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binational effec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체외에서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영향 (Effects of Relaxin and Insulin on Porcine Granulosa-lutein Cell Steroidogenesis In Vitro)

  • 이명섭;;이창규;강성근;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7
    • /
    • 2005
  • Relaxin과 insulin이 돼지 난포 과립막세포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하여 체외에서 황체화된 과립막세포에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 과립막세포를 혈청 존재하에 배양접시에 부착 후 48시간 동안 체외배양하고 무혈청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의 용량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 (10, 100, 1,000 ng/ml)를 각각 무혈청 배지에 첨가하였다. 병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0 ng/ml relaxin과 100 ng/ml insulin을 단독 혹은 병합하여 처리하였는데 황체호르몬 (100 ng/ml)을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모두를 조사, 분석하였다. 최종 배양이 끝난 배양액을 수집하여 RIA법으로 proses-terone과 $17{\beta}-estradiol$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Relaxin과 insulin은 용량이 증가될수록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병합실험에서는 relaxin과 insulin 단독 또는 병합시 황체호르몬 존재 하에서 progesterone의 생산을 증가시켰으나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relaxin과 insulin은 돼지 황체화 과립막세포의 progesterone 분비를 증가시키지만 $17{\beta}-estradiol$의 생산에는 효과가 없었으며 병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없었다. Progesterone 생산에 미치는 relaxin과 insulin의 효과는 황체호르몬의 존재에 의해 증대되었다.

쥐의 골격근에서 리튬, 인슐린 및 근수축 복합처치가 당수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ational Treatment with Lithium, Insulin and Contraction on Glucose Transport Activity of Rat Skeletal Muscle)

  • 전병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40-346
    • /
    • 2009
  • 리튬은 기저수준의 당수송 활성도에 있어 단지 최소한의 효과만 있고, 반면 인슐린에 대한 민감성을 매우 증가시켜 인슐린에 의해 증가된 당수송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리튬은 인슐린의 반응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보이고 있다. 한편, 당수송 과정을 증가시키는 리튬의 효과는 인슐린 자극 당수송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최대하 수준의 근수축에 의한 당수송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전실험을 통해 리튬이 최대수준의 근수축에서도 당수송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당수송의 반응성의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대수준의 당유입을 자극하는 근수축에 대해 리튬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리튬이 근수측에 의한 당수송의 반응성도 강화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쥐의 활차근을 분리하여, 당수송을 최대수준으로 활성화시키는 근수축 자극 그리고/혹은 인슐린 자극과 병행하여 리튬을 처치하였다. 그 결과 리튬은 근수축 그리고/혹은 인슐린-자극 당유입을 강화시켜 당수송의 반응성을 향상시키지만, 리튬의 단독 처치는 당수송에 대한 향상에 효과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튬은 근수축 그리고 혹은 인슐린과의 복합처치를 통해 당수송의 반응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이나 당뇨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Fenobam promo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PEP-1-FK506BP following oxidative stress by increasing its transduction efficiency

  • Ahn, Eun Hee;Kim, Dae Won;Shin, Min Jea;Jo, Hyo Sang;Eom, Seon Ae;Kim, Duk-Soo;Park, Eun Young;Park, Jong Hoon;Cho, Sung-Woo;Park, Jinseu;Eum, Won Sik;Son, Ora;Hwang, Hyun Sook;Choi, Soo Young
    • BMB Reports
    • /
    • 제46권11호
    • /
    • pp.561-566
    • /
    • 2013
  • We examined the ways in which fenobam could promote not only the transduction of PEP-1-FK506BP into cells and tissues but also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PEP-1-FK506BP against ischemic damage. Fenobam strongly enhanced the protective effect of PEP-1-FK506BP against $H_2O_2$-induced toxicity and DNA fragmentation in C6 cells. In addition, combinational treatment of fenobam with PEP-1-FK506BP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ation of Akt and MAPK induced by $H_2O_2$, compared to treatment with PEP-1-FK506BP alone. Interestingly, our results showed that fenoba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ransduction of PEP-1-FK506BP into both C6 cells and the hippocampus of gerbil brains. Subsequently, a transient ischemic gerbil model study demonstrated that fenobam pretreatment led to the increased neuroprotection of PEP-1-FK506BP in the CA1 region of the hippocampu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nobam can be a useful agent to enhance the transduction of therapeutic PEP-1-fusion proteins into cells and tissues, thereby promoting their neuroprotective effects.

