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nion Dog Car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5초

개물림 사고에 대한 소유자의 법적 책임에 관한 소고 - 미국의 개물림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Review of the Legal Responsibility of Dog Owners regarding Dog Bite Accidents - Focused on a Comparison with American Dog Bite Legislation -)

  • 백경희;심영주
    • 법제연구
    • /
    • 제54호
    • /
    • pp.261-301
    • /
    • 2018
  •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점점 많아지는 경향이고, 특히 반려견이 사람을 물어 사상(死傷)을 입히는 인신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소위 '개물림(Dog-bite) 사고'라고 지칭되는 인신사고이다. 개물림 사고는 피해자에게 상당한 신체적 정서적 피해를 입히는 심각한 공중 보건의 문제이자 지역사회에도 측정하기 어려운 숨은 비용을 양산하게 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개물림 사고에 대하여 동물보호법, 민법, 형법을 통하여 규율하고 있다. 특히 2018. 3. 20. 동물보호법의 일부개정을 통하여 맹견의 견주 등에게 강화된 주의의무와 처벌에 관한 법제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한편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개물림 사고에 대하여 단일법에서 개 혹은 동물의 유형, 손해의 형태, 손해의 배상범위, 책임 인정의 범위 등에 관한 세부사항을 규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개물림 사고에 관한 다양한 법제를 지니고 있는 미국 일부주의 법제 현황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법제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개물림 사고에서 특히 견주의 책임에 대한 현행법에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및 그 보완을 위한 대책으로서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기종 센서 신호 모니터링을 적용한 스마트 반려견 리드줄 통합 모듈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Companion Dog Lead Line Integration Module using Heterogeneous Sensor Signal Monitoring)

  • 조준호;김봉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83-188
    • /
    • 2019
  •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되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문화적 태도가 친화적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반려견은 오래전부터 인간과 친숙하고 밀접하게 생활해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대속에서, 반려견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유기견 방지 및 생명 존중의 인식이 증가하면서 반려견 및 견주에 대한 동반 건강 유지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반려견의 산책용 자동 리드줄에 IoT 서비스 및 응용 기술이 연동시킨 스마트 리드줄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이기종 센서들을 연계하여 통합 모듈로 설계, 구현하고 반려견 리드줄에 연동시켜 스마트 반려견 리드줄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스마트 반려견 리드줄을 통해 반려견주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반려견의 위치를 파악하여 알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올바르고 친숙한 애견문화를 더욱 성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형견의 선천성 어깨관절 탈구에 관한 운동역학적 보행 분석 (Kinetic gait analysis in a small sized dog with congenital shoulder luxation)

  • 이신호;김충희;조재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5-179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mpensation strategy through kinetic gait analysis by comparing dog with congenital luxation of the shoulder joint and normal dog. Ground reaction forces were recorded for all limbs while normal poodle dog and poodle dog with shoulder joint luxation was allowed to walk on an instrumented platform. The dogs were evaluated for maximal vertical force (MVF), body load distribution (BLD), and symmetry index (SI). The MVF was increased in the contralateral forelimb of luxated shoulder joint. The SI was also increased in a dog with dislocated shoulder joints in the forelimbs. For BLD, the maximum load distribution increased centrally, but the total load distribution decreased in the ipsilateral forelimb paw. In contrast, total load distribution was increased in the contralateral forelimb paw. During forelimb lameness, changes in weight-bearing load showed compensatory load redistribution. These biomechanical changes may lead to changes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in a dog with luxated shoulder.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 간 토이 견종 인지도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oy Breeds between Young and Older Generations)

  • 신연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53-8860
    • /
    • 2015
  • 본 연구는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를 기준으로 애견 관련 지식 이해, 애견 선호 차이, 선호 견종 선택 이유, 토이 견종별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두 집단 간 토이 견종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에 거주 중인 청년 세대 137명과 중장년 세대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chi}^2$-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애완동물과 반려동물의 인지와 토이 견종의 인지에서 집단 간 통계적 유의성(p<0.01)을 보여 주었고, 애견 선호와 선호 견종 선택 이유에서도 유의한(p<0.01)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토이 견종별 인지도와 선호도에서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p<0.05)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토이 견종의 선호도가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세대 간 토이 견종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대중화 되어야 하며, 추후 선호하는 토이 견종의 양육 시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토이 견종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서 토이 견종의 인지도와 선호도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수행되었다.

