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of memory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7초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평가론의 재조명 (Revisiting Archical Appraisal Theories for their Application to Community Archives)

  • 설문원;김영
    • 기록학연구
    • /
    • 제48호
    • /
    • pp.210-252
    • /
    • 2016
  • 공동체 아카이브는 공동체가 생산하거나 수집한 기록이며, 축적된 기록은 공동체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원이 된다. 이러한 기록 중 어떠한 기록을 남길지는 평가를 통해 결정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그 사회가 어떤 기억을 남길지를 정하는 정치적인 행위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동일한 역사적 경험을 하였다고 해도 관점이나 입장에 따라 이에 대한 기억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공동체는 자신들의 기록이 자신들의 관점에서 남겨지기를 원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기록평가론이 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에 있어서 갖는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 분석하고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평가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공동체가 자신들의 기록의 수집하고 보존하는 목적은 무엇인지, 공동체가 아카이브가 공동체는 물론 사회적으로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제시하기 위하여 정체성, 기억투쟁, 가치의 개별성, 기억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동체와 사회에서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 설정은 기록평가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기록평가론의 흐름을 패러다임별로 살펴보았다. 기존의 기록평가론이 대부분 정부기록, 공식조직의 기록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법이 비공식조직 및 개인이 주로 생산하는 공동체 아카이브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동체 아카이브 평가론이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평가론의 흐름상 어떤 지점에 위치하게 될지를 생각해본다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중 사회적 접근법을 응용하되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새로운 평가모형을 평가의 목적과 대상, 원칙과 기준, 주체와 협력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평가의 목적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두 개의 국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다양성을 중심으로 원칙을 제시하였으며, 평가 주체와 관련하여 공동체와 주류 문화기관의 협력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는 '로컬리티 기록화'를 통해 축적된 다양한 소규모의 '공동체에 관한 아카이브'들을 '공동체 아카이브' 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기록관리 전문가집단과 공동체 구성원들이 어떻게 협력해야 할지를 모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지역 치매의심 노인군에서 갑상선관련 호르몬, 인지기능, 우울증, 주관적 기억저하의 연관성 (Thyroid Hormones, Cognitive Impairment, Depression and Subjective Memory Complaint in Community-Dwelling Elders with Questionable Dementia in Korea)

  • 이성남;진하영;문석우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4호
    • /
    • pp.175-181
    • /
    • 2014
  • Objectives It was the aim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the thyroid-related hormones with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community-dwelling elders with questionable dementia.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99 community residents with 'questionable dementia' aged 60 or over in whom serum thyroid-related hormones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and thyroxine] had been assayed. Cognitive impairment was defin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Depression was diagno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subjective memory complaint (SMC) was checked using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Age, gender, education, and the presence of apolipoprotein E {\varepsilon}4 were included as covariat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verbal fluency test (VFT) score and serum TSH levels (p = 0.01).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MCQ total score and word list memory test (WLMT)(p = 0.002) or word list recall test (WLRT) score (p = 0.013). Conclusions Lower serum TSH levels were associated with semantic memory (VFT), and we found that SMC was associated with episodic memory (WLMT and WLRT) in this sample.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당뇨병 노인과 일반 노인의 인지기능 비교 (Diabetes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김용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7-388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iabetes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Methods: Eighty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diabetes and 506 subjects without diabetes were studied with cognitive function test.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by Full-scale IQ, Basic IQ, Executive IQ, Attention Function Index, Working Memory Index, Language Function Index, Visuospatial Function Index, Memory Function Index, and MMSE-K1. Results: In model controlling for education, the diabet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e non-diabetic group in in Full-scale IQ (p=.012), Basic IQ (p=.034), Executive IQ (p=.014), Attention Function Index (p=.002), Working Memory Index (p=.037), and Memory Function Index (p=.043). The diabetic and non-diabetic groups that were matched for gender, age, and education showed similar differences in 7 out of 9 cognitive measures. The impairments of Full-scale IQ and Memory Function Index in the diabetic group were, respectively, 2.7 and 2.8 times greater than that in the diabetic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diabetes should be considered to a factor of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adults.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기억과 성공적 노화 (Psychosocial Stress, Memor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Community-Residing Elderly)

  • 이혜경;이계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2호
    • /
    • pp.89-97
    • /
    • 2021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의 차이는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성공적 노화는 기억과 정적관계가 있고,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부적관계가 있었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기억 간에 부적 관계가 있었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스트레스 개입 프로그램의 경험적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일 광역시 당뇨병 환자의 주관적 기억력 장애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a Metropolitan City)

  • 박모니카;류소연;최성우;박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1호
    • /
    • pp.1-12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in a metropolitan c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1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ged 50 and over from five districts of Gwangju who participated in the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We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conditions and subjective experience of memory impairment. To find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th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Of all subjects, 31.3% was reported subjective experience of memory impairment. The odds ratios (ORs;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ccording to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9 (0.9-4.3) in patients in 60s and 2.2 (1.1-4.7) in patients in beyond 70s compared to those in 50s. The OR (95% CI) of ex-smoker compared to the non-smoker was 0.3 (0.8-0.9). The OR (95% CI) of depressive symptom compared to no depressive symptoms was 4.9 (95% CI: 1.8-13.7). Conclusion: In this study,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in patients with diabets mellitus was associated with age, smoking, and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should be detected early through periodic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for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nd a program for healthy cognitive function should be included in diabetes management program.

