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orbidity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31초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Acquired Viridans Streptococcal Pneumonia

  • Choi, Sun Ha;Cha, Seung-Ick;Choi, Keum-Ju;Lim, Jae-Kwang;Seo, Hyewon;Yoo, Seung-Soo;Lee, Jaehee;Lee, Shin-Yup;Kim, Chang-Ho;Park, Jae-Y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3호
    • /
    • pp.196-202
    • /
    • 2015
  • Background: Viridans streptococci (VS) are a large group of streptococcal bacteria that are causative agents of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tract infection. However, data regarding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feature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with or without parapneumonic effusion caused by VS. Methods: Of 455 consecutive CAP patients with or without parapneumonic effusion, VS were isolated from the blood or pleural fluid in 27 (VS group, 5.9%) patients. Streptococcus pneumoniae was identified as a single etiologic agent in 70 (control group) patients. We compared various clinical parameters between the V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In univariate analysis, the VS group was characterized by more frequent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or empyema and bed-ridden status, lower incidences of productive cough, elevated procalcitonin (>0.5 ng/mL), lower age-adjusted Charlson comorbidity index score, and more frequent ground glass opacity (GGO) or consolidation on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or empyema, productive cough, bed-ridden status, and GGO or consolidation on CT scans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aused by VS. Conclusion: CAP caused by VS commonly presents as 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or empyema. It is characterized by less frequent productive cough, more frequent bed-ridden status, and less common CT pulmonary parenchymal lesions. However, its treatment outcome and clinical course are similar to those of pneumococcal pneumonia.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제 처방양상 - 외래 처방전을 중심으로 - (Prescribing Patterns of Antihypertensive Drugs by Out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2007)

  • 성예나;장선미;임도희;신숙연;송현종;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9
    • /
    • 2009
  • Hyperten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and it causes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While antihypertensive drug use increased, it took 15%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drug expenditu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 of antihypertensive drug prescrip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and compare it with recommendations of Korea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Among the antihypertensive drugs, calcium channel blocker(64.4%) was most commonly prescribed class, and diuretics(44.6%),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33.3%),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11.7%) was followed. Approximately 81% of antihypertensives prescription were without cardiovascular or cerebrovascular disease, and among the comorbid conditions, diabetes(10.7%) was most common. calcium channel blocker(62.3%) was mostly prescribed class for hypertension with angina pectoris, angiotensin receptor blocker(45.3%) with myocardial infarction, diuretics(70.2%) and calcium channel blocker(49.5%)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For Hypertension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calcium channel blocker(68.0%)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43.3%) were prescribed mainly. When it comes to diabetes, calcium channel blocker(57.2%) was still mostly prescribed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45.9%) followed. But in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angiotensin receptor blocker(65.7, 66.1%) was mostly prescribed for the patients with diabetes. For Hypertension with chronic renal disease, angiotensin receptor blocker(59.5%), calcium channel blocker(56.5%), diuretics(54.6%) were mainly used. Average number of classes per prescribing was $1.89{\pm}0.89$ class, average days per prescribing was $33{\pm}19$ day. Among the hypertension without comorbidity, 40.5% of prescription was monotherapy and 58.8% of polytherapy included diuretics. Among the outpatient prescriptions, calcium channel blocker was the most commonly used class, and the prescription pattern in clinic did not closely followed recommendations of Hypertension Treatment Guidelines.

  • PDF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삼대립 세로토닌 수송체 유전자 다형성과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iallelic Serotonin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 and Stressful Life Event on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 장현정;이상익;김시경;신철진;손정우;주가원;박재영;지경환;이상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2호
    • /
    • pp.106-113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iallelic serotonin transporter gene and stressful life events to determine their effect on depression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Ninety-five hospitalized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73 male, 22 femal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irty-two (33.7%) of the tota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ysthymic disorder by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 were evaluated using the stressful life events scale,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depression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lcoholism with depression (n = 32) and alcoholism without depression (n = 63) were genotyped for the triallelic serotonin transporter gene ($L_A$ : higher expressing allele, $L_G$/S : lower expressing allele).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lele frequency between the depression group and the non-depression group (${\chi}^2$ = 0.345, p = 0.619). $L_G$/S alleles had more comorbid depression in the higher score of stressful life events scale [Mental-Haenszel (MH)-${\chi}^2$ = 4.477, p = 0.034].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orbidity according to the scores from the stressful life event scale in the $L_A$ alleles (MH-${\chi}^2$ = 0.741, p = 0.399). In the results, alcohol-dependent individuals with $L_G$/S alleles had more comorbid depression than those with $L_A$ alleles when they had experienced severe stressful life events (MH-odds ratio = 2.699, p = 0.028).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riallelic serotonin transporter gene and depression in the alcohol dependent patients. But alcohol dependent individuals with the lower expressing alleles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gene were more susceptible to depression than those with the higher expressing alleles in response to stressful life events.

