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iance assessment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합성피혁제조업 근로자에 대한 디메틸포름아미드의 공기중 농도와 생물학적 노출지표간의 상관성 평가 (Assessment of correlation between markers of ambient monitoring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dimethylformamide for workers in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 황양인;이미영;정윤경;김은아
    • 분석과학
    • /
    • 제26권5호
    • /
    • pp.315-325
    • /
    • 2013
  • The possibility of acute hepatotoxicity caused by dimethylformamide (DMF) requires regular monitoring of the workers who are using DMF to prevent the occupational disease. The authors performed ambient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workers involved in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processes using DMF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rs of ambient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DMF. The authors monitored 142 work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DMF from 19 workshops in the synthetic leather and ink manufacturing industries located in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 on work procedure and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be classified by exposure type. DMF in air samples collected using personal air samplers, diffusive and active sampler, was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with DB-FFAP column (length 30 m, i.d. 0.25 mm, film thickness 0.25 ${\mu}m$). Urinary N-methylformamide (NMF) was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at selected ion monitoring (SIM) mode with DB-624 column (length 60 m, i.d. 0.25 mm, film thickness 1.40 ${\mu}m$). Geometric mean (GM)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 of the ambient DMF was $6.85{\pm}3.43$ ppm, and GM and GSD of urinary NMF was $42.3{\pm}2.7$ mg/L. The ratio of subjects with DMF level over 10 ppm was 44%, and those with urinary NMF over 15 mg/L was 87%. NMF in urine adjusted by DMF in air was $4.61{\pm}2.57$ mg/L/ppm and $9.50{\pm}2.41$ mg/L/ppm, respectively, with or without respirator. There was seasonal differences of NMF in urine adjusted by DMF in air, $7.63{\pm}2.74$ mg/L/ppm in summer and $4.53{\pm}2.29$ mg/L/ppm in winter. The urinary NMF concentration which corresponds to 10 ppm of ambient DMF was 52.7 mg/L (r=0.650, n=128).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the route of exposure which resulted from the compliance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estimated contribution of respiratory and dermal exposure route for DMF was 48.5% vs. 51.5%.

Assessment of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ersimmon Leaf Extract on Prediabetic Subjects

  • Khan, Mohd M.;Tran, Bao Quoc;Jang, Yoon-Jin;Park, Soo-Hyun;Fondrie, William E.;Chowdhury, Khadiza;Yoon, Sung Hwan;Goodlett, David R.;Chae, Soo-Wan;Chae, Han-Jung;Seo, Seung-Young;Goo, Young Ah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7호
    • /
    • pp.466-475
    • /
    • 2017
  • Dietary supplements have exhibited myriads of positive health effects on human health conditions and with the advent of new technological advances, including in the fields of proteomics, genomics, and metabolomics,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dietary supplements are being evaluated for their ameliorative effects in human ailments. Recent interests in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the molecular targets of phytochemical-gene-protein-metabolite dynamics resulted in discovery of a few protein signature candidates that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s on human health. Persimmon (Diospyros kaki) is a folk medicine, commonly used as dietary supplement in China, Japan, and South Korea, owing to its different beneficial health effects including anti-diabetic implications. However, neither mechanism of action nor molecular biomarkers have been discovered that could either validate or be used to evaluate effects of persimmon on human health. In present study, Mass Spectrometry (MS)-based proteomic studies were accomplished to discover proteomic molecular signatures that could be used to underst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persimmon leaf extract (PLE) in diabetes amelioration. Saliva, serum, and urine samples were analyzed and we propose that salivary proteins can be used for evaluating treatment effectiveness and in improving patient compliance. The present discovery proteomics study demonstrates that salivary proteomic profile changes were found as a result of PLE treatment in prediabetic subjects that could specifically be used as potential protein signature candidates.

가족지지개념을 다룬 국내 간호연구 분석 (Family Support: a Review of Nursing Literature on its Trends and Implementations)

  • 박신애;강경숙;정미영;차남현;김순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39-64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 and to provide an effectiv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by conducting a review of the Korean nursing literature from 1980 to 2000. A total of 73 studies were analyz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family suppor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1984, and 77% of those were conducted in the 1990s. 48 studies, 65% of those analyzed. were degree-based research including 4 doctoral theses (4%) and 45 master's theses (62%). 2) Based on the objective frame of study types developed by Lee et al. (991), the types of studies were analyzed: 56 studies, 76.6% of those reviewed, belonged to factor-relating: 9 studies (12.4%) belonged to factor-isolating: 7 studies (9.6%) belonged to situation-producing: and only 1 study (1.4%) belonged to situation-relating research, respectively. 3) In terms of research design, most studies of analyzed (90.4%) were conducted by non-experimental design, and 7 studies (9.6%) were conducted by experimental design. But,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 was not found. 4)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target populations of experimental studies were patients with arthritis, mental disorder, tuberculosis,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ypertension. In correlational studies, 51 studies, 69.9% of those analyzed, were conducted to patients with renal failure, cancer and hemiplegia, and 5 studies (6.8%) were conducted to aged people and adolescents. 5) Study concepts used in correlational studies were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self-esteem, hope, role behavior, compliance and self-care activities. The quality of life was most often used among studies with 12.5% of those analyzed. 6) Nursing interventions, including diet therapy, family involving education and supportive care, used in experimental studies mostly showed positive effects on client involvement and home health improvement. However, the nursing interventions of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and resistance exercise showed neutral and negativ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more empirical research including experimental or qualitativ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ctively to improve nursing practice related to family support. Also, to promote more diverse nursing interventions, a family assessment tool especially for Korean families needs to be developed.

