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products

검색결과 1,773건 처리시간 0.029초

농산물 중 Bifenazate의 분석법 개선 및 모니터링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and Monitoring for Bifenazate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 박은희;고명진;조명식;김영선;이진하;최동미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9
    • /
    • 2010
  • 농산물 중 bifenazate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한 분석법을 개선하였고, LC/MS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개선된 분석법에 대한 직선성과 재현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 bifenazate 0.05~2.5 mg/kg 범위에서 상관계수는 1.0이었고, 정량한계(LOQ)는 0.01 mg/kg이었다. 회수율은 현미(곡류), 강낭콩(콩류), 오렌지(과실류), 들깻잎(채소류), 표고버섯(버섯류)에 대해 0.1 mg/kg 수준에서 82.7~104.1%였고, 0.5 mg/kg에서는 73.1~104.3%였다. 또한 회수율에 대한 상대표준편차(n=3)는 0.2~9.7%였다. 전국 22개 지역에서 수거한 농산물 16품목(쌀, 조, 메밀, 강낭콩, 땅콩, 참깨, 오렌지, 자몽, 키위, 시금치, 들깻잎, 부추, 마늘쫑, 마늘, 생강, 표고버섯) 304건을 대상으로 bifenazate의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모든 농산물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래티스를 가지는 철선 트러스데크의 구조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Steel Wire Truss Deck with Continuous Lattice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이성호;박형철;오보환;조순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37-44
    • /
    • 2009
  • 철선 트러스데크는 기존의 재래식 슬래브 거푸집이나 일반 데크플레이트 공법을 대체하여 철골조는 물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트러스 데크는 래티스 철선과 하부 철선의 비연속적인 절점간격에 의한 트러스의 비렌딜거동에 의해 완전한 트러스형상에 비해 처짐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래티스 철선과 상하부 철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비렌딜거동이 없는 순수 트러스형태를 구현함으로써 처짐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데크를 고안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고자, 해석 및 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처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중심으로 래티스 철선의 길이방향 연결형태, 간격을 해석과 실험의 주요 변수로 설정하였다. 해석과 실험은 실제 시공 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이 아연도 철판을 통해 철선에 작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아연도 철판에 직접 등분포 하중을 가력하였다. 구조해석 및 실험을 통한 분석결과 철선 트러스데크의 길이방향 형태, 즉 래티스 철선의 길이방향 연결 형태가 구조적 거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인자로서 작용했으며, 래티스 철선을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비렌딜거동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래티스 철선의 연결간격을 증가 시킬 경우에도, 상, 하부 철선에 큰 응력증가 없이 우수한 처짐 성능을 발현 할 수 있었다.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에 의한 육류제품(肉類製品)의 저장(貯藏)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햄의 저장(貯藏)- (Preservation of Meat Products by Irradiation -I. Storage of Ham-)

  • 권중호;변명우;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4-369
    • /
    • 1983
  •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가 햄 제품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료에 3.5 및 8kGy의 감마선을 조사(照射)시켜 $30^{\circ}C$에서 8 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微生物)의 생육(生育),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변화 및 관능실험(官能實驗)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非) 조사구(照射區)의 초기(初期) 생균수(生園數)가 g당 $5.4{\times}10^{3}$ 이던 것이 2주간 저장후에는 $10^{6}$이었으며, 조사구(照射區)에서는 $3{\sim}5$주간 저장후에 비(非) 조사구(照射區)와 거의 같은 정도로 미생물이 증식(增殖)하였고, 대장균군(大腸菌群)은 조사구(照射區)에서는 음성(陰性)으로 나타 났다. 2. 신선도(新鮮度)는 $3{\sim}5\;kGy$ 조사구(照射區)가 우수하였으며, 성분(成分)의 변화도 비(非) 조사구(照射區)와 조사구간(照射區間)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3. 관능검사(官能檢査)에 있어서는 8kGy 조사구(照射區)에서 퇴색(褪色) 및 이취(異臭)가 인정(認定)되었고, texture에서는 5kGy 조사구(照射區)가 우수하였을 뿐 아니라 저장기간도 비(非) 조사구(照射區)에 비하여 2배 이상 연장시킬 수 있었다.

