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연관 규칙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한 영작문 형태.통사 오류 자동 발견 (Automatic Error Detection of Morpho-syntactic Errors of English Writing Using Association Rule Analysis Algorithm)

  • 김동성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0년도 제2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연구에서 수집된 영작문 오류 유형의 정제된 자료를 토대로 연관 규칙을 생성하고, 학습을 통해서 효용성이 검증된 연관 규칙을 활용해서 영작문 데이터의 형태 통사 오류를 자동으로 탐지한다. 영작문 데이터에서 형태 통사 오류를 찾아내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되는 작업이므로 자동화가 필수적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통계적 모델을 활용한 어휘적 오류에 치중하거나 언어 이론적 틀에 근거한 통사 처리에 집중하는 반면에, 본 연구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서 정제된 데이터에서 연관 규칙을 생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 형태 통사 오류를 감지한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이론적 틀에 맞추어진 규칙 생성이나 언어 모델 생성을 위한 대량의 코퍼스 데이터와 같은 다량의 지식 베이스 생성이 필수적인데, 본 연구는 적은 양의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한다. 영작문 오류 유형의 형태 통사 연관 규칙을 생성하기 위해서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알고리즘을 통해서 생성된 연관 규칙 중 잘못된 규칙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관성 검정, 코사인 유사도와 같은 규칙 효용성의 통계적 검증을 활용해서 타당한 규칙만을 학습하였다. 이를 통해서 축적된 연관 규칙들을 영작문 오류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실험에 활용하였다.

  • PDF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프로그램(COMCOG, CNT)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기억력과 주의력 증진효과 (Effects of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Program Induced Memory and Attention for Patients with Stroke)

  • 심제명;김환희;이용석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4호
    • /
    • pp.25-3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bout memory and attention with stroke. Methods: 24subjects with stroke were recruited. Twelve of subjects received conventional therapy including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language therapy. Another subjects received additional computer assisted cognitive training using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COMCOG, MaxMedica Inc., 2004). All patients were assessed their cognitive function of memory and attention using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MaxMedica Inc., 2004) before treatment and 6 weeks after treatment. Results: Before the treatment,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p>0.05). After 6 weeks,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digit span (forward, backward), verbal learning(A5, $A1{\sim}A5$), auditory CPT(n), visual CPT(n)(p<0.05). After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digit span(forward, backward), verbal learning(A5, $A1{\sim}A5$), visual span (forward, backward), auditory CPT(n, sec), visual CPT(n, sec), and trail-making (A, B)(p<0.05). Conclusion: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program would be improved cognitive function of memory and attention in patients with stoke.

  • PDF

디지털 융합 영어 듣기 활동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age of Smartphones for English Listening Activity)

  • 최미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451-459
    • /
    • 2017
  • 언어학습 도구로서 스마트폰은 강의실 밖과 비교했을 때 수업시간에 활용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듣기의 수업 활동에서 스마트폰의 유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71명의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Practical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과목에서 개별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듣기 활동을 하였다. 학기 말에 학생들은 스마트폰 활동에 관한 10문항의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듣기 활동은 학생들의 영어 듣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였으며 개인별 맞춤 학습으로서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런데 스마트폰이 지닌 다른 기능들이 학생들의 듣기 활동을 방해한다는 사실이 스마트폰 활용의 가장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듣기 활동을 모두 스마트폰 활동으로 할 것이 아니라 강의실 컴퓨터를 사용한 전체 활동도 병행할 것을 제안한다. 학생들이 원하는 혼합율은 50대 50 이었다. 학생 집단의 수준에 따라 그 혼합율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디지털 융합 영어학습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비원어민 한국어 말하기 숙련도 평가와 평가항목의 상관관계 (Correlation analysis of linguistic factors in non-native Korean speech and proficiency evaluation)

  • 양승희;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3호
    • /
    • pp.49-56
    • /
    • 2017
  • Much research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 identify how native speakers perceive non-native speakers' oral proficiency. To investigate the generalizability of previous findings, this study examined segmental, phonological, accentual, and temporal correlates of native speakers' evaluation of L2 Korean proficiency produced by learners with various levels and nationalities. Our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proficiency ratings by native speakers significantly correlate not only with rate of speech, but also with the segmental accuracies. The influence of segmental errors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proficiency of L2 Korean speech. We further verified this finding within substitution, deletion, insertion error rates. Although phonological accuracy was expect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he proficiency score, it was the least influential measure. Another new finding in this study is that the role of pitch and accent has been underemphasized so far in the non-native Korean speech perception studies. This work will serve as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assessment module in Korean CAPT system.

웹을 기초로 한 실무 영어 교육 (Web-based Education for Practical Business English.)

  • 김대빈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1권2호
    • /
    • pp.227-242
    • /
    • 2001
  • It is noted that although the current state of development of web-based English education (hereafter referred to as WBEE) might not meet the criteria some educators have set for themselves in the field, students certainly seem to prefer studying in a web-based and computer-assisted learning environment. This kind of demand is fueling the drive to develop more suitable variations of WBEE. In order for WBEE to work out, a teacher should be a multifunctional type of instructor handling responsibilities such as the role of scriptwriter to create text, act as technician for the sound mixing and recording, preside over online chat rooms and discussion boards, and finally, as webmaster to maintain the site and supervise all academic/ clerical work related to the cours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BEE be accompanied by a small personnel to divide the labor and lessen the burden on the actual teacher. Finally, it is noted that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may no longer be sustainable since WBEE does not provide the face-to-face style of class discussion and office hours in its current form. Until the technology is fully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se kinds of differences, it is an immediate challenge to provide other more compelling reason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WBEE.