지역사회 노인의 구강건강(GOHAI)과 주관적 기억감퇴(SMCQ)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and Subjective Memory Compaints (SMCQ)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 송애희;정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89-897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a connection between oral health and memory loss in elderly individuals with no abnormalities in their daily liv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memory loss.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association between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and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for the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the community.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ral health assess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revealed that with increase in age, income (p=0.05) and oral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living together in the family (p=0.05). Moreover, the lower the income (p=0.05), the higher was the memory los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an for the elderly living together with their family (p=0.05). Conclusions: The study identified a link between oral health of the elderly and subjective memory loss and observed that oral health, cohabitation, and income level were related to subjective memory loss. Therefore, oral health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dictor of memory loss for the elderly.

기억의 기록학적 의미와 실천 (Meaning of Memory in Archival Activism)

  • 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67호
    • /
    • pp.267-318
    • /
    • 2021
  • 이 연구는 기록학에서의 기억 접근법을 기록전문직의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국내외 기록학계의 기억 연구들을 토대로 실천 영역별로 나누고 이를 모형화하였다. 기억 연구들이 제시하는 실천 영역은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첫째, 기억기관(사회적 기억의 형성자 역할), 둘째, 기억투쟁(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기록활동), 셋째, 회복적 기억(사회적 참사나 인권침해 피해자들의 트라우마 기억 치유를 기록활동), 넷째, 기억과정(공동체 정체성을 추구하는 기록활동)이다. 또한 각 범주 별로 의미와 쟁점을 분석하였고, 아울러 실천에 필요한 역량으로서 기록전문성의 개입을 통한 실천과 정치사회적 실천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브레인 트레이닝을 활용한 방문형 인지활동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 광명시를 중심으로 (Effects of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on Cogni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 Focusing on Gwangmyeong City)

  • 김태훈;정남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9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on cogni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residing in community living in Gwangmyeong city. Methods : Over a 14-month period (October 2022 to December 2023), four brain training instructors visited the homes of older adults and conducted the intervention using a brain training kit. The participants included 32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were living in Gwangmyeong city. Th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a nurse and a social worker at the Gwangmyeong dementia relief center. These assessments included the following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SGDS-K), a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Korean (CERAD-K).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20-30 points, B: 10-19 points, C: 1-9 points) based on the CIST scor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and the statistical level was at a=.05. Results :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showed that the SMCQ score of group A improved significantly (p<.05), the CIST score of group B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05). However, the SGDS-K score of group C improved, but did not demonstr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080). Conclusion : The visiting cognitive activities using brain training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on, depression, and subjective memory disorders, depending on the 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participa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effects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in various aspects with more elderly people.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 하위요소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중심으로 (Declines in the Components of Episodic Memory by Normal Aging Focusing on Object, Spatial Location, Temporal Order Memory)

  • 허서윤;박진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22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 저하 양상을 일화기억의 하위요소인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대부터 80대 이상까지의 건강한 젊은 성인과 노인 7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일화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 인지과제를 수행하였다. 인지과제는 사물, 공간위치, 시간순서 기억을 각각 평가하기 위한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사진 10장을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사진 10장을 본 이후에 사진 속의 사물의 종류, 사물의 위치, 사진이 제시된 순서를 물어보는 과정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각 하위검사의 정답률을 연령대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사물과 공간위치 기억은 정상노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시간순서 기억은 정상노화 과정 속에서 큰 폭으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시간순서 기억은 40대 이상부터 20~30대에 비해 유의한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80대 이후에는 사물 기억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상 노화 과정에 따라 시간순서 기억이 가장 먼저 감소되고 사물 기억이 가장 마지막에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정상노화 과정에 따른 일화기억의 하위요소별 저하 양상을 제시하였다. 사물 기억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신경심리학적 검사들을 통해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던 공간위치와 시간순서 기억의 저하 양상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정상노화에 따른 일화기억의 저하에서 벗어난 일화기억의 손상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정상노인에게 시행되는 예방적인 인지 중재에 공간위치와 시간순서 기억의 훈련이 포함되어야 할 근거를 제시한다.

Development of Giant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GMRAM) For Space and Commercial Applications

  • Zhu, Theodore
    • 한국자기학회:학술대회 개요집
    • /
    • 한국자기학회 2000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Magnetics The 2000 Fall Conference
    • /
    • pp.61-81
    • /
    • 2000
  • Developed two GMR memory architectures, 1R/0T for high density applications, 2R/5T for high speed applications, Embedded GMR technology shall offer rad hard community, Dynamic Reprogrammability, Rapid System Reconfigurability, Code modification in flight, Embedded GMR technology is promising for commercial appl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