무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흙막이 구조물에 관련된 100개 현장의 설계와 시공에 대한 지적사항들을 분류하였으며,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분류체계를 구성하였으며, 흙막이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중요 고려사항을 DB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건설 CALS/EC 환경에서의 STEP 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도면정보와 자재정보 연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age of STEP data on the Construction CALS/EC Environment - Focusing on linking the Drawing Information and Material Information -)

  • 서종철;김인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139
    • /
    • 2003
  • Currently, it is not popular to use the STEP based product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drawing fil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using various product data in drawing files on the CALS/EC environment.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a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ISO 10303/STEP. To achieve this aim, the authors have analyzed the current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classification hierarchy widely used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examined the material data connection mechanism within CAD drawing data, and finally investigated the management systems for construction documentations and drawings in a public companies. Therefore, the expected benefit of the proposed system is that STEP drawing information management will be done standardization and the information of STEP construction drawing can be managed, shared and supported design business through materials data connection.

  • PDF

효율적인 NDB 설계 및 유통 정보 NETWORK 활성화 방안 (The Activation Plan of Chain Information Network And Efficent NDB Design)

  • 남태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3-94
    • /
    • 1995
  • 본 논문은 유통정보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효율적인 NDB(Network Data Base)을 설계하였다. NDB(Network Data Base)의 구조는 논리 구조, 격납 구조, 물리 구조로 형성되어 데이터는 하나의 레코드로서 표현되고 데이터들 간의 관계는 링크로서 표현되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표현한 자료 구조도(Data Structure Diagram:DSD)가 계층 모델로 나타내었다. 각 노드는 레코드 타입을 나타내었고, 타입들을 연결하는 방향을 지닌 링크, 논리적인 격납 형태로 구성되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데 물리 매체상 서로 연관성 있게 설계되어 자료의 검색과 억세스 효율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설계된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 표준화를 위해 OSI 환경하에서 POS(Point Of Sale)시스템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유통 정보 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켰다.

  • PDF

UML 기반 최적화된 J2EE 디자인 패턴 모델링 (Optimized Modeling Design of J2EE Design attern Based on UML)

  • 김종경;이돈양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12호
    • /
    • pp.937-942
    • /
    • 2003
  •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방법에서 새롭게 EJB 기반의 컴포넌트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EJB 기반 빈 생성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영속적인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환경에서 다양한 DBMS가 이용되고 있어 각각의 엔티티 빈에 종속되어 운용되고 있는 DBMS 연결을 DAO 패턴을 적용하여 분리하였고, UML을 이용하여 객체지향 설계 및 분석에서 표준화되고 정형화된 클래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모델링을 하였다.

  • PDF

상호작용적 학습 객체 지원을 위한 I-HTTP 개발 (Development of I-HTTP for supporting Interactive Learning Object)

  • 정영식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10호
    • /
    • pp.713-72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간 상호작용 도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 학습 객체 콘텐츠 표준화 기술을 적용하여 상호작용적 학습 객체인 ILO를 정의하고, 이것이 LMS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I-HTTP를 개발하였다. 1-HTTP는 비지속적 연결성을 갖는 기존의 HTTP를 개선하여 일정 세션 유지 시간 동안 접속 상태를 지속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지속적인 연결로 인해 ILO 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I-HTTP는 기존의 HTTP를 확장하였기 때문에 ILO는 물론 일반 HTML 문서도 처리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LMS와 ILO간의 표준화된 런치 과정을 프로토콜 내의 INIT, GETVAL, SETVAL, COMMIT, FINISH 메소드를 추가하여 구현하였으며, ILO의 학습자간 상호작용 결과는 별도로 정의된 데이터 모델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해운물류정보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한 실태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for Shipping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ctivation)

