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s Teaching-Problems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1초

The Interactive Anonymous "Must-have" Quiz: A Simple Method to Enhance Students Concept Learning in Organic Chemistry Course

  • Cha, Jeongho;Kan, Su-Yin;Chia, Poh Wai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6호
    • /
    • pp.428-435
    • /
    • 2016
  • Effective mastering and learning of basic organic chemical concepts is pivotal to ensure students continue to excel to the higher levels of organic chemistry learning. Concept learning is crucial for first-year organic chemistry students so that they can comprehend and understand a concept better and able to make connection to problems. In the present paper, the authors have implemented the Interactive Anonymous Quiz (IAQ) with "must-have" features in the organic chemistry course as a teaching tool to instill students' interest and enhance conceptual understanding in organic chemistry. The effectiveness of this activity was examined and evaluated through students' reflective writing. Students showed positive learning outcome on the implemented activity a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writings. In addition, this activity could be employed as an activity to check on students' concept understanding, to instill students' interest in organic chemistry course and to improve on students' weakest topic in organic chemistry in the future classes.

Incorporation of Brainteaser Game in Basic Organic Chemistry Course to Enhance Students'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 Cha, Jeongho;Kan, Su-Yin;Wahab, Nurul Huda Abdul;Aziz, Ahmad Nazif;Chia, Poh Wai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18-222
    • /
    • 2017
  • Game shows are capable of grabbing students' attention in a lecture, and at the same time offers much delight to students to learn in a more interesting and entertaining way. A mind game was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the teaching of basic organic chemistry course at the Universiti Malaysia Terengganu. The modified brainteaser game is comprised of a set of problems associated with vocabulary or concepts in basic organic chemistry, whereby students were required to solve within a stipulated time frame. Students' attitude changes were then evaluat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Attitude toward the Subject of Chemistry Inventory Version 2 (ASCIv2)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change in attitude towards the cours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also experienced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resulting in an increased academic performance and interest.

Computational Thinking에서의 추상화 개념에 대한 고찰 (Review of Concept of Abstrac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 정인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85-596
    • /
    • 2016
  • 2018학년도부터 초중고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시행될 예정이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Computational Thinking 능력을 길러주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Computational Thinking은 크게 추상화와 자동화로 구성되는데 추상화와 관련된 개념을 국가마다 전공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어 학생들과 교사들한테 혼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추상화에 대한 여러 정의들을 비교하여 합리적으로 정의하였다. 합리적인 정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에서의 추상화 교육 방법과 평가 기준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추상화에 대한 정의는 앞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면서 만나게 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중심학습(PBL)의 실행에 관한 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 카드 활용 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및 성분 분석을 중심으로 (On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Implementation : Taxonomic Analysis & Componential Analysis by using cards)

  • 허난;하영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43-161
    • /
    • 2011
  • 수학교과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습자가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중에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알게 되고 수학적 사고 능력을 시켜줄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 비해 실제 적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L의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하여 수학교사들이 실제적으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2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카드활용 심층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분석과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공적인 PBL 적용을 위해서는 수학과 PBL 문제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의 안내와 수학교과에 적합한 PBL 학습 과정 안내 등의 구체적인 실행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의과대학 임상실습에서의 학생평가방법: 과거, 현재 및 제언 (Assessment of Medical Students in Clinical Clerkships)

  • 이상엽;임선주;윤소정;백선용;우재석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3호
    • /
    • pp.120-124
    • /
    • 2013
  • The clinical clerkship focuses students on developing their ability to perform comprehensiv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mmon undifferentiated problems by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 Therefore, the clerkship evaluation system should assess their actual problem solving and professional behavior. However, concern remains that clerkship evaluations are imprecise and highly variable. This review is designed to provide faculty members with concepts, options, and a methodology to actively teach and evaluate the clinical clerkship, as well as offer encouragement and inspiration to medical students. We reviewed past and current clinical clerkship evaluations and discuss several tips to improve clinical excellence such as continuity, transparency of the evaluation process,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practical examination of clinical skills, implementation of a checklist for recording exposure and skills, providing prompt and constructive feedback to students, self-evaluation of professional performance, varying multi-faceted assessment combinations, being outpatient clinic-centered, and having dedicated faculty members who give students one-on-one contact with a preceptor.

소그룹 활동을 활용한 학습자중심 교육 사례: '원자핵공학의 미래' 교과목을 중심으로 (A Practical Case Study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Using Small Group Activities: 'Prospect of Nuclear Engineering' Course)

  • 나용수;민혜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5호
    • /
    • pp.29-36
    • /
    • 2019
  • Here we analyze a case of redesigned course named "Prospect of Nuclear Engineering" as an example of student-entered education which came to the for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This course was reformed from lecture-based to student-centered class by changing the context as follows: Stimulating students by addressing various problems or episodes behind scientific and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history; Offering experimental project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l equations; Exploring the research status and issues of nuclear engineering and the ways of attacking them by discipline; Discussing the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s. Small group activities using 'small group discussion' and 'peer-learning' have been applied in this course to enhance students' critical and creative ability. In the survey, students rated highly in the fact that they could actively interact with the peers and that they could think for themselves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peer-learning' which is not just the way of conveying knowledge.