Effects of Sucrose and Trehalose on the Freezability of Markhoz Goat Spermatozoa

  • Khalili, B.;Farshad, Abbas;Zamiri, M.J.;Rashidi, A.;Fazeli,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14-1619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increased osmolality of basic tris extender supplemented with trehalose and sucrose on post-thawing quality (motility, progressive motility, viability, the rate of acrosome abnormality, total abnormality and membrane integrity) of Markhoz goat spermatozoa. Fresh semen samples were evaluated for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nly semen samples with motility more than 70% and sperm concentration higher than $3{\times}10^{9}$ sperm/ml were used for cryopreservation. In Exp. 1, trehalose (50, 75 or 100 mM) and sucrose (40, 60 or 80 mM) were added to a basic tris diluent.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the goal of Exp. 2 was to investigate the combinational effects of the highest and lowest concentrations ($T_{100}+S_{80}$ or $T_{50}+S_{40}$) of trehalose and sucrose. As the control, semen was diluted and frozen in the tris diluent without trehalose or sucrose. The results in Exp. 1 showed that all evaluated spermatozoa characteristic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freezing and thawing (p<0.05) and at the same time the increase of trehalose and sucrose concentrations in basic extenders was seen, with the best results obtained for extenders containing 70 and 100 mM trehalose and 80 mM sucrose.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ose of control diluents,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were significantly (p<0.05) better. In Exp. 2,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T_{100}+S_{80}$ and $T_{50}+S_{40}$ extenders, but the results of $T_{50}+S_{40}$were slightly better than obtained with $T_{100}+S_{80}$ diluent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sperm characteristics in the isotonic control extender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examined extend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goat sperm can tolerate hypertonic trehalose and sucrose solutions better than isotonic control diluents in the freezing period. In particular, these positive effects have been shown for acrosome integrity, which is very important for the fertilization capacity of sperm. The data indicated that addition of trehalose plus sucrose to the freezing extender can be recommended for cryopreservation of goat spermatozoa, but more data is needed on pregnancy rate, acrosome reaction and IVF to ascertain the real effect.

Evaluation of Salmonella Growth at Low Concentrations of NaNO2 and NaCl in Processed Meat Products Using Probabilistic Model

  • Gwak, E.;Lee, H.;Lee, S.;Oh, M-H.;Park, B-Y.;Ha, J.;Lee, J.;Kim, S.;Yoon,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1013-1021
    • /
    • 2016
  • This study developed probabilistic models to predict Salmonella growth in processed meat products formul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NaCl and $NaNO_2$. A five-strain mixture of Salmonella was inoculated in nutrient broth supplemented with NaCl (0%, 0.25%, 0.5%, 0.75%, 0.5%, 1.0%, 1.25%, and 1.75%) and $NaNO_2$ (0, 15, 30, 45, 60, 75, 90, 105, and 120 ppm). The inoculated samples were then incubated under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at $4^{\circ}C$, $7^{\circ}C$, $10^{\circ}C$, $12^{\circ}C$, and $15^{\circ}C$ for up to 60 days. Growth (assigned the value of 1) or no growth (assigned the value of 0) for each combination was evaluated by turbidity. These growth response data were analyzed with a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NaCl and $NaNO_2$ on Salmonella growth. The results from the developed model were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obtained from the frankfurte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Results from the developed model showed that a single application of $NaNO_2$ at low concentrations did not inhibit Salmonella growth, whereas NaCl significantly (p<0.05) inhibited Salmonella growth at $10^{\circ}C$, $12^{\circ}C$, and $15^{\circ}C$,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oxygen. At $4^{\circ}C$ and $7^{\circ}C$, Salmonella growth was not observed in either aerobic or anaerobic conditions. When $NaNO_2$ was combined with NaCl, the probability of Salmonella growth decreased. The validation value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model was appropriat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developed probabilistic models should be useful for describing the combinational effect of $NaNO_2$ and NaCl on inhibiting Salmonella growth in processed meat product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초대 배양 간세포의 난황 전구물질 합성에 미치는 estradiol-$17{\beta}$와 2,4-D의 영향 (Effects of Estradiol-$17{\beta}$ and 2,4-D on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Hepatocytes Primary Culture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여인규;최미경;이영돈;임윤규;허문수;이제희;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79
    • /
    • 2000
  • Estradiol-$17{\beta}(E_2)$와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 4- D)가 난황 전구물질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간세포의 초대 배양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배양간세포의 생존율은 배양온도 $27^{\circ}C$에 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circ}C$에서는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약 5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E_2$에 의한 VTG 의 합성은 $10^{-6}M$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2, 4-D $10^{-7}\sim10^{-5}M$의 첨가에 의해 VTG의 합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저농도인 $10^{-8}M$에서는 VTG의 합성이 증가하였다. $E_2$ 및 2, 4-D에 의해 합성된 VTG는 $10^{-6}M$ tamoxifen의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P<0.01). 본 연구 결과에서 $E_2$와 2, 4-D의 동시 첨가는 VTG의 합성을 억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2, 4-D의 작용이 $E_2$와 유사한 작용을 가지지만, VTG의 합성에 있어서 $E_2$ 수용체에의 작용 양식은 서로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H2AX의 BRCA1 NLS domain과 BARD1 BRCT domain 각각과의 in vitro 상호 결합 (H2AX Directly Interacts with BRCA1 and BARD1 via its NLS and BRCT Domain Respectively in vitro)

