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ative study of textbooks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7초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 이양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00
  •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TIMSS 교육과정 분석틀에 의해 비교 분석하였다. 북한의 고등중학교에서는 '지구과학' 과목이 별도로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지리'에서 부분적으로 지도된다('천문학'은 1996년 고등중학교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설정된 과목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 자료를 입수하지 못함). 북한에서 지리는 고등중학교 $1{\sim}5$학년에서 주당 2시간씩 지도되고 있으며, 1학년 및 5학년용 지리 내용의 대부분이 지구과학과 관련되어 있다. 남한의 경우 지구 과학 영역의 목표는 '자연 현상의 탐구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기본적인 탐구 방법과 과학 지식을 습득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는 데 있으며, 북한 지리 교육의 목표는 '김일성 및 김정일 부자에게 충직한 주체형의 공산주의 혁명가 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한과 북한 모두 '지구의 모양과 '지구의 변화 과정'을 많이 지도하고 있는데 비해, 남한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우주 속에서의 지구'가 북한에서 매우 적은 것은 북한에서 '천문학'을 별도로 지도함을 시사한다. 전체적으로 북한의 지구과학 영역의 범위와 수준은 남한의 중학교 수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기상 분야 및 천문분야의 경우는 남한과 수준차가 심하다.

  • PDF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Singapore)

  • 서동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443-465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우리나라의 수학 교육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으며, 국제 비교를 통하여 이러한 지적이 적절한지 또는 다른 특성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로부터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두 나라의 수학 교육과정 문서와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교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의 수학 이수 계열은 다양한 편이며 다양한 트랙마다 다른 교과서를 이용하여 수학을 학습하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수준별 수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도입 시기가 싱가포르의 도입 시기보다 전반적으로 빠르지는 않은 편이나, 싱가포르의 내용 성취 기준이 우리나라보다 구체적인 편이다. 그래서 특정 내용 주제에 대하여 다루어야 할 사실 또는 제외해야 할 사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편이다. 셋째, 싱가포르의 수학 교과서에서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한 교육 방식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 경우 개념은 탐구 과정 없이 간단히 도입하고 이를 활용한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넷째, 싱가포르의 수학 교과서가 우리나라보다는 내적 연결성을 더 강조하는 편이다.

한국어 통합 교재에 나타난 발음 내용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Pronunciation Content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68-27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어 통합 교재를 대상으로 발음 교육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교재에 나오는 음운 체계, 음운 규칙, 발음 기술 및 표기, 그리고 발음 연습 등의 발음 항목들을 비교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 나온 발음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나타내보면, 음운 체계에서는 자음과 모음의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자모의 제시 순서에 대한 표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교수 가능성 및 학습 용이성은 물론이고 교재 및 학습 목적을 고려해서 표준안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운 체계의 제시방법에서 의사소통 관점과 한국어 억양의 기능을 고려했을 때 억양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음운 규칙에서도 음운 체계와 마찬가지로 제시 순서가 교재마다 다르게 나왔는데 제시 순서를 정해야 하며 어떤 음운 규칙을 교재에 제시할 것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음운 규칙을 설명할 때 용어 사용은 가능한 한 하지 않고 필수적이고 공통적인 내용을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음내용의 기타 사항에서는 발음을 위한 예를 단어로 제시하는 점과 다양한 연습문제가 없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문장이나 대화문으로 제시하고 발음 연습을 위해 다양한 연습과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개정의 시사점 도출을 위한 싱가포르와 인도 수학 교육과정의 비교${\cdot}$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Singapore and India to Search for the Implication for the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497-508
    • /
    • 2005
  •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iculum in other countries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flect our own curriculum. Since Korea is now under the curriculum revision,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curricula of Singapore and India to elicit some implications. These two countries were especially chosen because their curricula have not been actively investigated yet. Singapore mathematics curriculum starts the tracking based on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from the 4th grade, and provides different curricula for the three tracks. This differentiated curriculum provides rich implications to next Korean curriculum which aims to classify the contents based on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s. Indians, who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have unique mathematics curriculum, remote from so called 'canonical curriculum'. After the U.S. announced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in 1989 and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in 2000, many countries benchmarked these NCTM documents, and Korea was no exception. Since each country has their own school syste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ational mentality, it is not desirable to just adopt the curriculum of other countries. In this regard, Indians who have preserved their own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a model. In sum, when we revise the curriculum, it is requir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open-mindedness to accept the strengths of other curricula, and the conservative attitude to preserve our own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 PDF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oriented Mathematical Writing Strategies Effect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Propensity)

  • 김은지;전인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7-3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 쓰기, 문제해결 과정쓰기, 개념 설명쓰기 등 3가지 유형의 의사소통 중심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하고, 비교집단에서는 교과서 및 지도서에 준한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에 비교하여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수학적 성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 영역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s Inquiry Activities in Science Textbooks for Primary School in Korea and Singapore)

