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uted tomography imaging

검색결과 1,806건 처리시간 0.022초

신장의 이소성 부신 선종: 증례 보고 (Ectopic Adrenal Adenoma in Renal Sinus: A Case Report)

  • 백요한;김시형;조승현;김원화;김혜정;염헌규;윤길숙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116-1120
    • /
    • 2022
  • 신장은 이소성 부신 선종의 드문 부위이다. 우리가 아는 한, 신장에서 발생한 이소성 부신 선종의 일부 증례가 보고되었지만, 이러한 증례들 중 병변의 컴퓨터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설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7세 남자 환자가 정기 건강검진을 위해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왼쪽 신장동에 1.2 cm 크기의 조영 증강이 되는 종괴가 발견되었다. 추가적으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 성분을 의미하는 신호 강하 소견을 보였다. 종괴는 수술 후 이소성 부신 선종으로 확인되었다.

폐의 기저세포양 편평세포암: 두 개의 증례 보고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소견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Two Case Reports with CT Imaging Findings)

  • 김주희;윤현정;이은주;김은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746-752
    • /
    • 2020
  • 폐의 기저세포양 편평세포암은 2015년 WHO 분류체계에서 편평세포암의 한 아형으로 분류되었고 폐암에서는 드물기에 잘 알려지지 않은 유형이다. 저자들은 두 기저세포양 편평세포암 증례를 보고하고 이들의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소견을 명시하고자 한다. 85세 그리고 68세의 기저세포양 편평세포암을 가진 환자가 내원하여 수술적 절제를 시행 받았다. 전산화단층 촬영에서 두 병변은 각각 3.1과 2.8 cm 크기로 경계가 좋으며, 둥글면서 소엽상 경계였고 내부는 괴사를 시사하는 저음영이 풍부하였다. 후자는 수술 후 20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고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재발은 없었다. 비록 드문 아형의 폐암이지만 이러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을 공유한다면 기저세포양 편평세포암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Safety of Administering Intravenous CT Contrast Agents Repeatedly or Using Both CT and MRI Contrast Agents on the Same Day: An Animal Study

  • Heejin Bae;Hyewon Oh;Ga Bin Park;Yong Eun Chu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3호
    • /
    • pp.257-266
    • /
    • 2024
  • Objective: To investigate molecular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additional exposures to iodine- or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within 24 hours from the initial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iodine-based contrast agents through an animal study. Materials and Methods: Fifty-six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equally divided into eight groups: negative control, positive control (PC) with single-dose administration of CT contrast agent, and additional administration of either CT or MR contrast agents 2, 4, or 24 hours from initial CT contrast agent injection. A 12 µL/g of iodinated contrast agent or a 0.47 µL/g of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 were injected into the tail vein. Serum levels of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cystatin C (Cys C), and malondialdehyde (MDA) were measured. mRNA and protein levels of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and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were evaluated. Results: Levels of serum creatinine (SC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peated CT contrast agent injection groups than in PC (0.21 ± 0.02 mg/dL for PC; 0.40 ± 0.02, 0.34 ± 0.03, and 0.41 ± 0.10 mg/dL for 2-, 4-, and 24-hour interval groups, respectively; P < 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Cys C and MDA levels between PC and repeated CT contrast agent injection groups (Cys C, P = 0.256-0.362; MDA, P > 0.99). Additional doses of MR contrast agent did not make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PC in SCr (P > 0.99), Cys C (P = 0.262), and MDA (P = 0.139-0.771) levels. mRNA and protein levels of KIM-1 and NGA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dditional CT or MR contrast agent groups (P > 0.05). Conclusion: A sufficient time interval, probably more than 24 hours, between repeated contrast-enhanced CT examinations may be necessary to avoid deterioration in renal function. However, conducting contrast-enhanced MRI on the same day as contrast-enhanced CT may not induce clinically significant kidney injury.

지속성 좌상대정맥을 없이, 좌심방으로 연결되는 전관상정맥환류이상과 동반된 관상정맥동 입구폐쇄 1예: 심장전산화단층촬영 소견 (A Case of Coronary Sinus Atresia with a Total Anomalous Cardiac Venous Drainage to the Left Atrium without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 Imaging Findings on Cardiac CT)

  • 백상훈;강은주;이기남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82-987
    • /
    • 2021
  • 관상정맥동은 심장의 정맥 배출 체계이다.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는 드문 심장 기형이다. 선천적인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는 주로 지속성 좌상대정맥을 동반하며 그 외에 다른 심장 기형과 동반되어서 나타난다. 하지만 선천적인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만 단독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이 논문에서는 58세 여성에서 발견된 지속성 좌상대정맥을 동반하지 않고, 좌심방과 심장정맥이 연결되는 선천적인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만 단독적으로 나타나는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우측 장골능선의 골연골종과 연관된 방골성 지방종의 증례 보고 (Parosteal Lipoma Associated with a Growing Osteochondroma of the Right Ilium)

  • 명민재;박지선;류경남;박용구;유명원;백종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462-468
    • /
    • 2021
  • 방골성 지방종(parosteal lipoma)은 모든 지방종의 약 0.3%를 차지하는 드문 유형의 지방종이다. 더구나, 골연골종(osteochondroma)과 공존하는 방골성 지방종은 극히 드물다. 이전에 골연골종과 방골성 지방종이 같이 발견된 증례들이 보고된 적 있으나, 이들은 방골성 지방종에 의해 주변 뼈에 유발된 반응성 변화로 보고되었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종양들의 선후관계를 파악하지 못했다. 본 저자들은 6년간의 X선 사진 변화와 함께 골연골종과 연관된 방골성 지방종의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병리학 소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췌장에서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 증례 보고와 문헌 고찰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of the Pancreas: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임경재;조진한;박민경;권희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497-1503
    • /
    • 2020
  •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은 드문 종양으로, 조직학적으로 근섬유모세포성 방추세포의 증식과 다양한 염증 세포들의 침윤을 특징으로 한다. 이 종양은 전신의 모든 해부학적 위치에서 생길 수 있으나 주로 폐, 장간막, 대망에서 생긴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어린이 또는 젊은 성인에서 발생한다. 췌장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악성 종양을 포함한 다른 종양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영상의학적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흔하다. 이에 저자는 중년 여성의 췌장 두부에서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의 사례를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소견들과 함께 제시하고 문헌을 검토하고자 한다.