학술의학(Academic Medicine)의 개념과 한국에서의 정착 가능성 (The Concept of Academic Medicine and Its Potential Establishment in Korea)

  • 한희철
    • 의학교육논단
    • /
    • 제21권2호
    • /
    • pp.63-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cademic medicine to the medical societies of Korea and to identify any potential obstacles in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medicine in Korea. The core concepts of academic medicine include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atient care. Academic medicine can be practiced in the unique area of healthcare involving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by faculty physicians in the academic medicine field. Through academic medicine, the next generation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s trained, new discoveries can be made, and patients can find new hope for a cure. The flourishing of academic medicine has resulted in substantial advancements in medicine over the past few centuries, but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there was concern that academic medicine was on the decline. To address this concern, the International Campaign to Revitalize Academic Medicine was established and announced five scenarios to 2025 to debate the future of academic medicine. Although the system resembles that of Western medical societies, Korean medical societies were not familiar with academic medicine, and poor conditions caused by the distorted healthcare system in Korea have actually interfered with the nurturing of academic medicine. One of the main problems may include less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relative to clinical practice by medical societies and the government. Collaborative efforts from both medical societies and the government are needed to establish academic medicine successfully in Korea for a better future.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와 적용 가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Principles for Practice and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 임성민;김성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학교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실천 원리와 전제들을 언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상황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로서 국가 수준 과학 교육 과정 구성에서의 장애 학생에 대한 고려, 교실 단위 과학 학습지도 상황에서 교육과정 조절, 수업 설계에서 다양성을 안정한 개별화 접근, 공통의 학습경험을 공유하는 협력 기반의 과학학습지도 개인적 차이를 고려하는 수준별 과학학습평가 등을 논의하였다. 이에 대한 예시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광학교육 실천사례를 소개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 실천의 의미를 논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비교' 상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oportional Reasoning Understanding of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ocusing to 'comparison' situations-)

  • 박지연;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5-129
    • /
    • 2016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은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소통의 형태로 강조되고 있으며, 수학적 추론의 한 형태인 비례 추론은 비와 비율 개념과 관련된 추론이다. 비례 추론은 초등학교 수학에서 규칙성 영역의 핵심이면서 중등수학에서 학습하는 함수 개념의 기본이 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사이에 놓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례와 관련된 형식적인 알고리즘을 배우기 전 단계에서 비례 추론의 특징과 유형을 분석해봄으로써 비례 추론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과 오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비례 추론 문항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비와 비율을 학습하기 전후에 비례 추론 관련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또 어떠한 오류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문제의 조건과 유형에 따라 다양한 비례 추론 전략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곱셈적 추론 수준에 있으며, 비례 추론 검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전략으로는 분수 전략과 간비교, 내비교 전략 등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상대적인 비교를 필요로 하는 문제의 경우 문제의 이해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나타냈다. 따라서 절대적 상대적 변화를 비교하는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비례 추론 문항 개발이 요구되며, 이와 함께 비례 추론 상황을 포함하여 지도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me Economic Curriculum and American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 Consumer Sciences Curricula)

  • 김현숙;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91-117
    • /
    • 2007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과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을 개발 적용하는데 선구적 역할을 해온 미국의 오레곤 주와 오하이오 주의 가정과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교육내용과 실천적 문제를 분석하고, 교수 학습 과정과 평가 방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가정학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오레곤 주는 중학교는 가족의 기능을 중심으로, 고등학교는 청소년의 6가지 역할을 중심으로 가정교과 전체를 통합한 실천적 문제를 다루고 있었으며, 오하이오 주의 경우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을 내용영역으로 구분하여 관심분야, 모듈, 지지개념으로 세분하고 교수 학습 활동은 모듈 단위로 지지개념이 포함된 실천적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교수 학습 과정은 지식과 이론 위주의 주입식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앞으로는 실천적 문제 해결을 위한 수행 활동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 단순한 지식이나 이론의 전달만이 아닌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문제를 다루고 문제 해결 과정도 다양한 학생 활동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미국 오레곤 주와 오하이오 주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교수 학습 방법은 주로 학생들의 그룹별 협동 학습을 강조하였고 기술적 행동과 해석적 행동 및 해방적 행동으로 교수 학습 과정이 이루어진다. 평가의 경우 오레곤 주나 오하이오 주 모두 실천문제를 다루다 보니 지필 평가 보다 활동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오레곤 주의 경우 학년을 수료할 때 통합교과적인 평가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수행평가를 반영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개념 중심 교육과정에서는 지식과 개념의 이해를 묻는 지필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수행평가의 경우 신뢰성과 타당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서 평가의 주는 지필평가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가정과 교육과정이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전환된다면, 수행평가가 주를 이루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르는 문제점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inserting a lock field in data file header structure. The lock field intensifies the security of a data file. Finally we proposed a data file search mechanism and free space search mechanism using only data file header. The file system using these mechanisms spends smaller memory than that using a file description table and record of unallocated space.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다. TN5 세포주를 0.2 L 규모 (1 L spinner flask)oJl에서 세포간의 응집현상 없이 부유배양에 적응,배양시킨 후 세포성장 시기에 따른 발현을 조사한 결과 1 MOI의 감염조건 하에서는 $0.6\times10^6$cell/mL의 early exponential시기의 세포밀도에서 72시간 배양하였을 대 최대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침투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나 이때에는 laminin과 같은 리간드와의 특이 결합에 의존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상경적 결합시험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