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Anxiety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대학생을 위한 문화간호역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nd its Effects)

  • 김선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0-593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transcultural self-efficac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ate anxiet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n=22) and a control group (n=27). Outcome variables were measured by transcultural self-efficac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ate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educational course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1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course.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test, MANCOVA, and ANC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ore (F=19.76, p<.001, partial ${\eta}^2=.34$, observed power .99) and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ore (F=17.56, p<.001, partial ${\eta}^2=.32$, observed power .98)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tate anxiety score (F=5.30, p=.027, partial ${\eta}^2=.12$, observed power .61)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is educational program was effective on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is program be used for other nursing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evaluate its effects after a longer period.

아동병동 환아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과 간호사와의 파트너십, 불안이 대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styles, nurse-mother partnerships, and mothers' anxiety on coping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 김용희;최아름;장인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0-179
    • /
    • 2023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nurses' communication styles, nurse-mother partnerships, and mothers' anxiety levels to the coping of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fact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12 to October 29, 2018.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200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in the pediatric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Results: The coping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urses'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 (r=.26, p<.001), affective communication style (r=.28, p<.001), nurse-mother partnership (r=.50, p<.001), authoritative communication style (r=-.28, p<.001), and mothers' anxiety (r=-.23, p=.001).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R2=.32) indicat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s' coping included nurse-mother partnership (𝛽=.47, p<.001), another caregiver (yes) (𝛽=.17, p=.006), and mothers' subjective health status (very healthy) (𝛽=.15, p=.047). Conclusion: Considering that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partnerships between mothers and nurses found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coping skills, it appear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for improving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ability to form partnerships, beginning from undergraduate education.

위험인식태도와 불안이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RPA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Effects on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o Particulate Matter by Risk Perception Attitude and Anxiety : Focus on Adoption of RPA Model)

  • 고두희;송해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517-526
    • /
    • 2020
  •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인식태도와 불안이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또한, 위험인식태도모델(RPA)의 적용대상과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 불안 변인을 추가하였다. 57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관계분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 삼원변량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위험과 효능감이 예방행동의도와 정보추구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도 예방행동의도와 정보추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RPA 모델의4 태도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각 집단별로 예방행동의도와 정보추구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불안요인이 일부 태도집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미세먼지 예방캠페인에서 태도집단에 맞는 메시지의 계획과 실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 사회심리학 변인 등의 영향을 고려한다면, 미세먼지 관련 건강행동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MRI 검사 시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이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Accompanied with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of the Patients during the MRI Examination)

  • 윤용학;윤희정;이성국;김경희;권기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93-102
    • /
    • 2016
  • 본 연구는 MRI 검사 시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이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4년 2월 1일부터 2014년 3월 31일이며,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C병원에서 MRI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군이 30명, 대조군이 30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MRI 검사 도중 음악요법을 동반은 의사소통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제공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산술하고, 비교검증을 위해 t-test와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간의 불안점수는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p=.001), 활력징후 중에서는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심박수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1). 신체적 불편감은 발한, 안면변화, 자세변화, 성음변화 등 4가지 항목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정서적 불편감은 어지러움을 제외한 공포감(p=.001)과 긴장감(p=.001)에서 실험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은 MIR검사 시 환자의 불안 감소 및 활력징후 유지, 불편감 감소에 유용한 대체요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정보보안 기술 및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이 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개인의 정보 영향 민감성의 역할 (The Influence of IS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Uncertainty on IS Voice Behavior: The Role of Susceptibility to Informational Influence of Employee)