두경부 MALT 림프종 환자에서 나타난 국소적 종괴 주위 아밀로이증의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CT and MRI Features of Localized Peritumoral Amyloidosis in a Patient with Head and Neck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A Case Report)

  • 김한준;홍현숙;김지윤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334-1340
    • /
    • 2021
  • 아밀로이드증과 비호지킨림프종과의 연관관계는 이전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바 있다. 림프종과 아밀로이드증과의 연관관계는 두 개의 구분되는 범주로 나뉘는데 림프종 연관 전신성 아밀로이드증과 종괴 주위 아밀로이드증이다. 저자들은 두경부 MALT 림프종 환자에서 발생한 국소적 종괴 주위 아밀로이드증의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병변은 연조직음영을 보이는 무정형석회화를 동반한 불규칙한 모양의 종괴였으며, 조영증강 시 불균일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종괴가 T1 강조영상과 T2 강조영상에서 모두 불균일한 낮은 신호 강도를 보였다. 종괴는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으며, 내부에는 여러 개의 조영증강되지 않는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림프종 환자에서 치료 전 영상검사에서 발견된 석회화들은 종괴 주위 아밀로이드증과 같은 동반된 다른 이차성 병변을 시사하는 소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만져지는 경부 종괴로 나타난 현성 스파르가눔증: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Apparent Sparganosis Presenting as a Palpable Neck Mas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황민희;백혜진;이상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210-1215
    • /
    • 2020
  • 스파르가눔증은 스피로메트라 아속의 유충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드문 기생충 질환이다. 경부 스파르가눔증은 드문 질환이기 때문에 림프절 병증이나 연부 조직 종양으로 오인되어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저자들은 영상 소견이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53세 여성 환자의 현성 경부 스파르가눔증의 증례를 보고한다. 이 증례 보고를 통해 저자들은 만져지는 경부 종물이 있을 때 스파르가눔증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스파르가눔증에 대한 임상적 의심 및 영상의학적 소견에 대한 이해가 중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Comparison of accuracy between free-hand and surgical guide implant placement among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dental implant practitioners: an in vitro study

  • Dler Raouf Hama;Bayad Jaza Mahmood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3권5호
    • /
    • pp.388-40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uracy of free-hand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an experienced operator compared to static guided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an inexperienced operator on an anterior maxillary dental model arch. Methods: A maxillary dental model with missing teeth (No. 11, 22, and 23) was used for this in vitro study. An intraoral scan was performed on the model, with the resulting digital impression exported as a stereolithography file. Next,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 was performed, with the resulting image exported as a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file. Both files were imported into the RealGUIDE 5.0 dental implant planning software. Active Bio implants were selected to place into the model. A single stereolithographic 3-dimensional surgical guide was printed for all cases. Ten clinicians, divided into 2 groups, placed a total of 60 implants in 20 acrylic resin maxillary model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the Mann-Whitney test was used to analyze mean values in the 2 group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Results: The accuracy of implant placement using a surgical guid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ree-hand implanta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planned and actual implant positions at the apex was 0.68 mm for the experienced group using the free-hand technique and 0.14 mm for the non-experienced group using the surgical guide technique (P=0.019). At the top of the implant, the mean difference was 1.04 mm for the experienced group using the free-hand technique and 0.52 mm for the non-experienced group using the surgical guide technique (P=0.044). Conclusions: The data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since in vitro studies should be conducted extensively in advance of retrospective or prospective studies to avoid burdening patients unnecessarily.

Massive Localized Abdominal Lymphedema: A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 Badri Gogia;Irina Chekmareva;Anastasiia Leonova;Rifat Alyautdinov;Grigory Karmazanovsky;Andrey Glotov;Dmitry Kalini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6호
    • /
    • pp.615-620
    • /
    • 2023
  • Massive localized lymphedema (MLL) is a rare disease caused by the obstruction of lymphatic vessels with specific clinical morpholog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People with morbid obesity are mainly affected by MLL. Lymphedema is easily confused with soft tissue sarcoma and requires differential diagnosis, both the possibility of an MLL and also carcinoma manifestations in the soft tissues. The possible causes of massive lymphedema include trauma, surgery, and hypothyroidism. This report is the first case of MLL treated surgically in the Russian Federation. Detailed computed tomography (CT) characteristics and an electron microscope picture of MLL are discussed. A 50-year-old woman (body mass index of 43 kg/m2) with MLL arising from the anterior abdominal wall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for surgical treatment. Its mass was 22.16 kg. A morphological study of the resected mass confirmed the diagnosis of MLL. We review etiology, clinic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LL. We also performed an electron-microscopic study that revealed interstitial Cajal-like cells telocytes not previously described in MLL cases. We did not find similar findings in the literature. It is possible that the conduction of an ultrastructural examination of MLL tissue samples will further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MLL pathoge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