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Based Education

검색결과 981건 처리시간 0.03초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o Reinforce th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structive Competencies)

  • 정주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0-223
    • /
    • 2012
  • The importance on the flow to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has been growing, as the eternal education is in a pivotal posi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system all over the world is changing rapidly. In particular, although consolidating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have become the subject of conversation, there has not been any clear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nor of the competencies for those. So this research defined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work at variou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especially those who focus on lectures, and the instructor competencies, and make analysis and deductions what types of competencie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For this, the researcher derived the concept of instructors and the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document analysis, and based on that, discovered the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by experts review and survey.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which were planning, managing, administrating, and supporting and encouraging students. There were searching needs of students, analyzing, and 13 other criteria for planning; managing human resources, materials management, and 7 other for managing; expertise in learning contents and 13 other for administrating; and giving feedback and 3 other for supporting and encouraging students.

한국의 의예과 교육: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해법인가? (How Can We Improve Premedical Education in Korea?)

  • 예병일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3호
    • /
    • pp.121-128
    • /
    • 2017
  • When a new educational system f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was established in 1946, the National Committee for Educational Planning adopted a 6-year curriculum of medical education, consisting of a 2-year premedical component and a 4-year medical component.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the premedical curriculum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for premedical students to have a range of experiences that could be useful in their future medical careers. In 2005, another change was made to the system of medical education, in which medical schools without a 2-year premedical curriculum were established. This began to stimulate interest in premedical education, and more and more professors have become interested in premedical education as 6-year medical colleges have become more popular than before. Since 2015, the Education and Cultural Center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has annually hosted a workshop for redesigning premedical education; these workshops quickly fill up with registrants, reflecting the participants' lively interest in premedical education. The problems of premedical education are mostly due to students' and educators' attitudes. A more effective approach will be needed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future to train highly competent medical doctors. To judge whether an educational program is successful, its aims must be clearly articulated. For this reason, medical colleges must prepar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a based on their educational aims.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of premedical education will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due to the growing awareness of its importance.

기독교대학의 핵심역량 측정 도구 개발 사례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Tool of KBU Core Competency)

  • 이성아;남선우;이은철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2권
    • /
    • pp.187-22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의 6가지 핵심역량의 정의를 규명하고, 이에 따라 하위요소를 구성하여 핵심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탐색을 통해서 역량을 정의하였고, 하위요인을 구성하였으며,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에 의해 초안을 개발하였다.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을 위해 K대학 재학생 907명을 대상으로 역량을 측정하였으며, 공인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6개의 핵심역량의 정의를 도출하였고, 각 역량 마다 3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하였으며, 초안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에 의해 개선된 93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신뢰도 검증 결과 문항내적 합치도는 .890~.960사이로 나타났으며, 문항-총점간 상관분석 결과 .80이상의 지나친 상관을 보이는 문항은 발견되지 않아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인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 공인된 측정 도구와의 상관이 보통에서 보통이상으로 나타남으로 공인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대한영상의학회 전공의 연차별 수련교과과정 체계화 구축 사업에서 개발한 위임가능 전문직무(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와 필수 핵심역량 평가항목 및 평가 가이드라인 (Development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Core Competencies, and Guidelines in 2021 Radiology Competency Education Project)

  • 김유미;최문형;이제희;임윤정;김영진;박정선;홍수진;오정석;박지선;이아름;정승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84-292
    • /
    • 2022
  • 급변하고 있는 의료환경에서 전공의에게 양질의 수련을 제공하기 위해 연차별 수련교과과정을 역량 중심으로 개선하고, 수련병원이 수련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한영상의학회는 그동안 수련체계 개선을 꾸준히 진행해 왔고, 전공의 역량평가와 지도전문의의 내용을 강화하여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체계 개선을 제시하였다. 현재 대한 영상의학회는 2021년 7월 제2차 연차별 수련교과과정 체계화 구축 사업에 선정되어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구축 사업에서 요구하는 위임가능 전문직무와 핵심역량 평가항목 및 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이에 대한 개발과정과 평가항목 및 평가 가이드라인을 소개하여 전공의와 지도전문의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산후출혈 산모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on postpartum hemorrhage for nursing students)

  • 김미옥;하주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imulation-based postpartum care education program for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ostpartum care. Method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of instructional system design, which consist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hase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3 to May 4, 2015.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33 nurs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imulation program, whereas 31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a case stud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clinical performance (t=-4.80, p<.001), clinical judgment (t=-4.14, p<.001), and learning satisfaction (t=-10.45, p<.001)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imulation-based postpartum care education program for women with postpartum hemorrhage was effective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y, implying that a similar program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clinical training component of the maternal nursing curriculum.