  • PDF

2009년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Research on Pesticides Residue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2009)

  • 이주영;최원조;이희정;신용운;도정아;김우성;최동미;채갑용;강찬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2-202
    • /
    • 2010
  • 국내 유통 농산물 16품목 (쌀, 조, 메밀, 강낭콩, 땅콩, 참깨, 오렌지, 자몽, 키위, 시금치, 들깻잎, 부추, 마늘쫑, 마늘, 생강,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다성분 분석농약172종을 분석하여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 510건 중 대부분의 농산물인 459건 (90.0%)의 농산물은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51건 (10.0%)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엇다. 들깻잎, 부추 등 엽채류의 검출빈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키위에서 phenthoate이 잔류허용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검출된 농약 24종에 대한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위해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통 농산물에 대한 농약의 검출량은 대부분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유통 농산물 조사 연구사업으로 농약 잔류허용기준 준수 여부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축적될 것으로 사료된다.

탈지미강의 아임계수 가수분해 생성물을 배지로 이용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 (Cultiv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Defatted Rice Bran Hydrolyzed in Near-critical Water as a Culture Medium)

  • 이홍식;이선옥;류제빈;김화용;이윤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211-215
    • /
    • 2015
  • 아임계수를 이용하여 탈지미강의 가수분해를 실시하고, 결과로 얻어진 가수분해물이 배지로써 이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을 시도해보았다. 아임계수 가수분해 반응은 회분식 반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생성물에 포함된 전당, 이당류, 단당류의 함량, 총유기탄소 (TOC), 총질소 (TN), pH를 측정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성장 속도는 탁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당 수율, TOC, TN은 $240^{\circ}C$까지 온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240^{\circ}C$ 이상에서의 수율 감소는 유기산 생성에 기인한 것이고 이는 pH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당의 수율은 $200^{\circ}C$에서 최대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탈지미강 가수분해물에서 배양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성장 속도는 일부 조건에서 상용 배지와 근접한 수준을 보였고, 성장 속도는 포도당의 함량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시판 중인 구강청결티슈의 세포 독성 관찰 (The Cytotoxic Effect of Oral Wet Wipes on Gingival Cells)

  • 정임희;박지현;이민경;황영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6-84
    • /
    • 2018
  • 구강위생을 위한 간편성과 편리성 때문에 영유아에서 건강취약자 및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구강청결티슈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본 성분인 정제수 외에도 구강위생에 도움이 될 목적으로 다양한 기능 성분이 첨가된 구강청결티슈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함유 성분에 대한 제공정보가 부족하고 함유량 기준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제품에 대한 연구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도가 높은 시판 구강청결티슈 5종에 대한 구강세포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사용 시 유의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은 구강미생물 S. mutans 및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냈지만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냈다. 항균작용이 제한적인 궁중비책, 마이비, 아이수 제품 성분은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 대한 독성도 낮았다.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에 의한 구강세포 독성은 G2/M phase에서 세포주기 진행 억제와 세포자멸 유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한 반복적이고 빈번한 사용은 구강세포 독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연산오계 내장 펩타이드 생산 최적화 및 특성분석 (Optimization of enzymatic hydrolysis of viscera waste proteins of black body fowl(Yeonsan Ogae) to produce peptides using a commercial protease and it's characters analysis)

  • 최소영;김아연;송유림;지중구;유선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253-262
    • /
    • 2016
  • 연산오계는 오래전부터 건강기능 증진 및 치료 효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건강 기능식품 소재로 기능성 펩타이드 효능이 알려짐에 따라, 연산오계 내장 부산물로 부터 올리고 펩타이드 최적 생산 공정 및 생성물 특성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적 효소가수 분해 공정 표면반응 분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최적 공정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서 온도 (40, 50, $60^{\circ}C$), pH (pH 6.0, 7.0, 8.0), 효소 (1, 2, 3%) 범위에서 수행을 하였다. 생성물에 대한 가수분해도, 아미노산, 분자량 분포를 분석하였다. 효소 가수분해 최적 온도는 $58^{\circ}C$, pH 7.5, 효소의 농도는 3% 이었다. 최적 조건에서 2 시간 효소 가수분해를 한 결과 75-80% 이었다. 구성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86.15 mg/100 g 이었고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155.26 mg/100 g. 분자량를 Maldi-TOF 으로 분석을 한 결과 90% 이상이 300-1,000 Da 분포를 보여주었다.