강아지 고리뼈의 치아돌기 골절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odontoid process fracture of the axis in a dog)

  • 박형준;이신호;김충희;원청길;조재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7-92
    • /
    • 2023
  • A 7-year-old dog weighing 3.9 kg visited the hospital with symptoms of inability to stand and quadriparesis. There were seizure symptoms 2 months before admission to the hospital, and the symptoms of stiffness and rigidity appeared. Radiographs showed normal vertebrae in cervical vertebral colum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were performed immediately to diagnose vertebral lameness. As a result of the CT,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fracture of the odontoid process of the axis, and the exact location of the damage was identified. The odontoid process was fractured and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2nd cervical vertebra (axis), and fragment of the process was observed inside the vertebral arch of the first cervical vertebra (atlas), and the body of the axis was lifted to the dorsal side. The MRI examination reflected the CT findings and confirmed severe spinal cord compression due to the fracture of the odontoid process. The patient was applied by neck brace and medical management including Mycophenolate mofetil administration was performed. The patient was able to move legs and tail after 2 weeks, and was able to voluntarily defecate, urinate and stand up after 4 weeks of administration.

반려동물 돌봄과 인터넷 소비 (Pet Care and Internet Consumption)

  • 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388-400
    • /
    • 2022
  •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돌보는 반려인 11인의 질적 인터뷰를 통해 반려동물 돌봄과 관련한 인터넷 소비 현상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전혀 다루지 않았던 길고양이 돌보미를 인터뷰 대상인, 반려동물 소비자로 포함했다. 인터넷 소비는 개와 고양이의 종 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개의 반려인들은 고양이에게는 필요하지 않은, 목욕제품, 미용기구, 옷, 하네스, 유모차 등을 많이 구입했다. 그동안 펫 푸어(pet-poor) 현상은 자신에게 소비할 돈을 절약하여 반려동물을 위해 소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젊은 소비자들에게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펫 푸어 현상은 중장년, 노년층에서도 나타났으며 이들은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아도 반려견을 위해 값비싼 옷, 하네스 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장년 여성의 길고양이 돌봄이도 펫 푸어로의 전락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려동물용품의 인터넷 소비는 젠더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없었다. 대체로 가족을 위해 생필품 구매를 주로 해 오던 여성이 반려동물용품도 온라인으로 구매했고, 부인이 인터넷 사용에 서툰 경우에는 남편이 대신 온라인으로 반려동물용품을 구매했다.

Red Ginseng Marc and Steamed Extraction Powder Enhance Prolifera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Modulation in Canine PBMCs Stimulated by IL-2

  • Ju-Hyun An;Qiang Li;Su-Min Park;Kyoung-Bo Kim;Yeong-Deuk Yi;Yong-Bum Song;Woo-Jin Song;Hwa-Young Yo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
    • /
    • 2023
  • The growing market for companion animals, combined with their increasing lifespan, has generated an increased interest in companion animal immunity enhancers. Ginsenoside, a saponin component of ginseng and an essential ingredient of red ginseng marc (produced during red ginseng produc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immunity. In this experiment, a powder mixture of red ginseng marc and steamed red ginseng extract powder (RGME) was orally administered to dogs for eight weeks. Subsequentl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tested every four weeks. In addition, can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cPBMCs) were stimulated with or without interleukin-2 (IL-2) to evaluate their proliferation and cytokine secretion abilities. Proliferation assay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on of RGME effectively enhanced numbers of cPBMCs under IL-2 stimulation. Furthermore, in the RGME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interferon gamma released from cPBMCs under IL-2 stimulation was observed. In conclusion, RGME might be an effective health supplement for improving immunity in dogs.