주요우울장애를 동반한 공황장애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with Comorbid Major Depressive Disorder)

  • 이선우;이강수;이상혁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3호
    • /
    • pp.45-52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emperaments, and quality of life between panic disorder (PD) patients with and without major depressive disorder (PD+MDD and PD-MDD patients, respectively). Methods We compared 411 PD-MDD and 219 PD+MDD patients. All patients who were drug-free for at least 1 month were assessed at initial outpatient visits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used for assessment: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Neuroticism (NEO-N) ;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Harm Avoidance (TCI-HA) ;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Short (IUS); the Anxiety Sensitivity Index-Revised (ASI-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for 7 item (GAD-7) ; the Albany Panic and Phobia Questionnaire (APPQ) ; the 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 ; the Early Trauma Inventory Self Report-Short Form (ETISR-SF) ;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SSI)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 the Sheehan Disability Scale (SDS) ; and the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Results Compared to the PD-MDD patients, the PD+MDD patients were younger and more likely to be unmarried. They showed higher rates of unemployment, lower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younger age of onset, more previous suicide attempts, a greater incidence of agoraphobia, and more previous treatments. The PD+MD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NEO-N, the TCI-HA, the STAI, the IUS, the ASI-R, the BDI, the BAI, the PSWQ, the GAD-7, the APPQ, the PDSS, the ETISR-SF, and the SSI. In addition, the PD+MD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quality of life than did the PD-MDD patients. In contrast with previous studies,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gender, duration until treatment, and psychiatric comorbiditie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D+MDD patients have more early trauma experiences, higher levels of anxiety-related temperaments, more severe panic and depressive symptoms, and lower quality of life than the PD-MDD patients.

  • PDF

백내장수술환자 결과 변수들의 시계열적 관찰과 진료결과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Time Series Observations of Outcome Variable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in the Patient Outcomes of Cataract Surgery)

  • 김한중;박은철;최윤정;강형곤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75-181
    • /
    • 2001
  • Objectives : To compare the multiple outcomes of patients with cataract surgery at perioperative time,3-4 months and 12 months after surgery and to assess patient outcomes associated with visual improvement(visual acuity of operated eye, visual function-14(VF-14), symptom score). Methods : For this assessment,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389 patients who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for either one eye or both eyes. The surgery was peformed by 20 ophthalmologists who were practicing at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Patients were interviewed and clinical data were obtained. Doctors were question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ms. Medical records were examined in order to measure variables related to the surgical process such as surgical methods and ocular comorbidity. The survey was 'conducted at 4 stages' : preoperative time(389 cases), perioperative time(344 cases, 88.4%), postoperative 3-4 months (343 cases, 88.2%), and postoperative 12 months (281 cases, 72.2%). After excluding cases with incomplete data, 198 cas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tient outcomes was measured for any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outcomes(visual acuity of operated eye, visual function, symptom score) at postoperative 3-4 months. Results : The visual acuity(operated, weighted average), symptom score, VF-14 score, satisfaction with vi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hown to be improved at the perioperative time, postoperative 3-4 months and 12 mouths. An improvement in the Snellen visual acuity score was observed in 190 patients(96.0%), whereas improvements of the VF-14 score and cataract symptom sure were observed in 151 patients(76.3%) and 179 patients(90.4%), respectively. All three outcome measure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137 patients(09.2%). The improvement of the three functional outcomes at 3-4 months after receiving surgery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visual function and a higher level of cataract symptom score at perioperative time, as well as a greater experience level of the surgeon.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 estimates of the proportion of patients benefiting from cataract surgery varied with the outcome measure of benefit. Preoperative VF-14 score, a measure of functional impairment related to vision, and symptom score may be better measures of the benefit derived from cataract surgery than the change in visual acuity.

  • PDF

일 농촌지역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Some Rural Community in Korea)

  • 김민경;김현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3호
    • /
    • pp.180-190
    • /
    • 2018
  • 본 연구는 농촌지역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인식, 동반질환, 의존성, 수면, 우울 등 대상자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본 상관연구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러 대안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 연구의 수행에 동의한 충청북도 ${\bigcirc}{\bigcirc}$군 보건소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경증 치매노인으로, 대상자로부터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농촌지역 경증 치매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존성, 수면, 우울이 삶의 질과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삶의 질의 변인으로써 5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예측변수는 우울이었다. 위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지원정책을 분류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대상자의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때, 치매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적 환경과 접근에 있어서 보다 더 용이한 환경이 되도록 보건소와 병원, 노인전문요양시설간의 지역사회내의 연계체계 구축을 통해 통합적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지역 간 보건의료자원의 불균형이 심한 농촌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건소를 기점으로 보건지소나 보건진료소와 같은 공공보건의료체계를 포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강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는 일개 농촌지역에 국한되어 선정 기준에 맞는 대상자들만 연구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경증 치매노인에게 일반화시키는데 제한적이므로 연구지역을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경증치매 노인을 위해 개발되는 간결한 검증된 도구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경증 치매노인이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우울을 동반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정도를 고려한 인지향상 프로그램 외에 우울의 정도에 따른 개별화된 예방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신경정신학에 융복합되는 신경생물학적 접근법의 한계점: 발달성 협응장애와 두 시각 이론에 관한 종설 (Limitations of neurobiological approach convergent to neuropsychiatry: DCD and two visual systems theory)

