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ite Membrane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25초

In-situ 졸-겔 법을 이용한 저가습 작동용 수소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용(PEMFC) 나피온/TiO2 복합막 (Low-humidifying Nafion/TiO2 Composite Membrane Prepared via in-situ Sol-gel Proces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 최범석;고영돈;김화중
    • 공업화학
    • /
    • 제30권1호
    • /
    • pp.74-80
    • /
    • 2019
  • 저가습 작동을 위한 수소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용 $Nafion/TiO_2$ 복합막을 졸-겔 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Nafion막에 $TiO_2$ 나노 입자를 함침시키기 위하여 $TiO_2$ 전구체 용액에 1일부터 7일까지 함침 시간을 달리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담금 시간이 증가할수록 Nafion막 내에 함침되는 $TiO_2$ 함량이 증가하였다. $TiO_2$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표면의 친수성이 증가하면서 접촉각은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물 흡수력(water uptake)과 복합막을 통한 수소 이온 전도도는 담금 시간이 4일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고 4일 이상인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담금 시간이 7일인 경우에는 큰 $TiO_2$ 입자들이 막의 표면과 내부에 생성되어 애노드에서 캐소드로의 수소 이온 전도를 방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전지 성능 시험 결과 물 흡수력 및 수소 이온 전도도의 결과와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0.6 V에서 담금 시간이 1일, 3일, 4일 및 7일인 경우 전류 밀도가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 RH) 40%에서 각각 0.54, 0.6, $0.63A/cm^2$$0.49A/cm^2$를 나타내었다. Nafion 분산액과 $TiO_2$ 입자를 혼합하여 제작한 막과 Nafion 115를 이용하여 RH 40%에서 수행한 전지 성능 결과와 비교할 때 졸-겔 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복합막의 경우 약 66%의 전지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Separation of Hydrogen-Nitrogen Gas Mixture by PTMSP/PDMS-PEI Composite Membrane

  • Lee, Hyun-Kyung;Kang, Tae-Beom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conference of aseanian membrane society
    • /
    • pp.148-151
    • /
    • 2004
  • The development of the gas separation processes using polymeric membranes has attracted a great deal of interes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Membrane in this application has to offer an excellent thermal stability, chemical/solvent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under operating conditions.(omitted)

  • PDF

A Low-Density Graphite-Polymer Composite as a Bipolar Plate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 Dhakate, S.R.;Sharma, S.;Mathur, R.B.
    • Carbon letters
    • /
    • 제14권1호
    • /
    • pp.40-44
    • /
    • 2013
  • The bipolar plate is the most important and most costly component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The development of a suitable low density bipolar plate is scientifically and technically challenging due to the need to maintain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Here, bipolar plates were developed from different particle sizes of natural and expanded graphite with phenolic resin as a polymeric matrix. It was observed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reinforc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 composite bipolar plate. The composite bipolar plate based on expanded graphite gives the desired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as per the US Department of Energy target, with a bulk density of 1.55 $g.cm^{-3}$ as compared to that of ~1.87 $g.cm^{-3}$ for a composite plate based on natural graphite (NG). Although the bulk density of the expanded-graphite-based composite plate is ~20% less than that of the NG-based plate, the I-V performance of the expanded graphite plate is superior to that of the NG plate as a consequence of the higher conductivity. The expanded graphite plate can thus be used as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aterial.

Nafion-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Composite Membran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 Choi Jisu;Kim II Tae;Kim Sung Chul;Hong Young Taik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6호
    • /
    • pp.514-520
    • /
    • 2005
  • Composite membranes of Nafion and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were prepared.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s with different degrees of sulfonation were blended with Nafion to reduce the methanol crossover. The morphology, proton conductivity and methanol permeability of the resulting composite membranes were investigated by SEM, EDAX, AC impedance spectroscopy and permeability measuring instrument. The cross­sections of the composite membranes showed a phase separated morphology. The morphology and phase separation mechanism could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blend ratio and the degree of sulfonation of poly(arylene ether sulfone). These complex morphologies can be applied for reducing methanol crossover. The methanol permeability and proton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membranes were lower than those of Nafion 117 membrane since the development of an ionic pathway in the blend membrane was more difficult than that in Nafion itself.

항에이즈 약물의 경피흡수에 미치는 합성고분자 멤브레인의 영향 (The Effect of Synthetic Polymer Membranes on the Skin Permeation of Anti-AIDS Drugs)

  • 이경진;김대덕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8권1호
    • /
    • pp.1-5
    • /
    • 1998
  • The effect of synthetic polymer membranes on the permeation rate of dideoxynucleoside-type anti-HIV drugs through hairless rat skin was studied using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and ethylene/methyl acrylate copolymer (EMA) membranes fabricated by solvent casting method. In vitro skin permeation kinetics study of DDC (2',3'-dideoxythymidine), DDI (2',3'-dideoxyinosine) and AZT (3'-azido-3'-deoxythymidine) across the (membrane/skin) composite was conducted for 24 hours at $37^{\circ}C$ using the Valia-Chien skin permeation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skin permeation rate of each drug across the (skin/membrane) composite was mainly dependent on the property of the membrane. Proper selection of the polymeric membrane which resembles hydrophilicity/lipophilicity of the delivering drug was important in controlling the skin permeation rate.