개에서 전기제모술을 이용한 첩모중생의 치료 1례 (A case of distichiasis treatment using electroepilation in a dog)

  • 강명곤;한동현;한세명;정은겸;김경민;이신호;신윤주;강주빈;이동빈;고필옥;조재현;원청길;김충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25-330
    • /
    • 2022
  • Distichiasis is one of the diseases commonly encountered in companion animals, and these abnormal eyelashes cause corneal ulcers, continuous eye irritation, eye pain, glare, epiphora, foreign body sensation and can cause corneal opacity and vision loss in severe cases. In this study, an eyelash epilation needle for animal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 real case, and the results were observed. In a case of corneal ulcer caused by distichiasis of a 2-year-old Shih Tzu, a high-frequency surgical instrument for animals was converted into an electric epilation needle to attempt a procedure to destroy the eyelash hair follicles on the upper eyelid. A epilation needle was developed to have a diameter of 0.1 mm and a length of 4 mm at the end of the handle of DOCTANZ 400,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animals only. In the procedure, 2~3 mm of an epilation needle was inserted into the hair follicle, and 1 watt of electric power was applied to the hair follicle for about 5 sec. to carry out electrolysis until white bubbles were generated around the meibomian glands thereby destroying the hair follicle. As a result, no eyelashes grew any longer in the treated area indicating that the treatment was successful. It is hoped that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so that it will be widely used as a treatment method for distichiasis in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frequently seen hereafter.

노령견의 생리적 변화에 따른 필요 영양소 및 질병에 관한 연구 (The Physiologic change associated with aging, essential nutrients and their diseases in senior or geriatric dogs)

  • 정형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456-1471
    • /
    • 2018
  • 이 논문은 노령견이 필요한 영양을 다루며, 노령견이 필요로 하는 영양평가를 검토하고, 노령화와 관련하여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영양의 문제점들을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이연구의 목표는 노령견의 노령화와 관련된 생리적인 변화, 필수영양소 및 그와 관련된 질병을 탐구하는데 있다. 2002년의 조사에 의하면, 미국에서 기르는 반려견의 30%-40%는 나이가 7세이상이라고 한다. 유렵의 경우 1983년과 1995년을 비교했을 때 나이가 7세이상의 반려견의 수는 약 50% 늘었다고 한다. 2012에 미국에서 실시한 이메일 조사에 의하면, 50,347명의 응답자 중에서 33.2%가 6살-10살의 노령견을 기르고 있으며, 11살이상의 노령견을 기르는 응답자는 14.7%라고 한다. 가정에서 기르는 반려견의 평균수명은 건강관리, 노령화 및 영양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견종, 유전, 영양, 환경 등의 요소에 따라서 노령화의 정도가 다르다. 10살이 넘은 많은 반려견들이 활력이 넘치고 건강하다고 할지라도, 대부분의 반려견들은 5세-6세가 되면, 노령화와 관련된 징조를 보이기 시작한다. 여러가지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의학의 발달과 영양의 발달로 인하여, 반려견의 평균수명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노령견을 위한 영양의 목표'는 노령견이 건강하고 활력 넘치게 하며, 노령과 관련된 건강상의 문제가 늦게 시작되고, 노령화를 지연시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기대수명을 늘리는데 있다. 노령화는 생리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우리가 육안으로 명백하게 느낄 수 있는 변화들은 털의 색깔이 하얗게 변하는 것, 몸의 기력이 떨어는 것, 시각이나 청각 등의 감각기관에 문제가 오는 것 등이 있으며, 표면적으로 느끼기 어려운 변화들은 소화관, 면역시스템, 신장 등 장기와 관련된 생리적인 변화들이다. 반려견이 필요로 하는 영양은 나이에 따라서 다르다. 또한 노령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영양과 관련된 많은 질병들이 있으며, 이러한 질병에는 영양이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