  • 정하나;전영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139-152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을 물리 영역 중심으로 비교하여 그 특징을 찾고, 교과서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를 위해 탐구 활동 수, 탐구 과정 요소, 탐구 목적, 탐구 과제의 개방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이봉우(2005)의 탐구 과정 요소 분석 틀과 Millar 등(1998)의 탐구활동 분석틀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탐구 활동 수가 싱가포르에 비해 1.5배 가량 많았으나 주당 과학 수업 시간은 같거나 싱가포르가 조금 더 많았다. 탐구 과정 요소를 비교해 본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기초 탐구 과정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고 싱가포르는 기초 탐구 과정과 통합 탐구 과정이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5~6학년의 경우 싱가포르는 통합 탐구 과정의 비율이 더 높았다. 탐구 활동 목적을 분석해 본 결과 우리나라는 내용 중심적인 활동이 많았고 싱가포르는 내용 학습과 과정 학습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용 학습 중 '변인이나 개념 사이의 관계를 학습하는 것'에서는 싱가포르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우리나라도 과정 학습 중 '의사소통 학습하기'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하지만 교과서의 의사소통 활동이 실제 의사소통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정리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조심스레 의문을 던져 본다. 탐구 활동 과제 개방성을 비교한 결과 '문제인식'은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모두 교사에 의해 이루어져 개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과정', '결과해석'의 개방성은 싱가포르에서 높았고 '사용할 실험장치',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에서는 우리나라의 개방성이 높았다. 우리나라는 재료나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은 자율성을 주지만 실험과정이나 결과 해석은 주로 교사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시사하는 점은 첫 째, 탐구활동수를 줄여 핵심적인 내용으로 적정화 하는 것이다. 둘째, 기초 탐구와 통합 탐구의 균형을 추구하되 고학년은 통합 탐구 과정 요소를 늘리는 것이다. 셋째, 탐구 활동의 목적을 내용 학습과 과정 학습의 균형을 이루되 내용 학습에선 단순한 사실 개념 전달보다는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마련하고 과정 학습에선 실제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탐구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험 과정'과 '결과 해석'의 개방성을 높여 요리책 식의 과학책에서 탈피하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 PDF

한.일 중학생의 식생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f Korea and Japan)

  • 김성교;한재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7-7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active use of information from the eating habits chapter of the textbook by middle school students of Korea and Japan. 9th grade students of 7 middle schools residing in Gyeongju and Hukuoka. Japan (592 Korean students. 546 Japan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such means as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chi$$^2$-test,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employ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physical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eight of Korean students tend to be taller than Japanese students. The weight of Korean students are on the average heavier than Japanese students. Research also proves that Japanese families have more family members. Korea has more full time housewives as well. Regarding their health. Korea has more people who consider themselves healthy than Japan does. 2. More students in Japan tend to eat breakfast and dinner everyday compared with Korea. Students eat snacks at night more in Korea than Japan. The average meal takes less than 20 minutes in Korea. It takes less than 30 minutes in Japan. Dinner is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meal by the students of Korea and Japan. Meat. noodles. bread and cake are highly enjoyed by the students of both nations. 3.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concerning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because they both study home economics. 4. The use of information from the textbook shows. most students eat green vegetable almost everyday but Korean students tested as eating more. Japanese students more often say they drink more than a cup of milk everyday The Japanese students have higher rates of using information from the textbooks. drink milk everyday. eat bean paste soup. eat a lot of meat and fish. 5. It turns out that students who have more nutritional knowledge have a low late of eating convenience food and student who utilize the chapter in the textbook in everyday life have low rates of eating convenience food.

  • PDF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식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Food Culture Education Textbook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 이정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15-425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textbook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food culture and languag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Methods: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textbooks and researches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dietary life related contents were extracted. The contents were organized by activity oriented approach which is acquired the culture.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depth interview with 6 married female immigra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alitative materials. Results: The text book comprised of 30 Korean food recipes with the target expressions and vocabularies. It also included Korean basic table setting, Korean table manner, main dishes and side dishes, basic cutting, seasoning and garnish, measure of the ingredients, symbolic food, regional food culture, choice of food ingredients, shopping, bargaining, taste expression, color expression, all sorts of spices, Korean traditional festival food, and seasonal customs and food. For intensifying communication, activity which is close to real life was added. Through cooking,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ose words and sentence patterns and that allows to evaluat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We observed that the developed textbook is suited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needs and cognitive level. The text book include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culture and their country's culture, which could provide the motive for accepting each other's cultures. The study showed how to develop a textbook that integra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food culture and how to apply the textbook in real life. Conclusions: Th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Korean food culture could lead to improvements communication ability. Useful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Korean food, recipes, and food culture could increase daily life satisfaction. Conducting both cultural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could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in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could help these females to adapt Korean society and manage family dietary life effectively.

쓰기를 활용한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with Writing)

  • 남유라;임문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9-108
    • /
    • 2004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힘’을 기르는 초등 수학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사고를 유발시키는 기회의 제공과 함께 사고 과정을 구조화시켜 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수학 학습에서 쓰기의 활용은 학생 자신의 생각을 끌어내고 정리하는 사고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수학적 사고 과정의 촉진을 위한 유용한 방법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는 6학년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해 수학 쓰기 유형 및 이를 적용한 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수학 쓰기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대상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실험, 조사한 결과, 수학 쓰기 활동을 한 실험반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과 학업 성취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학 쓰기 유형을 활용한 수학과 교수-학습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담고 있다.

  • PDF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4학년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ed on the 4th Grade -)

  • 이재춘;김선유;강홍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5
    • /
    • 2009
  • 2009년부터 1, 2학년 수학교과서를 시작으로 학년별 새 교과서 편찬이 연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9년 현재 시범학교에서 3, 4학년 실험본 수학교과서로 수업을 하고 있으며, 이 1년간의 실험 수업을 통해서 장 단점을 파악해 내년 3, 4학년의 새 수학교과서가 나을 예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초등학교 4학년 수학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통해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교과서 편찬에 유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비교 분석의 대상을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행한 4-가, 4-나 단계의 수학교과서 2권과 일본의 계림관(啓林館)에서 발행한 4-상(上), 4-하(下)의 산수교과서 2권으로 하여 교과서 단원명과 단원체제 및 영역별 지도내용을 비교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