  • 김덕일;김명재;김성규;안기명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43-360
    • /
    • 2000
  • The information technology(IT)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along with the informationalization over the world, enables the firms to process their inner and outer operations through 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 system. And the concept of logistics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the enterprises in strategic sense because it had aggrandized itself to more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concept. Also the world shipping market is more competitive than any other market. In these environment, to maintain competitve power, shipping firms process operations by Logistics Information system(LIS), And then, reduce the working processes, working time and its costs. So the LI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developing our national logistics system and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on empirically analyzing the activation factors of shipping LIS and the relationship these factors with logistic performances in the shipping industry. Considering environments of Shipping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sets up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o examine the activation factors of shipping LIS and the relationship these factors with logistic performances. We used the field data on the 163 numbers of firms(29 overseas shipping companies and 133 forwarding Agency) to get the empirical evid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hipping LIS activation factors which the sample firms recognized as important: were top manager's support, well structured communication channel, strategic plan's connection and inner informationalization level. And IS organization & human resources, IS discipline & training, software development, IS organizational alignment, databas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standardization, competitive advantage, financial support and government support represent partially significant. Also, the current shipping LIS's main problems are expensive system cost, standardization of working process's, institution's imperfection and system's interaction defect. So these problems must be improved to activate shipping LIS.

  • PDF

해운물류정보(海運物流情報)시스템의 활성화요인(活性化要因)이 물류성과(物流成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The Activation of Shipping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on Logistics Performance)

  • 김성규;조성무;이용호;안기명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9-172
    • /
    • 2001
  • The information technology(IT)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along with the information analyzation over the world, enables the firms to process their inner and outer operations through 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 system. And the concept of logistics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the enterprises in strategic sense because it had aggrandized itself to more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concept. Also the world shipping market is more competitive than any other market. In these environment, to maintain competitive power, shipping firms process operations by Logistics Information system(LIS), And then, reduce the working processes, working time and its costs. So the LI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developing our national logistics system and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on empirically analyzing the activation factors of shipping LIS and the relationship these, factors with logistic performances in the shipping industry. Considering environments of Shipping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sets up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o examine the activation factors of shipping LIS and the relationship these factors with logistic performances. We used the field data on the 163 numbers of firms(29 overseas shipping companies and 133 forwarding Agency) to get the empirical evid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hipping LIS activation factors which the sample firms recognized as important: were top managers support, well structured communication channel, strategic plans connection and inner information analyzation level. And IS organization & human resources, IS discipline & training, software development, IS organizational alignment, databas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standardization, competitive advantage, financial support and government support represent partially significant. Also, the current shipping LISs main problems are expensive system cost, standardization of working processs, institutions imperfection and systems interaction defect. So these problems must be improved to activate shipping LIS.

  • PDF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 연구 (A Study on Advanced Model for GIS Connection and Integration in Local Governments)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89-202
    • /
    • 2007
  • 지자체 GIS 정보화가 확산되어감에 따라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확산, 타 정보와의 연계 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지자체 행정업무의 70-80%가 공간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만큼, 지자체 GIS 통합 연계가 지자체 정보화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지자체GIS 통합 연계 현황과 기존연구에서의 지자체 GIS 통합 연계 이슈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자체 GIS 통합 연계 이슈정립 및 해당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지자체 GIS 통합 연계 고도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자체 GIS 통합 연계 고도화모델은 지자체 지리정보 담당부서 중심의 통합연계에서 확대하여, 지자체 전 부서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통합연계를 고려한 모델이다.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을 위한 추진전략으로 자료공유방안, 지자체GIS 공통기반 데이터정비, 지자체 GIS 통합DB구축 및 연계구조 기반의 아키텍쳐 개선, 시스템 및 DB 구축 및 개선, GIS DB 통합인프라 표준정비, 지자체 GIS 통합연계 정보화 기반조성이라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제시된 모델의 구현을 위해선 협업의 개념이 바탕이 된 제도적인 뒷받침이 우선시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 PDF

국가R&D보고서 기재항목에 관한 연구 (Standard Items for National R&D Reports)

  • 이강산다정;황혜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11-230
    • /
    • 2020
  •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로 발생한 최종보고서 기재항목 기준을 마련하여 데이터베이스 품질 향상과 관리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49개 산하기관에서 제출한 최종보고서를 수집하고 기관별 샘플을 선정하였다. 과학기술기본법 시행규칙의 최종보고서·요약서 서식과 대조하여 구성요소와 기재항목을 정립하고, 국가연구개발정보표준과 연계현황을 분석하여 최종보고서의 고유항목을 도출하였다. 기재항목은 중요도에 따라서 주요, 선택으로 구분하고 기재항목의 기입 위치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최종보고서 기재항목의 표준화가 진행되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메타데이터 추출 자동화와 보고서 메타데이터의 품질 향상을 기대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