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1,907건 처리시간 0.037초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7-7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을 적용한 후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이다. 2021년 10월 28일부터 11월 18일까지 4주 동안 A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4학년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t=2.87, p=.007), 의사소통능력(t=2.96, p=.005), 교육만족도(t=4.75, p=<.001)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대한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중재효과 (The Moderated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 김혜원;조성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2호
    • /
    • pp.127-142
    • /
    • 2011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1,09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F test, the Scheff$\'{e}$ test for a post hoc 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by SPSS program(18.0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styl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uicidal ideation by school level,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y gender. Second, the more depressed they were, the more they had suicidal ideation by school level and gender. Also, the more they communicated openly with their parents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school life, the less depressed they were and the lower degree of suicidal ideation they had.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bot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성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Types of Communication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Sexual Satisfaction)

  • 김영기;한성열;한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2호
    • /
    • pp.199-218
    • /
    • 2011
  • 부부의 성만족도는 결혼생활 및 삶의 만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또한 부부간의 성관계는 부부 상호간의 신체적, 정서적 상호작용으로서 평소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간의 성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을 부부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 강원 일부지역(원주)에 거주하는 부부 688명(344쌍)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성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었다. 언어적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 개방형 의사소통을 할수록 높은 수준의 감정을 노출하는 고정서형 의사소통을 할수록 부부의 성만족도가 높았다. 전반적으로, 부인이 개방적이고 높은 수준의 감정을 노출하는 의사소통을 할수록 부부의 성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남편이 의사소통에 적극적일 수록 부부의 성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박물관의 전시소통매체가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ubje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hibition Communication Media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 김형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1-333
    • /
    • 2015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media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by setting up 5 sorts of exhibition media as text, docent, virtual museum, website and Smartphone App based on practic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a visitor and an exhibition provid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se 5 sorts of media suggested by this study were found to be able to have an influence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preferentially affecting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were 'Docent' and 'Website' factors.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it's necessary to more preferentially consider 'Docent' and 'Website' factors than the other factors in order to increase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Third, it'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bigger a visitor's satisfaction, the higher a visitor's intention to re-visit through the verification that a visitor's satisfaction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visitor's re-visi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is study attempted at an integrated approach by analyzing the relative size of the influence through across-the-board suggestion of influential factors on a museum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보육시설 조직커뮤니케이션과 갈등, 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nflict, Commitment in Child Care Center)

  • 정다운;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11-23
    • /
    • 2010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ffects organizational conflict and commitment. This study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238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all parts of Korea except Jeju-do. This research used the following tools: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cale, the organizational conflict scal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beta}$ = -.529, p < .001) on organizational conflict. Secondly, organizational 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beta}$ = -.398, p < .001) with organizational competence. Third, organizational conflic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s of Digital Consumption Trust and Corporate Trust on IT Device and Service Satisfaction

  • Park, Seungbae;Hong, J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17-222
    • /
    • 2021
  • 최근 온라인, 모바일, SNS플랫폼 등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상거래에 있어 사회간접자본으로서 온라인 거래의 신뢰와 기업 차원에서 기업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 정책지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와 기업의 책임 신뢰가 정보통신 제품과 서비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와 기업의 책임 신뢰가 정보통신기기 만족도와 정보통신 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보다 기업의 책임 신뢰가 정보통신기기 만족도와 정보통신 서비스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HR 부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교육훈련 기회 제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HR 부서의 의사소통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Expertise about HR Department on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The Moderating Role of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 이정우;채희선;박지성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25-139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how employees' perception of HR department expertise affect their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Moreover, this study explores that the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moderate the main effects between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predict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of HR department expertise and their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Furthermore, the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will strengthen this positive relationship.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study used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datasets, especially individual-level 2017 data. The final number of samples is 1,947 for the analyses.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d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with SPSS program. Finding -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the perceptions of HR department expertis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of provided educational and training. In addition, the HR departm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HR department expertise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sugges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iled by clarifying the critical factors to increase employees' satisfaction and transferabil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 of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actice Stress on Practice Satisfaction in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 김미자;오현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3-72
    • /
    • 2023
  • 본 연구는 정신간호학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실습스트레스가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 대학 4학년 간호학생 237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실습만족도(r=.2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실습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연계 교육(r=-.13, p<.05)과 음의 상관관계, 의료진과의 갈등(r=.18, p<.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실습스트레스는 실습만족도(r=-.28,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간호학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역할 모델(β=-.43, p<.001), 의사소통능력(β=.23, p<.001), 전공만족도(β=.21, p<.01), 연계 교육(β=.20, p<.05)이었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27.1%이었다. 간호학생의 실습만족도 향상을 위해 실습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모델, 연계교육과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정보통신기술이 전시컨벤션 효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mpact on the exhibition convention effect and satisfaction)

  • 손권룡;전인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61-73
    • /
    • 2012
  •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이 전시컨벤션 효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통신기술업체 312 업체를 대상으로 정보통신기술이 전시컨벤션 효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함으로써 정보통신기술인 컨벤션 e-Portal시스템, 전시컨벤션 상품, 컨벤션산업 경쟁력, 컨벤션 인프라 구축, 컨벤션 연계관광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컨벤션 효과만족에 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전시컨벤션산업에 정보통신기술이 컨벤션효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통신기술인 상품기술, 관광프로그램기술 인프라구축기술, e-portal시스템, 산업경쟁력기술은 전시컨벤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인들은 전시컨벤션효과인 기본자료확보와 환경적요인파악, 상품개발토대마련. 상품유형확정, 경제적파급효과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시컨벤션은 정보통신기술을 높이고 운영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MBTI personality patterns(Focused on 3th military Cadet))

  • 황보식;장해숙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3_1호
    • /
    • pp.11-26
    • /
    • 2016
  •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이다. MBTI 성격유형 분포를 보면 남생도의 경우 ESTJ(16.7%)로 가장 많았고, 여생도의 경우는 ENFJ(16.7%)와 ENFP(16.7%)가 빈도수가 높았다. 성격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간의 차이가 있었고, 성격유형과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LSD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성격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간에는 E(외향형)과 I(내향형)간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고,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결과에서도 E(외향형)과 I(내향형)간 대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매우 정적인 상관(r=.604(p<.01)을 보였다. 결국 본 연구의 의의는 사관생도의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른 훈육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