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ion Nodes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9초

ATM 망에서 동적 멀티캐스트 루팅 알고리즘 (A dynamic multicast routing algorithm in ATM networks)

  • 류병한;김경수;임순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2477-2487
    • /
    • 1997
  • In this paepr, we propose a dynamic multicast routin algorithm for constructing the delay-constrained minimal spanning tree in the VP-based ATM networks, in which we consider the effiiciency enen in the case wheree the destination dynamically joins/departs the multicast connection. For constructing the delay-constrained spanning tree, we frist generate a reduced network consisting of only VCX nodes from a given ATM network, originally consisting of VPX/VCX nodes. Then, we obtain the delay-constrained spanning tree with a minimal tree cost on the reduced network by using our proposed heuristic algorithm. Through numerical examples, we show that our dynamic multicast routing algorithm can provide an efficient usage of network resources when the membership nodes frequently changes during the lifetime of a multicast connection. We also demonstrate the more cost-saving can be expected in dense networks when applyingour proposed algorithm.

  • PDF

무선 에드혹 망 다중홉 트래픽제어를 위한 Clustering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Clustering Algorithm for a Traffic Control of Wireless Ad Hoc Networks multi-hop)

  • 이동철;김기문;김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61-1167
    • /
    • 2003
  • Ad hoc 네트워크상 노드들은 정보전송과 위치등록, 노드간의 라우팅경로 유지를 위해 많은 패킷전송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환경에서의 트래픽은 고정망에서 보다 이동성 변수에 따라 더욱 많은 수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ad-hoc 다중홉에서의 트래픽제어를 위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패킷 전송효율을 분석한다.

Ad-hoc 이동 통신망에서의 효율적인 라우팅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Routing Algorithm for Mobile Ad-hoc Wireless Program Developed Network)

  • 이동철;박종봉;김성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3-655
    • /
    • 2015
  • 본 논문은 Ad-hoc 네트워크에서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대해 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Ad-hoc 네트워크상 노드들은 정보전송과 위치등록, 노드간의 라우팅 경로유지를 위해 많은 패킷전송이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Ad-hoc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개발을 통하여 패킷 전송효율을 분석을 통해 문자메세지, 무료통화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향후 통신 서비스 산업에 적용가능함을 제시한다.

  • PDF

Connection Frequency Buffer Aware Routing Protocol for Delay Tolerant Network

  • Ayub, Qaisar;Mohd Zahid, M. Soperi;Abdullah, Abdul Hanan;Rashid, Sulma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649-657
    • /
    • 2013
  • DTN flooding based routing protocol replicate the message copy to increase the delivery like hood that overloads the network resources. The probabilistic routing protocols reduce replication cost by forwarding the message to a node that holds high predictability value to meet its destination. However, the network traffic converges to high probable nodes and produce congestion that triggers the drop of previously stored messages.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routing protocol called as Connection frequency Buffer Aware Routing Protocol (CFBARP) that uses an adaptive method to maintain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buffer space at the receiver before message transmission. Furthermore, a frequency based method has been employed to determine the connection recurrence among nodes. The proposed strategy has performed well in terms of reducing message drop, message relay while increases the delivery probability.

Importance Assessment of Multiple Microgrids Network Based on Modified PageRank Algorithm

  • Yeonwoo LEE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scheme for assessing the importance of multiple microgrids (MGs) network that includes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Rs), renewable energy systems (RESs), and energy storage system (ESS) facilities. Due to the uncertainty of severe weather, large-scale cascading failures are inevitable in energy networks. making the assessment of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the energy network an attractive research theme. This attention ha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importance of measuring energy nodes. In multiple MG networks, the energy nodes are regarded as one MG. This paper presents a modified PageRank algorithm to assess the importance of MGs that include multiple DERs and ESS. With the importance rank order list of the multiple MG networks, the core MG (or node) of pow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can be identified. Identifying such an MG is useful in preventing cascading failures by distributing the concentration on the core node, while increasing the effective link connection of the energy flow and energy trade. This scheme can be applied to identify the most profitable MG in the energy trade market so that the deployment operation of the MG connection can be deci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ergy usages. By identifying the important MG nodes in the network, it can help improve the resilience and robustness of the power grid system against large-scale cascading failures and other unexpected events. The proposed algorithm can point out which MG node is important in the MGs power grid network and thus, it could prevent the cascading failure by distributing the important MG node's role to other MG nodes.