  • 황인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5-175
    • /
    • 2023
  • 조직 내부의 정보 노출 위협에 대한 관리가 조직 전체의 정보보안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조직들은 내부자에 적용되는 정보보안 정책을 엄격하게 구축하고, 보안 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정보보안 사고는 한 명의 고의적인 정보 노출에 의해서도 조직에 피해를 주므로, 심리적 측면에서 내부자의 정보보안 준수 행동 강화를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에 대한 불확실한 조직환경이 어떻게 개인의 정보보안 관련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정보보안 정책 구축 및 활용하는 조직의 내부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440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정보보안 기술 및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이 정보보안 예상 불안을 통해 정보보안 제언 행동을 감소시켰으며, 개인의 정보 영향 민감성이 정보보안 기술,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예상 불안에 의해 변화되는 제언행동을 조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실무적으로 불확실한 정보보안 환경의 보완 필요성과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on Korean Hospice Volunteers: Motivation, Death Anxiety, and Communication with the Dying

  • Woo, Hee Young;Yeun, Young 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2호
    • /
    • pp.58-64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완화 돌봄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돌봄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서울 소재 S 종합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71명을 A 군(실험군, 34명) 또는 B 군(대조군, 37명)에 배정하였다. A 군에게는 2주 동안 주 3회, 총 6회기, 1회 3시간의 16개 내용으로 구성된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A군과 B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나타내었으며, 두 군 간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은 Chi-squire test와 t-test로 검정하였다.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t-test로 검정하였다.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t=2.341, P=0.022), 죽음 불안(t=-2.166, P=0.034)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t=2.808, P=0.006)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Content for ICU Caregivers on Anxiety, Satisfaction and Safety Perception

  • Park, Jung-Ha;Lee, Yun-B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233-24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360-degree video 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guidance to family member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hen to identify anxiety, safe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as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October 1, 2020 to August 30, 202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eople who applied 360 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For data analysis, SPSS WIN 24.0 program was used, and real numbe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inimum value, maximum value,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he subjects' anxiety befor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score of 6.21±2.30 and the anxiety after intervention was an average score of 3.95±2.46,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4.13, p<.001).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subjects before th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of 4.08±0.39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after the intervention was an average of 4.54±0.4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5.00, p=.001).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ance image of the subjects was 4.58±0.51 and the lowest was 4.16±0.96. In this study, when 360-degree hospitalization guide video was applied, there was a difference in anxiety and safe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as hig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various programs for guardian education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future.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따른 관상동맥질환 관련 서면정보의 제공이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대한 자기효능감, 질병 지식, 불안,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ritten Information for Coronary Artery Disease Depending on Patients' 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Related Self-efficacy, Knowledge of Disease, Anxie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 황경남;원혜정;장인순;이지연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233-24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providing written information for coronary artery disease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related self-efficacy, knowledge of disease, anxie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patients' health literac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or coronary intervention, and depending on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30 patients were high group and 10 patients were low group. Each group was evaluated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related self-efficacy, knowledge of disease, anxiet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providing written information. Results: By providing written information in the group with high health liter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havior compliance related self-efficacy, knowledge of dise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variabl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havior compliance related self-efficacy, knowledge of disease, and anxiety by providing written information in the group with low health literacy.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between high and low group of health literacy after providing written informa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clinical nursing field with considering health literacy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n addition to providing written inform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other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such as video and personalized counseling that may be helpful for coronary patients with low health literacy and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아동의 정서 표현성과 사교성,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bility, an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 on Their Prosocial Behavior)

  • 송하나;최경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1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bility, an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 on their prosoci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65 preschool children aged between 5 and 6, and their mothers. Each child-mother dyad was observed for 30 minutes in a lab setting, which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hild's socioemotional competence and the mother's socialization behavior. Videotaped data were analyzed by two coders for aspects of sharing behavior, the expression of happiness, sadness, anger, anxiety, and sociability for children, and mothers' communication strategi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anger and anxiety expression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ir prosocial behavior. Mothers' punitive communication pattern negatively affecte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However, when compared to the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ts' accountability were not significant. The influence of negative emotions, and its' adverse role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re discussed.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불안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tate-Trait Anxiety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 주원;박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80-590
    • /
    • 2017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253명으로 모집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학력,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 그리고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이 불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애착 중의 하위변인 신뢰감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응과 개인-정서적응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한 중국 유학생의 불안정서를 감소하기 위하여 안정적 부모애착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