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bat elemen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세포 자동차(Cellular Automata)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중심전 전투효과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NCW(Network Centric Warfare) Combat Effectiveness Using Cellular Automata Simulation)

  • 정성진;조성진;홍성필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9
    • /
    • 2005
  • The recent notion of Network Centric Warfare (NCW) emphasizes the ability to distribute right information at the right time to maximize the combat effectiveness. Accordingly, in the modern combat system the importance of non-physical element, such as communication system is increasing. However, an NCW-support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is expensiv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proper combat system evaluation method to establish an efficient NCW-support combat system. Traditionally, combat system effectiveness is measured in terms of physical elements such as men and fire power. Obviously, such method is hardly applicable to a modern combat system To overcome this difficulty, we propose an evaluation model based on CA (Cellular Automata) simulation. A set of preliminary combat simulations show that CA simulation may be promising in evaluating non-physical element of a modem combat system.

  • PDF

ANN-based Evaluation Model of Combat Situation to predict the Progress of Simulated Combat Training

  • Yoon, Soungwoong;Lee, Sa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1-37
    • /
    • 2017
  • There are lots of combined battlefield elements which complete the war. It looks problematic when collecting and analyzing these elements and then predicting the situation of war. Commander's experience and military power assessment have widely been used to come up with these problems, then simulated combat training program recently supplements the war-game models through recording real-time simulated combat data. Nevertheless, there are challenges to assess winning factors of combat.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the combat element (ce) by clustering simulated combat data, and then suggest multi-layere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which can comprehend non-linear, cross-connected effects among ces to assess mission completion degree (MCD). Through our ANN model, we have the chance of analyzing and predicting winning facto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NN model can explain MCDs through networking ces which overperform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Moreover, sensitivity analysis of ces will be the basis of predicting combat situation.

세포 자동차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중심전 전투효과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NCW (Network Centric Warfare) Combat Effectiveness Using Cellular Automata Simulation)

  • 정성진;조성진;홍성필
    • 경영과학
    • /
    • 제22권2호
    • /
    • pp.135-145
    • /
    • 2005
  • The recent notion of Network Centric Warfare (NCW) emphasizes the ability to distribute the right information at the right time to maximize the combat effectiveness. Accordingly, in the modern combat system, the importance of non-physical elements, such as a communication system, is increasing. However, an NCW-support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is expensiv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proper combat system evaluation method to establish an efficient NCW-support combat system. Traditionally, combat system effectiveness is measured in terms of physical elements such as men and fire power, Obviously, such method is hardly applicable to a modern combat system. To overcome this difficulty, we propose an evaluation model based on CA (Cellular Automata) simulation. A set of preliminary combat simulations show that CA simulation may be promising in evaluating non-physical element of a modern combat system.

Development of data analysis tool for combat system integration

  • Shin, Seung-Chun;Shin, Jong-Gye;Oh, Dae-K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5권1호
    • /
    • pp.147-160
    • /
    • 2013
  • System integr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naval combat ships. In particular, because impeccable combat system integration together with the sensors and weapons can ensure the combat capability and survivability of the ship, the integrated performance of the combat system should be verified and validated whether or not it fulfills the requirements of the end user. In order to conduct systematic verification and validation, a data analysis tool is requisite. This paper suggests the Data Extraction, Recording and Analysis Tool (DERAT) for the data analysis of the integrated performance of the combat system, including the functional definition, architecture and effectiveness of the DERAT by presenting the test results.

Research on Intelligent Combat Robot System as a Game-Changer in Future Warfare

  • Byung-Hyo Park;Sang-Hyuk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328-332
    • /
    • 2023
  • The Army has presented eight game-changers for future warfare through 'Army Vision 2050,' including Intelligent Combat Robots, Super Soldiers, Energy Weapons, Hypersonic Weapons, Non-lethal Weapons, Autonomous Mobile Equipment, Intelligent Command and Control Systems, and Energy Supply Systems. This study focuses on Intelligent Combat Robots, considering them as the most crucial element among the mentioned innovations. How will Intelligent Combat Robots be utilized on the future battlefield? The future battlefield is expected to take the form of combined human-robot warfare, where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llow intelligent robots to replace certain human roles. Especially, tasks known as Dirty, Difficult, Dangerous, and Dull (4D) in warfare are expected to be assigned to robots. This study suggests three forms of Intelligent Robots: humanoid robots, biomimetic robots, and swarm drones.

미래형컴퓨터를 이용한 군전투력 발전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Military combat power by the future computer)

  • 허영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7-66
    • /
    • 2013
  • 미래의 전쟁 양상을 예측하는 것이 장차 전쟁에서 승리를 보장 받을 수 있다. 이라크 전에서 미군이 보여준 전쟁방식에서 미래의 전쟁양상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즉, GPS, 첩보위성, 무인정찰기를 이용한 실시간의 정보 수집에서 고도화된 유도 무기를 통한 정밀타격까지의 일련의 전투과정은 우주, 공중, 해상, 지상 전력을 네트워크화 함으로써 실시간 동시 및 통합 전투력 발휘가 전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NCW는 미래 작전유형이 작전에 참여하는 모든 요소들의 네트워킹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네트워크 중심 전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보수집 센서, 지휘 결심, 타격체계들이 지리적 여건에 제한되지 않고 네트워킹 되어 전투에 참여하는 지휘관에서부터 각개 병사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전쟁수행개념을 말한다. 미래형컴퓨터에 대하여 고찰하고, 특히 휴대용 컴퓨터, 키보드 없이도 손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음성인식 컴퓨터, 이를 이용한 인공지능, 또한 이를 통합 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체계를 이해하고 해병대의 종합적인 정보통신망 구축과 이를 전투나 훈련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미래전쟁을 대비한 NCW기반 전투력 발전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Military combat power by base of NCW against the future War)