  • 배승희;이선미;김수미;최태부;김차순;성기문;진영우;안성관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403-40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H2AX의 생리학적인 기능 및 분자세포 생물학적 기전 해석에 대한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H2AX 관련 단백질들을 literature review 및 생물정보학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결합 단백질체를 40개를 예측하곤 이들 가운데 상호작용 가능성이 높은 BRCA1와 BARD1 단백질을 선별하여 in vitro 결합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이들 두 가지의 유전자를 발굴하여,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두 가지 단백질을 발현 및 정제하였으며, 단백질들의 자체적인 구조에 의한 결합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in vitro binding assay법을 실시하였다. 단백질의 구조적 안정과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하는 detergent만이 포함된 상태에서, 구조학적 및 물리학적 상호 결합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BRCA1과 BARD1은 모두 H2AX에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단백질에 대해 H2AX와의 최적 결합 부위를 알아내기 위해 각 유전자의 domain을 생물정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RING domain, NES, NLS 및 BRCT domain에 해당하는 유전자 부분을 새로 클로닝하여, 다시 in vitro 결합실험 및 실험결과에 대한 literature review를 통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H2AX는 BRCA1의 NLS, BARD1의 BRCT domain 부분과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2AX에 대한 BRCA1과 BARD1과의 결합은 DNA repair에 있어 BRCA1의 NLS와 BARD1의 BRCT domain을 통해 H2AX foci의 관련 세포 신호전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전체적으로 genomic stability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농후할 것으로 사료된다.

쏘라페닙과 홍삼추출물간의 약물상호작용 (Drug Interaction between Ginseng Extract (GE) and Sorafenib)

  • 이남희;박호재;노자성;김미경;이유경;조은아;허정;조몽;황태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18-1525
    • /
    • 2011
  • 쏘라페닙은 간암 치료제로 승인된 유일한 약이다. 전세계 암환자들의 인삼추출물 사용이 증가 되고 있지만 쏘라페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사람의 간암 세포주와 생쥐 모델을 사용하여 쏘라페닙과 인삼추출물의 약물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저농도 인삼추출물 투여시 암세포주의 성장과 pERK(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고농도 투여시 암세포 억제와 pERK 감소가 관찰되었다. 성장 사이클이 없는 세포에서 쏘라페닙의 항암 효과가 감소한 반면 저농도 인삼 투여 시 항암 효능이 증진되어 나타났다. PD98059 (ERK 인산화 억제재)은 효과적으로 ERK 인산화를 억제하여 인삼추출물의 쏘라페닙 감작 작용을 억제시켰다. 생쥐 간암 세포주 모델에서, 저농도 인삼추출물은 다소 암세포 크기를 증가 시켰지만 고농도 투여시 감소시켰다. 그러나, 인삼추출물과 쏘라페닙 동시 투여시 항암 효능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정상조직에서 저농도 인삼에 의해 PERK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홍삼에 의한 독성 증가와 관련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인삼추출물과 쏘라페닙은 농도에 따라 항암효능을 증가 시킬 수 있음을 보여 주었지만 독성의 가능성도 함께 증가시켰다. 인삼추출물과 쏘라페닙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더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