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rehensive Index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5초

KSCD를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자의 해외 학술지 인용행태 연구 (Citing Behavior of Korean Scientists on Foreign Journals in KSCD)

  • 김병규;강무영;최선희;김순영;류범종;신재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7-133
    • /
    • 2011
  • 국내 과학기술전반에 걸쳐 주제분야별로 해외 학술지 인용비율 즉 해외 학술지 영향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며 가장 큰 원인은 종합 분석이 가능한 국내 학술지에 대한 대규모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의 부재였다. KISTI는 한국 과학기술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인 KSCD를 구축하고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서비스(KSCI)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과학기술분야 핵심 학술지를 포괄하는 KSCD를 활용하여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해외 학술지 인용행태에 대한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범위는 첫째, 해외 인용문헌의 형태별 분석을 둘째, 해외 학술지 인용문헌의 주제별 피인용수 및 타분야 인용비율 분석을, 셋째, 해외 학술지 인용문헌의 언어 및 발행국가 분석을, 넷째, 해외 학술지 발행기관 및 글로벌 인용색인 서비스 등재현황 분석을 마지막으로 국내의 해외 전자저널 구독 현황 분석이다. 해외학술지 인용분석을 통한 연구의 주요성과로는 해외 인용 학술지의 인용절정기(평균 3.9년), 반감기(평균 9년)의 규명과 한국 연구자들이 주로 해외등재학술지를 인용하며 국내에서 인용 해외등재학술지의 90%정도가 전자저널로 구독되고 있음을 밝힌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한 국내 과학자들의 해외 학술지 인용행태 분석 결과는 해외 전자저널 구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DIS 식생지수와 임상도를 활용한 산림 식물계절 분석 (Detecting Phenology Using MODIS Vegetation Indices and Forest Type Map in South Korea)

  • 이보라;김은숙;이지선;정재민;임종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1호
    • /
    • pp.267-282
    • /
    • 2018
  •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한 식생 계절 추정 연구의 지속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장 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검증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다양한 형태로 패치화 되어 있는 우리나라 산림의 경우, 인공위성 영상과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는 한계가 존재하여 위성 영상만으로 개엽일을 추정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는 식생 계절 추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축적 임상도(1:5,000)를 MODIS 픽셀 해상도에 맞게 재구성하여 MODIS의 NDVI와 EVI 두 식생지수들로부터 시계열 식물계절 곡선을 생산하여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산림에 적합한 식생 지수와 개엽일 추출 방법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또한 각 픽셀의 임상 구성비율과 식생지수로부터의 식물계절 추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립수목원에서 실측된 개엽일을 바탕으로 NDVI와 EVI를 비교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산림에는 EVI가 더 적합하였고, 식생지수 계절 곡선으로는 일차도함수가 개엽일 추출에 가장 적합하였다. 현장 개엽일이 조사된 7개의 활엽수종이 속한 픽셀과(중앙픽셀) 이웃한 8개의 픽셀을 실측 개엽일과 비교하였을 때, 실측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베스트 픽셀을 구성하는 임상은 활엽수림 67.9%, 침엽수림 14.3%, 혼효림 7.7% 구성을 보였고 평균 결정계수($R^2$)는 0.64으로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MODIS EVI로 추출한 전국 평균 개엽일은 최소 112.9일(2014년)에서 최대 129.1일(2010년)으로 2003년 이래로 약 0.16일 빨라졌다. 향후 연구에서는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개엽일 분석 외에도 다양한 기후 및 지형 인자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침엽수림의 개엽일 추출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우리나라 산림 생태계의 다양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화성암의 화학적 변질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 of Igneous Rocks)