  • PDF

다공성 Ni 금속 지지체를 사용한 Pd-Ni 합금 수소 분리막 연구 (A Study on the Pd-Ni Alloy Hydrogen Membrane using the Porous Nickel Metal Support)

  • 김동원;엄기연;김상호;박종수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89-295
    • /
    • 2004
  • A dense palladium-nikel (Pd-Ni) alloy composite membrane has been fabricated on microporous nickel support mixed with submicron/micron nickel powder instead of mesoporous stainless steel support. Plasma treatment process is introduced as pre-treatment process instead of HCI activation. Pd-Ni alloy composite membrane prepared by electro plating was fairly a uniform and dense surface morphology. The membrane was characterized by permeation experiments with hydrogen and nitrogen gases at temperature 773 K and pressure 2.2 psi. The results showed that hydrogen ($H_2$) permeance was 27 ml/$\textrm{cm}^2$ㆍatmㆍmin and hydrogen/ nitrogen ($_H2$$N_2$) selectivity was 8 at 773 K.

PDMS-chitosan 복합막에 의한 수소와 질소 기체 분리에 관한 연구 (Separation of $H_2$ and $N_2$ Gases by PDMS-chitosan Composite Membranes)

  • 하정임;강태범
    • 멤브레인
    • /
    • 제23권6호
    • /
    • pp.418-424
    • /
    • 2013
  • 고분자 PDMS에 chitosan을 0.02~0.60 wt%까지 넣어 복합막을 제조하였고, SEM과 TGA에 의해서 막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체투과 실험은 $30^{\circ}C$, $4kg/cm^2$ 조건에서 수행하였고, 복합막의 함량 변화에 따른 $H_2$$N_2$의 투과도와 선택도를 조사하였다. PDMS-chitosan 복합막의 $H_2$$N_2$ 투과도는 chitosan 함량이 증가하면 0~0.20 wt%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선택도($H_2/N_2$)는 0~0.20 wt%까지는 감소하고 0.20~0.60 wt% 범위에서는 증가하였다. PDMS 고분자에 chitosan이 도입되어졌을 때 PDMS의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chitosan 함량이 증가했을 때 복합막의 표면은 거칠어지고 홀이 생성되었다.

연료전지용 부분불소계 Poly (arylene e ther sulfone)/PTFE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ally Fluori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PTFE Composite Membranes for Fuel Cell)

  • 김은희;장봉준;김정훈
    • 멤브레인
    • /
    • 제22권3호
    • /
    • pp.191-200
    • /
    • 2012
  • 불소관능기인 perfluorocyclobutane (PFCB)기를 포함하는 후술폰화 poly (arylene ether sulfone) 랜덤 공중합체를 다공성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막에 함침시켜 새로운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후술폰화 랜덤 공중합체는 trifluorovinyloxy 그룹을 양말단에 포함하는 biphenyl계와 sulfonyl계 단량체로부터 제조되었는데, biphenyl계와 sulfonyl계의 비율을 6 : 4와 4 : 6으로 조절 후 중부가반응 형태의 열중합과 chlorosulfonic acid (CSA)를 이용한 후술폰화 반응을 통하여 얻어졌다. 이렇게 제조된 랜덤 공중합체의 농도를 달리하면서(5~20 wt%) 다공성 PTFE 막에 함침시켜 복합막을 제조하였고, 이온 교환 능력(IEC), 함수율,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여 강화되지 않은 랜덤공중합체 및 Nafion과 비교하였다. 제조된 단량체 및 고분자의 구조와 순도는 각각 $^1H$-NMR, $^{19}F$-NMR와 FT-IR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제조된 복합막의 형태는 SEM으로 관찰하였다.

기공형 polyethersulfone/TiO2 복합체 멤브레인의 유기염료분해 반응에 대한 광촉매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Organic Dyes by Porous Polyethersulfone/TiO2 Composite Membrane)

  • 송창현;진영읍;이원기;유성일
    • 공업화학
    • /
    • 제34권1호
    • /
    • pp.51-56
    • /
    • 2023
  • 광촉매 기반의 수처리 공정에서 TiO2 나노입자와 기공형 고분자로 구성된 복합체 멤브레인은 광촉매 반응후 나노입자를 회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과 멤브레인 파울링(fouling) 억제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TiO2 나노입자가 복합체 멤브레인에 고착된 이후 나노입자의 광촉매 특성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polyethersulfone (PES)/TiO2 복합체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유기염료분해 반응에 대한 광촉매 특성을 연구하였다. 복합체 멤브레인에 고착된 TiO2 나노입자의 염료분해반응 속도를 콜로이드 상에서 분산된 TiO2 나노입자와 비교함으로써 멤브레인에 고착화되기 전후의 TiO2 나노입자의 촉매 효율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