비만세포에서 시판 간장 유래 다당류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lysaccharide Derived from Commercial Kanjang on Mast Cells)

  • 고유진;이경란;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69-577
    • /
    • 2013
  • 간장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써 최근 항암 효과, 항균작용, 항산화능, 항혈전 효과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의 간장은 콩과 밀을 주요 원료로 사용한다. 콩의 세포벽으로부터 유래되는 다당류는 효소적 가수분해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발효가 끝난 후에도 간장에 잔존하게 되며 이것을 간장 유래 다당류(Kanjang polysaccharides, KPS)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산분해법과 양조법으로 제조된 시판 간장인 A~T의 20종의 투석물로부터 다당류를 제조하고,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cytokine의 방출과 mRNA의 발현에 대한 KPS의 효과를 실험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RBL-2H3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방출을 현저히 억제시켰다. 자극된 HMC-1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염증성 cytokine인 IL-6, IL-8, TNF-${\alpha}$의 방출 및 mRN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특히, 양조간장으로부터 유래된 KPS는 산분해 간장보다 비만세포에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KPS는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전해 이산화망간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Electrolytic Manganese Dioxide)

  • 권이묵;김재원;지응업;신종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6-313
    • /
    • 1973
  • 국산 rhodochrosite 로부터 제조한 황산산성 $MnSO_4$ 수용액을 전해산화하여 건전지용 ${\gamma}-MnO_2$를 제조하는데에 관한 공업적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하루에 4kg의 $MnO_2$를 제조할 수 있는 micro pilot plant를 설치하여 실험하였다. 광석의 침출 및 전해산화 조건을 규명하고 제품의 물성을 화학분석, DTA, X-선회절, 전자현미경사진 및 전지방전 실험 등으로 검토하였다. 적합한 전해조건은 다음과 같다. 전해액의 온도 : $90^{\circ}C$ 이상, 전류밀도 : 0.7${\sim}A/dm^2$, 양극재료 : 흑연 또는 납, 전해액의 농도 :$MnSO_4 50{\sim}150g/l $$H_2SO_4/MnSO_4 = 0.15{\sim}0.25$. 최적전해조건하에서 전류효율은 99%이었고 생성된 $MnO_2$는 거의 순수한${\gamma}-MnO_2$이었으며, 방전특성은 우수하였다.

  • PDF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인삼(人蔘) 제품(製品) 중의 지방산(脂肪酸) 분석(分析) (Gas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Fatty Acids in Ginseng Products)

  • 윤태헌;김을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2-187
    • /
    • 1979
  • 시판되고 있는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홍삼(紅蔘) 엑기스와 백삼(白蔘) 엑기스를 구입하여 ethyl ether로 추출한 다음 지방질(脂肪質)의 총(總)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GLC로 분석 확인하였고 각 peak면적은 integrator로 계산하였다. 1.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II의 조(粗) 지방질(脂肪質) 함량은 각각 0.86%와 0.82%로 비슷하였고 백삼(白蔘) I의 조(粗) 지방질(脂肪質)은 0.54%였다. 엑기스에서는 홍삼(紅蔘) 엑기스와 백삼(白蔘) 엑기스 I에서 다같이 약 1.1%정도였는데 다만 백삼(白蔘)엑기스 II에서만 0.40%로서 함량이 가장 적었다. 2.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에서 $C_{10:0}$을 제외한 $C_{6:0}$에서 $C_{24:1}$까지 분리된 총 22개의 peak중 16개의 우수 지방산(脂肪酸)을 확인하였으며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주지방산(主脂肪酸)은 linoleic acid로서 홍삼(紅蔘)이 63.33%, 백삼(白蔘) I 45.55%, 백삼(白蔘) II 41.06%였다. 그 다음으로 많은 지방산(脂肪酸)은 palmitic acid로서 홍삼(紅蔘)은 11.30%였고 백삼(白蔘) I과 II는 이보다 다소 많았다. 3. 홍삼(紅蔘) 엑기스에서는 linoleic acid가 15.93% palmitic acid가 15.71%로서 이 두 지방산(脂肪酸)이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이루고 있었고 백삼(白蔘) 엑기스 I에서도 linoleic acid가 21.94%, palmitic acid가 19.15%로서 역시 이 두 지방산(脂肪酸)이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백삼(白蔘)엑기스 II에서는 16.13%인 palmitic acid가 주(主) 지방산(脂肪酸)을 구성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