  • 최은경;김성욱;김인수;이규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41-54
    • /
    • 2012
  • 암석이 풍화되어 감에 따라 지반 지지력이 감소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토목 구조물의 시공과 설계에서는 암석의 풍화에 의한 지반정수의 변화가 많이 인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우리나라 면적의 45.5%에 해당되는 화성암을 대상으로 풍화정도에 따른 화학적 변질지수의 값의 범위와 풍화에 따른 광물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 시료에 대하여 현재까지 제안된 풍화지수들을 산정하였으며, 유의성 분석을 통해서 지수간의 높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풍화지수들은 풍화가 진행될수록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화학적 변질지수(CIA)는 암종이나 광물에 따른 값이 기존연구에서 제시되어 있어 풍화의 정도를 판별하기 용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풍화정도를 평가하였다. 풍화에 따른 광물학적 변화는 산성질의 영역에 포함되는 암석은 풍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기반암-일라이트-녹니석-카올린의 경로를 따르나 고철질의 영역에 포함되는 암석은 풍화 진행에 따라 기반암-스멕타이트-녹니석-카올린의 경로를 주로 따르게 된다. 즉 고철질의 암석에서는 풍화과정에서 양이온교환능이 높은 팽윤성의 점토광물인 스멕타이트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화학적 풍화지수는 화학성분의 상대적인 변화와 비율을 근거로 작성된 지수이므로 암종별로 값의 범위가 넓게 나타나며, 특정 암종의 대표값을 결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화학적 풍화지수는 다른 풍화정도를 판별하는 기준들과 마찬가지로 정성적인 기준이 아닌 정량적인 기준으로 풍화도를 평가하는 데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특정지역의 풍화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화학적 변질지수와 함께 풍화광물의 함량비, 풍화에 따른 강도 특성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을것으로 판단된다.

국토환경 모니터링 지표로서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활용방안 (Application of ECVAM as a Indicator for Monitoring National Environment in Korea)

  • 김은영;전성우;송원경;곽재련;이준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2호
    • /
    • pp.3-16
    • /
    • 2012
  •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종합적인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적 가치를 평가한 지도로서 친환경적인 토지이용 및 관리를 유도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2001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제작되었으며, 국토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매년 지도를 갱신하고 있다. 이처럼 지도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 매년 타당성 연구를 기반으로 평가기준을 변경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으로 국토의 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로서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에 사용된 데이터를 현재 평가기준으로 재평가하여 6년 동안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변화 내역을 분석하고, 본 지도가 국토환경 모니터링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국토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등급 변화는 10년 단위로 갱신되는 4차 임상도 갱신(2008), 백두대간 보호지역 등 신규 법정 보호지역 반영(2010), 광역생태축 등 환경생태적 평가항목 자료 추가(2009) 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산림지역의 지속적인 관리로 인한 영급 증가, 신규 환경생태적 보전지역 추가 지정 등과 같은 개별적인 환경지표를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속적인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은 국토환경 및 정책 변화의 통합 모니터링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향후 국토환경성 평가지도가 보다 정확한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평가항목으로 활용되는 환경 주제도의 정확도 확보, 갱신주기 단축이 요구된다.

  • PDF

여성 골관절염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A Study on Degree of Daily Living Activities among Women with Osteoarthritis)

  • 양경라;이선자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71
    • /
    • 1998
  •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ose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in women experiencing the disease in order to make suggestio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in women. The subjects were 143 women who were diagnosed to have osteoarthritis and under follow-up care at an outpatient department of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between October 6 and October 24, 1997. The degree of daily living activities was measured with 24 items, which were made based upon Katz Index, Barthel Index and Functional Status Index. Each item has 4 response categories : (1) being able to do alone with any difficulty, (2) being able to do alone with some difficulty, (3) being able to do alone with the help of a person or an instrument, (4) not being able to do at all. The data was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s for the age of the subjects, 59.4% were between 45 and 64 years, while 28% were 65 years and above. The subjects having religion were 71.7% and 44.1% of the subjects were protestants. The educational level was low : 31.5% graduated from elementary school, while 30.1% had no formal education. Those married subjects were 72%. Fifty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evaluated their economic status as middle class. 2. Those people from whom the subjects currently receive some help were spouses in 35.8% of the subjects. Likewise, 50% of the subjects indicated spouse as the people from whom they want to receive help. 3. The score of the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 ranged between 48 and 96, with the mean of 78.94. Those means of physical activity,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14.89, 13.97 and 50.09, respectively. Except for the items of carrying heavy stuff and of washing clothes in the sitting position the subjects showed independence in more than 90% of the items, where Independence is defined as being able to do alone or with the help of a person or an instrument. 4. The increase in a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decrease in the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 Those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and abov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in the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 than those with less educational level. The married women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hysical activity, ADL, and IADL than the unmarried ones. The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aving religion, economic status and living with family. 5. The average duration of experiencing osteoarthritis was 4 years and 7 months. Regarding the site of the onset, 65% of the subjects indicated knees. The women with osteoarthritis for less than 3 years were 65%. The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duration of illness : the longer the duration of illness, the less the ability of activitie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eveloping those programs for prevention disabilities in performing daily living activities and for managing diseases targeting the women of middle and old age, with low educational level, and with unmarried statu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developed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ies which reflects daily lives of Korean women with osteoarthritis in order to examine comprehensive effects of osteoarthritis on women's daily lives in this country.

