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rete thinking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2초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초등학생의 확률적 사고 신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bability Activities in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은정;신애경;이상권;최미화;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87-793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인지수준에 따른 확률적 사고의 형성 정도와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확률적 사고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5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을 투입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정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투입 전에 SRT II와 확률적 사고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확률적 사고의 형성 정도를 조사하였고, 투입 후에 확률적사고 검사를 실시하여 처치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확률 문제 해결에서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 학생들은 주관적 전략과 양적 전략을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며, 전기 형식적 조작기 학생들은 양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여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수준의 확률적 사고를 하고 있었다.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은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확률적 사고의 형성을 인지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전기 구체적 조작기와 과도기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Building Thinking Classrooms in Mathematics, Grades K-12: 14 Teaching Practices for Enhancing Learning by Peter Liljedahl (2020)

  • Cho, Hoy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65-169
    • /
    • 2022
  • Building Thinking Classrooms in Mathematics, Grades K-12: 14 Teaching Practices for Enhancing Learning is Liljedahl's latest book that cumulated his long-term research project. He provides concrete advice on each of 14 research-based teaching practices, along with answers to frequently asked questions and suggestions for getting started, which will help you build your thinking classroom.

정사면체 분할 과제에서의 이미지에 기반 한 수학적 사고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the Image in the 'Splitting a Tetrahedron' Tasks by the Mathematically Gifted)

  • 한대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63-584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경험으로부터 형성한 이미지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이미지를 어떻게 조작하고 변형하여 과제 해결에 유용한 새로운 이미지를 구성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정사면체를 분할하는 과제를 사용하였으며, 2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추론과정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두 학생의 사례로부터 이미지에 기반 한 사고를 이미지 형성, 이미지 검토/해석, 이미지 조작/변형, 새로운 이미지의 형성 등의 순환과정과 이미지를 유도하는 언어적 사고와 이미지로부터 파악되는 사실에 기반을 둔 언어적 추론의 순환 과정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체적 이미지에 기반 한 사고와 기호적 이미지에 기반 한 사고의 특성 및 그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 PDF

초등학생의 보상 논리 문제 해결에 대한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일반 전이 효과 (The General Transfer Effects of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Problem Solving with Compensational Reaso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선자;이상권;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77-98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에서 보상 활동의 독립적인 처치 효과와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 전체의 처치 효과를 성별, 인지 수준, 문제 상황별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Thinking Science의 처치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 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비례 논리 발달의 급등 시기에 있는 남학생과 비례 논리가 확립된 후기 구체적 조작기 이상의 인지 수준에 해당되는 학생들의 향상이 뚜렷하였다. 또한, Thinking Science를 처치한 집단의 학생들은 정량적 보상 논리 전략 중 항등식 전략 빈도가 높아서 인지 부담이 큰 비정수비 문항에서의 문제 해결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Thinking Science 집단에서는 보상 논리 외의 다른 형식적 사고 기능이 포함된 활동들이 보상 논리 형성을 촉진하는 일반 전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인지가속 프로그램인 Thinking Science는 다양한 형식적 사고 기능의 통합적인 발달을 통하여 인지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인지발달은 물론 형식적 사고 기능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학습 전략 고안에 있어서 반드시 형식적 사고 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아이디어 발상 유형화를 통한 창의적 패션 디자인 전개 프로세스 연구 (Study on a Creative Fashion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Idea Classification)

  • 김윤경;박혜원
    • 복식
    • /
    • 제60권9호
    • /
    • pp.95-10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llowing thinking about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more towards the visual and perceptional aspects related to the form structure by more diverse methods by typology of idea generation. To accomplish such goal, researches in the psychology, pedagogy, engineering, and consilient studies as well as related precedent researches and reference data in architecture, promotion, industrial design, and other art fields and fashion design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see the study trend. In addition, in the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such, the idea generation was classified into types in consideration of relevancy, usefulness, and suitability with fashion. First, a concentrated thinking of a limited space is a method of leading an optimal design by focusing on solving the cause of a problem within a space which generates the problem. Second, plan thinking per section of structure decomposition is a method of dismantling the design problems per organization, thinking type, factor, and characteristic into sub-modules to re-interpret and re-organize the problems in various aspects. Third, an associated thinking through interpreting relationships among vocabularies is a method of selecting the marginal languages that allow a person to come up with concrete forms and the key words related to fashion to import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the marginal languages and the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rms to search the relevancy. Lastly, the free integrated thinking of language extension is a method of groping integration between other fields and fashion by free integration among the extended terms by extending the vocabularies through inferring metaphorical expressions founded upon individual's memories or knowledge concepts regarding theme words that do not allow concrete forms to come up.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이 중학생의 확률적 사고 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Probability Activities in Thinking Science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babilistic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신경인;이상권;신애경;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5-17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인지수준과 확률적 사고수준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고 Thinking Science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중학교 1학년 219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과학 수업을 적용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중학생의 인지수준은 대부분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였고, 많은 학생들의 확률적 사고수준은 확률 문제 해결에 양적 전략을 사용하면서 주관적 전략도 함께 사용하는 과도기적인 수준이었다. 또한,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확률적 사고 수준도 높았으며, 확률의 구성요소 중에서 표본 공간과 한 사건에 대한 확률이 확률 비교와 조건부 확률보다 먼저 발달하였다. TS 프로그램의 확률 활동은 학생들이 확률 문제 해결에 양적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사전에 확률 문제 해결에 주관적 전략과 양적 전략을 혼용하던 중기 구체적 조작기인 학생들이 사후에 양적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고, 한 사건에 대한 확률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에 효과가 있었다.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적 개념의 이해 분석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based on the 6th Graders'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