치과위생사의 임상치과 핵심역량 개발 (Development of clinical dental competencies in dental hygienists)

  • 문소정;노희진;배성숙;김선경;정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1-293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the clinical dental tasks in the dental hygienists using the frequency of dental hygienists' tasks in the Korean dental clinics,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core competencies for achieving these.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evaluation of a self-reported survey. The dental hygienists were investigated upon classification of their tasks into direct and assistant performances, and the dentists were investigated by the competency level of the dental hygienists. The data from 481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67 dentis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excluding the subjects who provided incomplete or inappropriate responses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sults: The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y tasks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divided into 4 tasks for common dentistry, 4 for periodontics, 5 for conservative dentistry, 5 for pediatric dentistry, 5 for dental prosthodontics, and 3 for dental orthodontics.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y tasks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performed more frequently of tasks performance than 8.0, and dentists required competence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most dental hygienists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ie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urricula of the universities include the competencies for the students enough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tasks and the core competencies need to be reflected in the curricula. The clinical dental core competencies need to be agreed by dental hygienists, and it is necessary to be organized as the evaluation guide of the institute of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evaluation and utilized as the national examination.

임상간호사를 위한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Nursing Educational Program for Clinical Nurses)

  • 유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65-375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위한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대표적인 교수체제설계인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고, 실험 전 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 사후 효과 차이에 대한 분석은 paired t-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자기인식, 대인관계능력, 동료지지 및 간호직무만족은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로 확인되었다. 인간중심간호 교육프로그램을 이직이 높은 부서나 저 연차 임상간호사의 간호교육 중재로 활용할 것과 개인에서 조직으로 확대 적용하여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다학제 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대상자 간호를 수행하는 데 있어 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시도되기를 제안한다.

어린이집 보건교육과 건강관리 현황 분석 (Health Education and Health Care in Daycare Centers for Preschoolers)

  • 김희순;이정렬;이태화;함옥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9-123
    • /
    • 200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eeds of teachers in daycare centers for preschoolers in providing health education and health care services and to identify competencies and barriers to health education among the teachers. Method: A total of 410 teachers from 496 public daycare centers were recruited. Participating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02 using mailed questionnaires. Result: About 37% of the daycare centers provided health education more than 6 times during the past year and 92% provided annual health screenings. Traffic safety, personal hygiene, and sexuality education were most frequently provided. Regarding in-service education for daycare teachers, 62.7% had obtained health related education. Sexuality education, traffic accident, and injury prevention were the main topics for the in-service education. The teachers had relatively higher competencies and lower barriers to health education, while they also had proper knowledge related to health of children.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health professionals could plan and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teachers and children in daycare centers.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모델링 (University-level Flipped Classroom Learner Competency Modeling)

  • 김랑;송해덕
    • 교육공학연구
    • /
    • 제33권4호
    • /
    • pp.1001-1024
    • /
    • 2017
  • 최근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으로 플립드 러닝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환경으로서 플립드 러닝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강의식 수업에 익숙한 다수의 학습자들은 보다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는 플립드 러닝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러닝에서 성공적인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역량모델링을 통하여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우수한 학습자의 역량과 행동지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역량모델링은 1) 자료수집, 2) 역량도출 및 모형개발, 3) 역량모형 타당화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시내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플립드 러닝으로 운영된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수 학습자들은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된 대학 강좌에서 형성 평가와 팀 프로젝트 평가에서 상위 10%이내의 성적을 받았으며 학습과정에서 우수한 수행으로 교수자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이었다. 이들에 대한 면담 자료를 분석 후,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으로 '피드백 도움 요청', '성실한 학습관리', '지식 확장', '동료 상호작용', '학습지향성'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행동지표들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역량모형의 타당화를 위하여 플립드 러닝 수강생 13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플립드 러닝의 수업 전과 수업 중의 두 단계에 따라 보다 중요시되는 역량들을 확인함으로써 플립드 러닝의 수업단계에 따라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최종 역량모형을 제시하였다.

사이버보안 정규교육화를 위한 주요국 교육체계 비교분석 연구 (A Study Covering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Systems in Major Countries for Regular Cybersecurity Education)

  • 유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97-405
    • /
    • 2021
  • 최근 지능정보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해, 사이버보안 패러다임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지능정보사회의 상호연결성 등의 증가는 사이버위협으로 인한 피해 범위를 실제 세계까지 확대하였으며, 개개인에 대한 위험이 곧 공공 안전·국가 안보 등의 위기로 연결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세대인 청소년의 경우는 사이버 활동이 많고 보안 및 안전의식이 충분치 않아 사이버위협에 그대로 노출 될 가능성이 더욱 크다. 이에 사이버위협으로부터 개인 스스로를 지키고 사이버활동을 관리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 정규교육화에 대해 검토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연결사회 특성에 따른 보안 패러다임 변화와 사이버보안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고 국내외 사이버보안 교육 추진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이버보안 교육 방향 및 기본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사이버보안역량을 정의하고 사이버보안역량 함양에 관한 주요국 교육체계를 비교·분석하여 사이버보안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디지털시민으로서의 사이버역량 체계 모델인 C3-Matrix를 반영하여 사이버보안역량 체계를 사이버인식(cyber ethics awareness), 사이버행동(cyber ethics behavior), 사이버보안(cyber security), 사이버안전(cyber safety)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사이버보안역량 체계 기본구성틀에 기반하여 미국, 호주, 일본, 한국에서 수행되는 관련 교육을 비교분석하고 한국 교육과정에 도입되어야 하는 사이버보안역량 교과체계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