  • 허영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53-161
    • /
    • 2017
  • 미래의 전쟁은 정보우위와 전장의 가시화를 통한 신속한 지휘결심체계가 구축되어 있어야 전쟁의 승리를 보장 받을 수 있다. 전장감시, 지휘결심, 타격을 위한 전 과정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든 전투원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여, 지휘결심과 이를 수행하는 말단 전투원까지 일치감이 조성되어 전투를 수행하여야 승리를 보장 받을 수 있다. 즉 GPS, 무인정찰기에서 보내오는 영상정보, 첩보위성에서 보내는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네트워크화 함으로서 정보우위를 달성할 수 있다. NCW는 미래 작전유형이 작전에 참여하는 모든 요소들의 네트워킹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네트워크 중심 전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보수집센서, 지휘 결심, 타격체계들이 지리적 여건에 제한되지 않고 네트워킹 되어 전투에 참여하는 지휘관에서부터 각개 병사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전쟁수행개념을 말한다. 미래의 전쟁은 확장된 전장공간으로 지상, 공중, 해상, 우주, 사이버 등 5차원 공간이 될 것이다. 네트워크 중심의 정밀 타격을 위하여 C4ISR+PGM과 Soft Kill 전자정보전이 요구될 것이다. NCW의 체계를 이해하고 이를 전투력향상에 적용하여 보고자 한다.

우측중도절단된 와이블 분포를 이용한 소총 탄약 소요보급률 추정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rifle ammunition RSR based on truncated Weibull model)

  • 박재신;방성완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1호
    • /
    • pp.129-138
    • /
    • 2019
  • 무기체계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탄약은 전투력 발휘에서 필수적이다. 원활한 탄약의 공급과 전투력 발휘를 위하여 군은 탄약의 기본휴대량을 개인별 임무와 화기에따라 정하여 활용중이다. 탄약의 기본휴대량 산출에 핵심이 되는 탄약의 소요보급률은 부대의 작전환경과 임무등을 고려한 실제 전투 자료에 기반하여 산출이 되어져야한다. 한국전쟁의 자료를 통해 얻어진 기존의 소요보급률은 현대의 전투 양상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실전과 가장 유사한 훈련인 육군 과학화 훈련단(Korea Combat Training Center; KCTC)의 소총 탄약 소모량 자료를 통하여 소총 탄약의 소요보급률을 추정하였다. KCTC 소총 소모량 자료가 중도 절단되었던 점을 고려하여 우측 중도절단된 와이블 분포를 추정하고 상위백분위수로 탄약의 소요보급률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별 탄약 소모량을 반영하여 대부분의 전투원들이 추가 보급없이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소요보급률을 추정할 수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한 소산 및 전투시설의 방호성능 보강방안 연구 (Reinforcing Method for the Protective Capacities of Dispersal and Combat Facilities using Logistic Regression)

  • 박영준;박상진;유영진;김태희;손기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7-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소산 및 전투시설의 복토를 통한 방호성능 보강 정도에 대한 수치적인 판단근거를 제시하였다. 먼저 지근탄보다 직격탄의 피해가 더 크며 이를 방호기준에 적용해야 함을 폭발실증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지근탄과 달리 직격탄의 경우 신관의 작동특성을 고려할 때 복토에 의한 방호가 중요하다. 복토를 위한 수치모형 제시를 위해 현장실사를 통해 방호시설 제원을 확보하고 이를 복토 물성치의 불확실성과 함께 고려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방호성능 충족여부를 판단하였다. 해석결과를 토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복토를 통한 방호성능 보강을 위한 수치적 판단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치모형은 접적지역 내 소산시설 및 전투시설의 방호성능 보강정도 판단에 활용될 수 있다. 향후 폭발효과가 구조체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추가적 식별하거나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한다면 보다 신뢰성있는 모델 제시가 가능할 것이다.

A Study on the Software Standardization and Simulator Design for Efficient Reliability Test in Combat System

  • Choi, Hwan-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151-159
    • /
    • 2022
  • 본 논문은 함정 전투체계에서 신뢰성 시험 효율화를 위한 표준 아키텍처 및 무장-센서 시뮬레이터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표준화 아키텍처는 함정 전투체계 소프트웨어의 수정 공수 및 신뢰성 시험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방법으로 함정 전투체계 소프트웨어에서 타 모듈의 의존도가 높은 응용을 선별하여 FORM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통요소와 가변요소를 추출, 추상화하였으며, 디자인 패턴 및 S.O.L.I.D 원칙을 고려한 아키텍처 디자인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무장-센서 시뮬레이터는 타 모듈의 의존성이 높은 요소를 식별하여 필수 기능을 구현하였고 통신 미들웨어에 기반 하여 장비의 정보를 가공 없이 직접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처리하였다. 그 결과 실제 함정 탑재장비를 대체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신뢰성 시험 수행 효율을 높이고 수정 사항 발생 시 수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