  • PDF

Establishing a Nomogram for Stage IA-IIB Cervical Cancer Patients after Complete Resection

  • Zhou, Hang;Li, Xiong;Zhang, Yuan;Jia, Yao;Hu, Ting;Yang, Ru;Huang, Ke-Cheng;Chen, Zhi-Lan;Wang, Shao-Shuai;Tang, Fang-Xu;Zhou, Jin;Chen, Yi-Le;Wu, Li;Han, Xiao-Bing;Lin, Zhong-Qiu;Lu, Xiao-Mei;Xing, Hui;Qu, Peng-Peng;Cai, Hong-Bing;Song, Xiao-Jie;Tian, Xiao-Yu;Zhang, Qing-Hua;Shen, Jian;Liu, Dan;Wang, Ze-Hua;Xu, Hong-Bing;Wang, Chang-Yu;Xi, Ling;Deng, Dong-Rui;Wang, Hui;Lv, Wei-Guo;Shen, Keng;Wang, Shi-Xuan;Xie, Xing;Cheng, Xiao-Dong;Ma, Ding;Li, Shu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773-3777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nomogram by combining clinicopathologic factors with overall survival of stage IA-IIB cervical cancer patients after complete resection with pelvic lymphadenectomy. Materials and Methods: This nomogram was based on a retrospective study on 1,563 stage IA-IIB cervic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e resection and lymphadenectomy from 2002 to 2008. The nom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The accuracy and discriminative ability of the nomogram were measured by concordance index (C-index) and calibration curve. Results: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lymph node metastasis (LNM), lymph-vascular space invasion (LVSI), stromal invasion, parametrial invasion, tumor diameter and histology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cervical cancer survival. These factors were selected for construction of the nomogram. The C-index of the nomogram was 0.71 (95% CI, 0.65 to 0.77), and calibration of the nomogram showed good agreement between the 5-year predicted survival and the actual observation. Conclusions: We developed a nomogram predicting 5-year overall survival of surgically treated stage IA-IIB cervical cancer patients.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t is provided by this nomogram could provide further insight into personalized therapy selection.

키오스크 소비자의 만족수준 연구: Kano, Timko, PCSI 방법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Kiosk Satisfaction Level Improvement: Focusing on Kano, Timko, and PCSI Methodology)

  • 최재훈;김판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93-204
    • /
    • 2022
  • 본 연구는 키오스크 사용자를 대상으로 소비자 만족 수준 측정 및 개선의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기술의 발전과 온라인 환경의 개선으로 인해 단순노동 업무는 10여 년 후 사라질 확률이 90%가 임박한다. 국내 연구에서도 단순 노무 직종'이 약 36%의 확률로 진보된 기술에 영향을 받아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며 기업으로서도 인력 구인과 인건비 등의 문제로 인해 점차 무인화를 진행하며 그 대체재로써 키오스크를 선호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큰 유행으로 번지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키오스크 도입 경향은 더욱 가속화되어 세계시장에서 2021년 835억 원 규모로 성장하며 연평균 8.9%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키오스크의 무인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일부 소비자는 여전히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사용이 익숙지 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비대면 서비스 자체에 대한 거부감과 서비스 오류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서비스 공동 생산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점원과 소비자 간의 역할 갈등을 유발하거나 기술 사용이 익숙한 세대와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불평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키오스크는 대표적인 기술 기반 셀프서비스 산업이기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추가적인 노동을 한다고 여기면 전체적인 서비스 가치 하락을 경험하여 키오스크 산업 자체의 성장세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 중심의 키오스크 개선 방향성 연구는 중요하다. 이에 실제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직접 사용함에서 중점 사항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배색, 글자 크기, 기기의 디자인, 기기의 크기, 내부 UI(인터페이스), 정보의 양, 인식 센서(바코드, NFC 등), 디스플레이 밝기, 자체 이벤트, 반응속도 항목을 추출하였다. 이후 설문을 활용하여 각 기대 평가 항목의 Kano 모델 품질 속성 분류를 진행하였으며 최빈값만을 고려하여 차순위의 통계적 의미가 무시된다는 Kano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를 정확한 수치로 계산할 수 있는 Timko의 고객 만족 계수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키오스크 기대 평가 항목들의 개선 영향력을 최종적으로 분별하여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PCSI Index 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개선의 영향력은 내부 UI(인터페이스), 글자 크기, 인식 센서(바코드, NFC 등), 반응속도, 자체 이벤트, 디스플레이 밝기, 정보의 양, 기기의 크기, 기기의 디자인, 디스플레이 배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키오스크 기반 분야별 연구의 종합적인 비교 및 벤처 산업의 개선 방향성 설정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컴퓨터 기반 학습에서 인지부하 요인과 GSR의 각성수준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gnitive Load Factors and Arousal Levels of Galvanic Skin Response on Task Performance in Computer Based Learning)