  • PDF

ADS-33 평가기준에 따른 소방헬기 비행시뮬레이터의 비행조종성 예비평가 (Preliminary Evaluation of Handling Qualities of a SAR(Search & Rescue) Helicopter Simulator Based on ADS-33 Requirements)

  • 윤석준;김동현;성은혜;박태준;황호연;안존;이정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796-805
    • /
    • 2016
  • 본 연구는 헬리콥터 비행 시뮬레이터 개발의 첫 번째 단계의 일환으로 비행 운동 모델의 비행조종성을 해석적으로 평가한다. 비행 운동 모델은 시뮬레이터의 목표 항공기인 AS365 N2의 공개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해당 비행 시뮬레이터는 소방 임무에 대한 조종사 교육 및 연구 도구로 개발 중이다. 모델의 평가는 비행 시험 데이터를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기 전에 모델의 비행 특성과 다음 개발 단계로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평가는 항공기분류, 임무 및 환경을 고려하여 ADS-33E-PRF(Aeroautical Design Standard Performance Specification Handling Qualities Requirement)의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한다. 항공기의 해석적 비행은 규정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위해 요구되는 혹은 권장되는 비행시험절차를 따른다. 평가 결과는 ADS-33E-PRF에 명시된 조종성 등급에 따라 평가되는데 RotorLibFDM을 기반으로 생성된 비행 운동 모델이 헬기 비행에 대한 기본 교육과 연구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헬리콥터 시뮬레이터에 대한 만족스러운 플랫폼을 제공함이 확인되었다.

레일형 옥내화 자동차해체시스템의 전과정평가 방법을 통한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Review through the Life Cycle Assesment Method of End-of-life Vehicle Dismantling Technology Via Indoor Rail Type)

  • 김대봉;박제철;박정호;하성용;성종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6호
    • /
    • pp.13-22
    • /
    • 2016
  • 본 연구는 환경 친화적인 폐자동차 해체 및 재활용 기술을 대상으로 전과정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았다. 폐자동차 해체 처리 과정에서 투입 원부재료 및 배출되는 해체 부품의 재활용 및 폐기 처리에 따른 자원소모,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옥내화 레일형 기술이 적용된 해체 시스템을 통해 기존 해체 시스템 대비 재활용율이 약 8% 증가 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경 영향 범주별 3 ~ 88%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자동차의 해체 처리 속도 및 부품의 재활용 및 재자원화 비율 향상을 통해 국내외 중고부품 시장에서 약 9 ~ 67% 의 부가이익을 창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폐자동차 처리의 법규 준수와 동시에 재자원화율 증대 및 중고 부품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레일형 옥내화 폐자동차 해체 시스템의 보급 및 확산 노력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선동결혈장의 적정수혈 분석 (Audit of Appropriateness of Fresh Frozen Plasma Transfusion)

  • 서유경;김문정;김신영;김현옥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6-144
    • /
    • 2012
  • 배경: 신선동결혈장은 응고인자의 보충을 위한 치료적 투여를 주된 목적으로 하지만, 실제로 적응증이 아닌 경우에도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방법: 년 2010년 7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년간 세브란스병원 혈액은행에서 출고된 신선동결혈장의 적정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기준은 2009년 대한수혈학회에서 발간한 수혈가이드라인과 세브란스병원의 수혈적정성 평가 전산시스템에 기초하였다. 결과: 신선동결혈장은 1년 간 총 1,949명에게 4,982회에 걸쳐 17,733단위가 출고되었고, 이 중 1,990회(총 건수의 39.9%)가 부적절 수혈로 평가되었다. 진료과별 사용 건수는 소화기내과 등의 내과 계열이 흉부외과나 일반외과 등의 외과 계열보다 많았다. 그러나 부적절 사용 비율은 외과 계열이 내과 계열보다 높았다. 질병분류별 사용건수와 이들의 부적절 사용 비율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종양, 소화 계통의 질병, 순환 계통의 질병군이 높은 사용 건수와 부적절 사용 비율을 보였다. 결론: 수혈의 적정성 유지를 위해서는 각 의료기관에서 수혈 적정성이 항상 평가되고, 그 결과를 임상의사들에게 정기적으로 피드백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신선동결혈장 수혈 적응증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총량관리 단위유역 평가기법을 활용한 서울특별시 주요 유입 지천의 수질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Major Tributaries in Seoul, Applying Watershed Evaluation Techniques)