이종 네트워크를 위한 분산처리 방식의 효율적인 호 수락 제어 구조 (SmartCAC : Novel Distributed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Framework for Heterogeneous Networks)

  • 김효은;김원태;강은현;박용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7호통권361호
    • /
    • pp.70-80
    • /
    • 2007
  • 차세대 이동 네트워크에서는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공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무선망에서 QoS를 지원하는 분산 방식의 호 수락 제어 구조인 SmartCAC를 제안한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간 정보 수집이 필요없는 분산방식을 위하여 모바일 노드와 네트워크간의 상호동작을 이용한다. SmartCAC는 기본적으로 VHO 호와 새로운 호1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VHO 호에 핸드오프를 위해 예약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효율적인 호 수락 제어를 위하여 QoS 요구와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delay와 reliability를 다룬다. 뿐만 아니라, 이종망에서 네트워크 필터링을 할 수 있도록 모바일노드의 스피드를 이용한다. 이종망의 상태정보를 알 수 없는 모바일노드가 네트워크의 상태정보를 받아 비교할 수 있도록 확장된 프로토콜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기존의 CAC 방식과 제어메시지에 의한 비용을 비교하여 37%에서 96%까지 향상되는 효과를 입증한다.

연결 축소 회로망을 이용한 EMG 신호 기능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G Functional Recognition Vsing Reduced-Connection Network)

  • 조정호;최윤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9-256
    • /
    • 1990
  • In this study, LPC cepstrum coefficients are used as feature vector extracted from AR model of EMG signal, and a reduced-connection network whlch has reduced connection between nodes is constructed to classify and recognize EMG functional classes. The proposed network reduces learning time and improves system stability Therefore it is Ehown that the proposed network is appropriate in recognizing function of EMG signal.

  • PDF

VANET에서 적정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MAC 설계 (Design of MAC Algorithm Supporting Adaptive Transmission Rate on VANET)

  • 박상현;김남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1호
    • /
    • pp.132-138
    • /
    • 2012
  •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을 지원하기 위해 IEEE 802.11p 규격이 표준화 진행중에 있다. 802.11 MAC 프로토콜은 전송률에 관계없이 모든 노드들에 동일한 확률의 채널 획득 기회를 부여하므로, 전송률이 낮은 노드가 상대적으로 채널 점유시간이 길어져서 전송률이 높은 노드도 전송률이 낮은 노드의 전송률로 하향 평준화되는 문제와, 노드가 많아질 경우 충돌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일단 채널을 획득한 단말기가 다른 노드와의 채널획득 경쟁의 우위를 일정 기간 유지하는 알고리듬에, 현재 전송률에 따라 적절히 연속전송 한계값을 정하는 TXOP 개념을 더했다. CW의 폭을 표준보다 더 넓게 설정여 효과적으로 충돌을 회피하면서도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또한 채널 점유 시간에 따라 연속전송 한계값을 다르게 정하는 방법을 통해 전체 네트워크의 향상을 보이고 있다.

멀티 도메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시각화 연구 (Study on Visualization of Multi-domain Network Topology)

  • 장범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69-178
    • /
    • 2022
  • 도메인이 여러 개로 구성된 멀티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조직에서는 단일 화면 상에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시각화하여 전체 노드들과 링크들을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한데, 도메인간의 연결점이 없는 토폴로지를 단일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은 간단하지가 않다. 게다가, 다수의 네트워크 형상들을 단일 화면 상에 실제와 같은 물리적 모습으로 표시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멀티 도메인 네트워크를 하나의 화면을 통해 관리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도메인 환경에서 노드간의 최소 연결 정보만을 이용하여 토폴로지를 시각화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중심성 지수를 활용하여 도메인별 중심 노드를 찾고, 자식 노드들과의 연결정보를 재귀적으로 탐색하여 토폴로지를 생성한다. 화면 상의 도메인별 토폴로지 표시 영역은 자식 노드들의 가중치의 합으로 계산 및 동적 분할되고, 가상의 Root 노드를 활용하여 3D 공간 상에 전체 노드들을 배치함으로써 멀티 도메인 토폴로지를 시각화한다. 이 방법은 노드간의 최소 연결 정보만을 이용하는 단순한 방법이지만, 멀티 도메인 네트워크의 물리적 형상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효율적인 토폴로지 시각화 방법이다.

Hybrid acceleration-impedance sensor nodes on Imote2-platform for damage monitoring in steel girder connections

  • Kim, Jeong-Tae;Park, Jae-Hyung;Hong, Dong-Soo;Ho, Duc-Duy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7권5호
    • /
    • pp.393-416
    • /
    • 2011
  • Hybrid acceleration-impedance sensor nodes on Imote2-platform are designed for damage monitoring in steel girder connections. Thus, the feasibility of the sensor nodes is examined about its performance for vibration-based global monitoring and impedance-based local monitoring in the structural system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following approaches are implemented. First, a damage monitoring scheme is described in parallel with global vibration-based methods and local impedance-based methods. Second, multi-scale sensor nodes that enable combined acceleration-impedance monitoring are described on the design of hardware components and embedded software to operate. Third, the performances of the multi-scale sensor nodes are experimentally evaluated from damage monitoring in a lab-scaled steel girder with bolted connection j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