  • 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25-234
    • /
    • 2015
  • 신경생물학 접근법은 정신학에서의 심신 이원론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진단과 치료법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신경정신장애의 복합성 때문에 신경생물학의 신경해부학 부분을 너무 강조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달성 협응장애 (DCD)는 일반적으로 움직임과 관련된 장애이지만 종종 지각과도 긴밀한 관계가 있다. 뇌의 기능적 분류에 입각한 두 시각 이론은 대뇌의 복측은 물체의 재인을, 배측은 움직임, 위치와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물체의 지각은 시각적으로 유도되는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시각 이론을 설명하는 기본적인 연구들을 검토하고, 이 이론에 대한 비판을 제시한다. 특히, 발달성 협응장애와 같은 운동뿐만 아니라 지각과 관련이 있는 신경정신장애에 구조적인 신경생물학 접근법을 적용하는 것의 한계점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현대의 신경정신분야에 융복합적으로 사용되는 신경생물학 접근법은 유용하지만, 신경구조적 분류에 너무 집중하면 한계점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심윤수;이진화;류연주;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3호
    • /
    • pp.186-191
    • /
    • 2009
  • 연구배경: 골다공증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중요한 동반질환 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COPD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과 위험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정 상태인 COPD 환자 51명과 이들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 41명에서 요추골과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임상기록과 검사결과를 검토하여, COPD 환자에서 골다공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COPD 환자에서, T점수가 -2.5 이하인,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47%였고, 대조군에서 32%였다. 특히 대퇴골목의 T점수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COPD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26% vs. 5%; p=0.006). COPD 환자의 요추와(p=0.025) 대퇴골목의 평균 T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COPD 환자에서 $FEV_1$의 정상예측치에 대한 비율과(p=0.019; odds ratio [OR], 0.955; 95% confidence interval [CI], 0.919-0.993) 연령이 골다공증 발생과 관련된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p=0.024; OR, 1.144; 95% CI, 1.018-1.287). 결 론: COPD 환자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대조군보다 높다. 특히 대퇴골의 T점수가 요추보다 COPD 환자와 대조군의 골밀도의 차이를 더 분명하게 보여 주었다. COPD 환자에서 $FEV_1$이 낮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심부전 환자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적용 1례 (A Case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a Patient with Central Sleep Apnea and Heart Failure)

  • 안지영;김신범;강현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118-123
    • /
    • 2017
  • 일반적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중추성 수면 무호흡보다 발생 비율이 높지만 심부전 환자에서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이 동반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흔하며, 실제로 심부전 환자에서 25~40%까지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고 한다. 저자들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여 심부전으로 진단된 환자가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하고 난 이후 추적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에 비해 주관적인 호흡곤란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의료진의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환자가 평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심하다는 소견을 바탕으로 조기에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했다. 환자는 체인-스토크스 호흡을 동반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으로 진단 되어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을 적용 후 호흡곤란 및 주간 졸림증이 호전 되었다. 심부전 환자에서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동반된 경우, 피로감, 주간 졸림증 등과 같은 수면 무호흡의 일반적인 증상이 심부전 자체로 인한 증상으로 오인되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진단이 늦어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환자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증례의 경우와 같이 심부전 환자의 치료 시 수면 무호흡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는 경우 중추성 수면 무호흡의 동반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추성 수면 무호흡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증상 호전 및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러프 하한 근사를 갖는 로컬 커버링 기반 규칙 획득 기법을 이용한 섬망 환자의 분류 방법 (A Classification Method of Delirium Patients Using Local Covering-Based Rule Acquisition Approach with Rough Lower Approximation)

  • 손창식;강원석;이종하;문경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37-144
    • /
    • 2020
  • 섬망은 의식 장애, 주의력 장애 및 언어력 장애와 같은 일시적인 인지 장애가 있는 환자, 특히 노인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정신 장애 중 하나이다. 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고통을 주고, 통증과 같은 증상의 관리를 방해할 수 있으며 노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기 요양 시설에서 섬망 환자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적 지식을 생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러프 하한 근사 영역을 갖는 로컬 커버링 규칙 기법을 활용하여 섬망과 관련된 임상적 분류 지식을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 기간이 12일 이상 지속될 수 있는 6가지 유용한 임상적 증거를 발견하였고, 체질량 지수, 동반질환 지수, 입원경로, 영양결핍, 감염, 수면박탈, 욕창, 기저귀 사용과 같은 8가지 인자들이 섬망 결과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분류 성능은 통계적 5-겹 교차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3가지 벤치마킹 모델, 즉 ANN, RBF 커널 함수를 활용한 SVM, 랜덤 포레스트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3가지 모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한 SVM 모델과 비교했을 때 정확도와 AUC 기준에서 평균 0.6%와 2.7%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