  • PDF

영어 회화 교육을 위한 예제 기반 대화 시스템 (Example-based Dialog System for English Conversation Tutoring)

  • 이성진;이청재;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2호
    • /
    • pp.129-13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어 회화 교육을 위한 예제 기반 대화 시스템에 대해 논한다. 기존의 획일적인 멀티미디어 영어 학습에서 벗어나 자연어 처리 및 대화 기술을 이용하여 지능적인 일대일 영어 회화 교육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시스템은 미숙한 학습자 발화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불완전한 언어 구사 능력으로도 대화를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학습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에게 영어를 배우려는 흥미로운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학습자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인 도움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학습자의 미숙한 표현을 이해하는 담화 상황 고려 발화의도 인식 모델, 도메인 확장성이 뛰어난 예제 기반 대화 관리 모델, 교육 및 평가 기능을 개발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의 발화에 에러가 많아도 높은 발화의도 인식 성능을 보였으며 대화 상황에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회화 연습을 끝까지 마치도록 도와 교육 효과에 이바지함을 알 수 있었다.

워드프로세서의 영어문장 어법오류 인식개선을 통한 영어구문작성 향상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by applying error indication function in word processor)

  • 이재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85-290
    • /
    • 2020
  • 본 연구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영어텍스트구문을 작성하는 사용자들의 영어작문능력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컴퓨터와 IT기술의 발달로 영어작문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보조언어학습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일부 단어의 철자, 접속사의 필요성, 주어-동사의 수일치 등과 같은 몇몇 문법오류사항을 인식하여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성한 영어문장의 적절성에 대한 소수의 오류사항을 알려주고 있지만 영어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명사구성립의 적법성에 대한 오류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워드프로세서의 문장오류인식 프로세스에 명사구성립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더 나은 오류인식기능을 갖추도록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문장적법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은 문장 내에 사용된 명사를 추적하여 해당 명사가 문장요소로 사용되기 위한 최소단위인 명사구성립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오류표기를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는 오류사항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텍스트의 문장 적법성을 확인하고 수정하면서 문장작성 능력 및 적절한 어법의 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할 것이라 판단된다.

Automatic proficiency assessment of Korean speech read aloud by non-natives using bidirectional LSTM-based speech recognition

  • Oh, Yoo Rhee;Park, Kiyoung;Jeon, Hyung-Bae;Park, Jeon Gue
    • ETRI Journal
    • /
    • 제42권5호
    • /
    • pp.761-772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proficiency assessment method for a non-native Korean read utterance using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BLSTM)-based acoustic models (AMs) and speech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Specifically, the proposed method considers two scenarios, with and without prompted text.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prompted text performs (a) a speech feature extraction step, (b) a forced-alignment step using a native AM and non-native AM, and (c) a linear regression-based proficiency scoring step for the five proficiency scores. Meanwhile, the proposed method without the prompted text additionally performs Korean speech recognition and a subword un-segmentation for the missing text.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with prompted text improves the performance for all scores when compared to a method employing conventional AMs.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without the prompted text has a fluency score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the method with prompted text.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기술 논문 작성 능력 향상을 위한 고찰 (Considerations for Helping Korean Students Write Better Technical Papers in English)

  • 김이진;박보영;이창하;김문겸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64-78
    • /
    • 2007
  • 영어 논문의 작성 능력은 오늘날 공학도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질이다. 주요 해외 저널에 얼마나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느냐가 학문적 성과를 평가하는 주된 척도라는 점과 주요 해외 저널들이 보다 많은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영어로 쓰여진다는 점 때문에 영어 논문 작성 능력에 대한 필요성은 한국을 포함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모든 국가들에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에 있는 이공계 대학들은 석/박사 연구원들의 영어 논문 작성 능력 향상을 위한 정규적인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은 구체적인 기술 논문 작성 방법론에 대한 문헌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원어민(Native Speaker)을 위한 기술 논문 작성 방법론에 대한 문헌이나 EFL 학습자들을 위한 일반적인 영어 작문법에 대한 문헌은 많이 있지만, EFL 학습자들을 위한 기술 논문 작성법에 대한 지침서나 문헌은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보고서의 목적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영문 기술 논문 작성에 대한 교육 방법론이 생소한 한국에서 이공계 연구원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있는 EFL 강사들에게 제기될 수 있는 일반적인 논제들을 제시한다. 이 논제들은 적절한 강의 접근법(Teaching Approach), 최적의 학생 배치(Class Arrangement), 그리고 컴퓨터 학습 도구의 활용뿐 아니라 대조 수사학(Contrastive Rhetoric)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둘째, 실제적인 강의 제안서도 제시한다. 본 강의 제안서는 기술 논문 작성법 강의 수강생들의 작문 샘플에 대한 분석 결과와 기술 논문 작성법에 대한 자가 진단 설문 응답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작성하였고, 한국인 EFL 학습자가 기술 논문 교육 과정을 통하여 문법(Grammar), 과정(Process), 장르 기술(Genre Skills) 등을 골고루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보고서는 EFL 기술 논문 과정의 개발에 대한 여러 일반적인 논점들을 공유함으로써 기술논문 교육방법론 연구가 부족한 한국의 공학 교육계에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