  • 강철웅;김형범;정진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5-173
    • /
    • 2013
  •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science based on the 6th graders'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ogical thinking test was given to 108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32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61.1% of students were in concrete operational period in their logical thinking, 27.8% were in their transitional period, and 11.1% were in their formal operational period. By using Flow-Map, 32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understanding of concept. Students' flexibility of cognitive struct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gical thinking and the levels of understanding concepts as well. However, misconception didn'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the characters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by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that as you get higher levels of logical thinking, their cognitive structure to understand concept was more systemized, in order and more logical.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in science experiment class. First,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had various levels of logical thinking and that affec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refore, lesson planning and class should be done by reflecting their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since they had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utiliz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more systematically.

건축 사유체계 변화에 의한 색채사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by change in architectural thinking system)

  • 이선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66-173
    • /
    • 2006
  • Architectural color has been preserved the multipl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e change of social value criteria and technical development. Especially, the change of technical paradigm has led to variation from simple and fixed color system, as through the considerable change of architect's subject thinking, favored and symbolic system. Now, architectural color has also been revealed as the timely, moving, behavioral and existent color by anthropolatric thinking system. Therefore, it could be transformed expressive system reflected from abstract-pictorial characteristics, from the fixed to non-determining system, constructive to non-constructive system, context to expressive system, reasonal to emotional system, respectively. So, the range of architectural color has been extended as a element in reinforced the planned concept of the architect beyond the past decorated and symbolic color scope. As thereinafter, future's architectural color could be expected to concrete to the public-friendly relation system, developed widely to the system for reinforcing the concept not introduction of meaningless, fragmental and instinct color through the relational adaptation with design concept.

'생각하는 과학' 활동이 중학생들의 기체 분자 운동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과 그 활동에 대한 인식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as Particles Behavior Concepts in 'Thinking Science'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cognition on Its Activities)

  • 이상권;김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68-7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기체 분자운동'의 개념 이해에 형식적 조작기로의 인지가속을 목적으로 하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사전에 적용했을 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이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하여, 기체 분자 운동의 개념 이해에 필요한 논리적 요소로 변인, 비례, 보상, 형식적 모형 등의 4가지 논리를 추출하였다. 실험 집단 학생들에게 4가지 논리와 관련된 9개의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처치한 후에 기체 분자 운동의 수업을 실시하고, 기체 분자 운동의 개념 이해에 대한 성취도 평가를 하였다. 기체 분자 운동 개념에 대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성취도는 t-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 별 분석에서는 사전 인지 수준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 결과 실험 집단의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성취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도 평가의 논리 별 정답률에서는 변인 통제, 보상, 형식적 모형논리의 정답률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비례 논리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험 집단의 '생각하는 과학'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활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사고력과 태도 영역이 기체 분자 운동의 성취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구체적 조작기 후기(2B)의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성취도도 높았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나와 있지 않는 실험 소재를 다루게 되어 흥미로웠으며 실험 후 토론 시간을 가지면서 연구자가 된 듯한 느낌을 갖게 되어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통해 자신의 과학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 같다고 답변하였다.

  • PDF

졸업 후 의학교육에 경험학습이론의 활용 (Application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 이영희;김병수
    • 의학교육논단
    • /
    • 제11권1호
    • /
    • pp.11-2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Kolb's model, and to review some application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published literature on GME and education for general practitioners applying the experiential theory and the Kolb's model was reviewed. Experience learning defined the cyclical learning process which emphasizes the learners' reflective thinking of the learners' concrete experience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ontinuous learning actives. Kolb includes this 'cycle of learning' as a central principle in hi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is is typically expressed as a four-stage cycle of learning. Kolb's cycle moves through concrete experience(CE), reflective observation(RO), abstract conceptualization(AC) and active experimentation(AE). Components of continui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 were based on autonomy, context of learning, and competence and performance as educational objectives. Some strategies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were reflective thinking, self-directed learning, morning reporting and feedback with peer review, etc. Opportunities for learning from experience in practical life can be made to enhance reflective thinking and performance of practitioners. Strategies to develop reflective practice among physicians should be explored by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