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MBTI personality patterns(Focused on 3th military Cadet)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황보식 (영남대학교/정치행정대학 군사학과) ;
  • 장해숙 (육군3사관학교/생도대 리더십센터)
  • Received : 2016.04.11
  • Accepted : 2016.05.27
  • Published : 2016.05.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patterns.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MBTI personality patterns among male cadets, number of ESTJ(16.7%) is the highest, For female cadets, the highest in number is ENFJ(16.7%). There is discrepancy in communication competence depends on personality patterns, in order to verify such disparity, LSD was applied as a post-verification. As a result, there was discrepancy in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E(extravert) and I(introvert), also in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E(extravert) and I(introver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static relation(r=.604(p<.01).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significant rel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cadet's personality patterns statistically.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indicate directions that needs to be taken for discipline of cadets.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이다. MBTI 성격유형 분포를 보면 남생도의 경우 ESTJ(16.7%)로 가장 많았고, 여생도의 경우는 ENFJ(16.7%)와 ENFP(16.7%)가 빈도수가 높았다. 성격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간의 차이가 있었고, 성격유형과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LSD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성격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간에는 E(외향형)과 I(내향형)간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고,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결과에서도 E(외향형)과 I(내향형)간 대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매우 정적인 상관(r=.604(p<.01)을 보였다. 결국 본 연구의 의의는 사관생도의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른 훈육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희경, "사관생도 정체성 향상을 위한 생도정체성 도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Wiemann, J. M., & Kelly, C. W. "Pragmatic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Wilder-Mott and John H. Weakland (Eds.), Rigor and Imagination: Essays fron the Legacy of Gregory Bateson, New York:Praeger, PP. 283-297, 1981.
  3. 이건협.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갈등관리방식의 관계에 관한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7.
  4. Myers, L. B., & McCaulley, M. H.. "Manu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p. 137-149, 1985.
  5. 지용근.김옥희.김희수.김병숙. '인간관계론'. 박영사, 2004.
  6. 문선모(1980). 인간관계 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학 논문집, 19(2).
  7. 김기정.관오정, "중학생 교우관계의 유형, 형성요인 및 학교생활 적응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980.
  8. 여인주. "호텔종사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조직지원을 조절효과로. 경기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Robin, R. B., et. 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n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77th annual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GA. 1991.
  10. 장해순. "갈등관리전략에 대한 상호인식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1. Wiemann, J. "Explication and test of a mod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 PP. 195-213, 1997.
  12. Cegala, D. J. "Interaction involvement: A cognitive dimens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Education 30, PP. 109-121, 1981. https://doi.org/10.1080/03634528109378460
  13. Rubin, R. B." communication competence". In G. M. Philips & J. T. Wood(Eds.), Speech communication: Essay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P. 94-129. Carbondale: Soy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0.
  14. Wood, J. T. "Everyday encounters: An introduc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lmont, CA: Wardsworth, pp. 241-263, 1996.
  15. Duran, R. L, "Communicative adaptability", A measure of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Quarterly, 31, PP. 320-326, 1983. https://doi.org/10.1080/01463378309369521
  16. 최민아, 신우열, 박민아, 김주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우리를 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 회복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을 통해본 커뮤니케이션능력의 역할. 한국언론학보, 53(5), PP. 199-220, 2009.
  17. 국지수.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여 동기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에 관한연구". 상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8. 임윤선,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9. 엄윤경.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일반가정과 특수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전주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0. 김세연).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갈등해결전략과 매체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21. Carlson Learning Co. "Personal Profile System Facilitator's Kit I, II, III. Minneapolis", Sept, 1998.
  22. 김정택, 심혜숙, 제석봉 공역. MBTI 개발과 활용.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995.
  23. 이형득. 인간관계훈련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7.
  24. 은혁기. "청소년들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기술 및 대인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 학령별.성별 차이와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 연구, 9, pp. 136-15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