  • 류지헌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279-288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과제수행에 대하여 주관적 인지부하 요인과 GSR의 각성수준이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지부하 설문지(신체적 노력, 정신적 노력, 지각된 과제난이도, 자기평가, 자료설계의 용이성), 사전-사후검사, GSR에 의한 각성수준을 측정하였다. 사전검사는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을 의미하며, 사후검사는 과제수행의 결과를 의미한다. 이 연구의 분석방법은 사후검사의 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이었다. 첫째, 자기보고의 인지부하 요인이 사후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전검사, 신체적 노력, 지각된 과제난이도가 사후검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신체적 노력은 정적관련성을 보이고 있었으나 지각된 과제난이도는 부적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 결과는 사전검사의 점수가 높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과제난이도를 낮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과제해결을 위하여 신중히 노력함으로써 사후검사의 결과가 올라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각성수준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평가단계에서 측정된 각성수준이 사후검사의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단계의 GSR은 과제수행(사후검사)과 부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즉, 평가단계에서 적절한 이완수준을 유지하고 있을 때 사후검사의 결과가 증진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유역오염원 수질거동해석을 위한 GIS기반 정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IS for Analyzing Basin-Wide Pollutant Washoff)

  • 박대희;하성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44
    • /
    • 2006
  • 환경모델링 기법은 비선형 오염유출현상을 구조화하여 배출특성 규명 및 정책대안의 영향예측 도구로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복잡한 입력 매개변수의 구성은 모형운영에 있어 비정량적 수치의 적용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들어 GIS와 정보기술의 연계를 통한 자료관리 및 모형 매개변수 산출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GIS사업을 통해 축척된 지형공간 자료와 GIS의 공간분석기능을 연계하여 유역 오염유출모형인 HSPF의 운영정보 생성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주 연구내용은 시스템 분석 및 설계, 기초 데이터 수집과 DB 구축, 지형 매개변수 산정을 위한 GIS-HSPF의 통합 인터페이스 구축이다. 개발된 KBASIN-HSPF는 EPA에 의해 개발된 BASIN의 유역분할, 하천망생성, 지형특성계수 산정 기능과 함께 우리나라의 지형 오염원 기상정보의 저장구조를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Thiessen망에 준한 강우자료 보정 그리고 HSPF 모형운영정보 생성 및 전환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KBASIN-HSPF는 기존의 오염유출모델링을 위해 자료준비부터 정보연계, 모형운영까지 분산된 환경에서 수행되었던 것을 통합환경하에서 진행함으로써 정보의 질적보장과 정보전환의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는 정보분석시스템이다.

  • PDF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건강 행위 사정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Health Behavior Assessment Scale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조계화;오원옥;최정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333-1346
    • /
    • 2000
  • This study is a methodical research to develop a health behavior assessment scale for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1)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depth interviews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his conceptual framework was organized in eight dimensions; pain management, exercise, rest, diet control, active committment, self-management, positive thinking, interpersonal maintenance. Initially 56 items were selected from 164 statement. 2) These items were reviewed by panel of eight specialists and the Index of Content validity (CVI) was calculated, and forty six items were selected which met more than 70% on the CVI. 3) 174 rheumatoid arthritis pateints were interviewed, and data was gathered from Jan. 25 to Feb. 18, 1999 for test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of the scale. The item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40 items were selected. Factor analysis by varimax rotation was carried out to test construct validity. The internal consistency by ch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validity of the health behavior assessment scale. The item analysis was based on the corrected item`s to total correlation coefficient (.30 or more), and information about the alpha estimate. However, this was only if this item was deleted from the scale. As a result of the item analysis, forty items were selected. Thirty items were selected by a initial factor analysis by varimax rotation, and ten items were deleted because of factor complexity. In the secondary factor analysis, eight factors were labled as 'positive thinking', 'exercise', 'rest', 'pain management', 'active committment', 'self-management', 'diet control', and 'interpersonal maintenance', each similar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2) Chronbach's $\alpha$ coefficient to test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903 for total the thirty items. The Scale for assessing health behavior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to be a tool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this scal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assessment in the health behaviors of th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