  • 심규현;김경훈;임태효;김용석;김성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2-46
    • /
    • 2021
  • South Korea has been divided into quantities and water quality, and due to a revision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law in June 2018, the controversial water management system was integrated in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System has been called the flower of water quality control, and since 2004, all three major river systems which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Han River system, despite its various difficult environments, and subsequently leading to all of the four major rivers undergoing obligatory implementation since 2013. Currently, the target TMDL (Han River Phase 1 and Other Water Systems Phase 3) for the 2020 stage has been implemented. The domestic TMDL established a basic plan for calculating the load which complies with the unit watershed's target water quality, as well as an implementation plan for annual load management, both which have been institutionalized in order to evaluate load compliance on a repeated annual basis. Local governments ask external organizations to conduct investigations every year in order to assess the transition, which thereby requires tens of millions of won every year. Therefore, an assessment and management model that can be easily operated at the TMDL personnel level is required. In this study, when the Han river Water System TMDL was implemented in earnest, we confirmed the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when TMDL was introduced to major inflow tributaries (TancheonA, JungnangA, AnyangA) under the Seoul City's jurisdiction through the use of the total amount control unit basin evaluation technique. By presenting customized management measures, we propose the guidelines that are necessary for determining more effective water environmental policies.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Herbal Medicines by GF-AAS and Automated Mercury Analyzer

  • Kim, Sang-A;Kim, Young-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1-288
    • /
    • 2021
  • GF-AAS와 수은분석기를 이용하여 납, 비소, 카드뮴 및 수은의 회수율로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92.67-102.56% 범위에서 측정되었고, 정밀도를 측정한 결과 0.21-6.00 RSD%의 재현성을 보였으며, CODEX guideline에서 규정하는 범위에 적합하였다. 또한, FAPAS QC material을 검증결과, 회수율은 96.7-102.0%, 재현성은 0.33-4.93 RSD%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약재 430건의 평균 Pb 함량은 254.9 ㎍/kg(N.D.-2,515.2)이었고, 평균 As 함량은 171.0 ㎍/kg (N.D.-2,465.2)이었으며, 평균 Cd 함량은 99.2 ㎍/kg (N.D.-797.1), 평균 Hg 함량은 6.0 ㎍/kg (N.D.-83.6)이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한약재 20종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규정하는 한약재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허용기준 이내의 결과로 모두 안전한 수준의 한약재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약 규격품 제조업소를 품질관리의 기준으로 하여 유통되기 직전의 가공 포장 과정에서의 한약재 중 납, 비소, 카드뮴 및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여 한약재 내 중금속 함량 실태를 파악하고, 국민에게 안전하고 우수한 한약재를 공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정안전성과지표 적용을 위한 공정안전시스템 분석방안 연구 (A Study on Process Safety System Analysis for Application Process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 고병석;임동휘;김민섭;설지우;유병태;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7-38
    • /
    • 2022
  • 선진국에서는 공정안전관리제도의 도입으로 사고는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규제적 성격을 띄며, 실질적인 사업장안전관리의 실태를 보여주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인다. 많은 기관에서 공정안전상태를 포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공정안전성과지표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안전성과지표 적용을 위하여 관련 Guideline을 비교·분석하고 사업장의 공정안전시스템을 분석하여 지표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문헌적 지표에서는 절차의 준수 여부 위주로 확인하는 반면, 시스템 기반의 지표에서는 안전시스템의 특정 목적을 위한 절차나 검사 등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운영상태가 어떤지 측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안전관리 활동을 운영함에 있어 도출되는 보완사항들의 명료성 측면에서 더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학령전기 아동의 심적 표상 : 부모에 대한 심적 표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ASSOCIATION WITH PARENTAL MENTAL REPRESENTATION)

  • 이경숙;이혜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21-33
    • /
    • 1999
  • 자기보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는 외부관찰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점이 많고 아동 자신의 내적인 경험, 생각, 감정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를 사용하여 정상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의 발달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3세부터 7세까지의 정상 아동 55명(남아 32명, 여아 23명)에서 MSSB, 언어평가(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지능평가를 시행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적인 갈등 상황을 설정한 놀이에서 아동들은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보상/죄의식, 처벌, 개인적 상해 등의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이 흔히 표현되었다. 2)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은 긍정적 표상, 훈육적 표상, 부정적 표상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3) MSSB 내용 주제요인 분석 결과,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공격성, 개인적 상해, 배제로 묶이는 공격적 주제, 애정, 제휴, 죄의식/보상으로 묶이는 친사회적 주제, 처벌과 불복종으로 묶이는 반항적 주제 세 가지로 나타났다. 4)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내용 주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표상은 친사회적 주제와(r=0.40), 부정적 표상은 공격적 주제와(r=0.52) 그리고 훈육적 표상은 반항적 주제와(r=0.75)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정서 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정신적 표상과 불안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43)를 보였다. 6) MSSB 내용 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