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umn Type

검색결과 1,203건 처리시간 0.032초

경북지역 향교건축(鄕校建築) 명륜당(明倫堂)의 개구부(開口部)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대청(大廳)과 방(房) 사이의 경계벽(境界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Openings in MyungRyun-Dangs of HyangGyo Architecture Located in Kyungbuk Province - Focused on the partition wall between Daechung and Bang -)

  • 정명섭;김일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1호
    • /
    • pp.33-43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of opening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between Daechung and Bang, through the case study on MyungRyunDangs of 19 HangGyos in Kyungbuk province. The way to carry out this study was to look through existing situations and to find out transformed traces of the openings in terms of their locations on several floor types. The transformation of the openings was analyzed chronologically into two cases of 'before 18C' and 'after 18C'. i) Before 18C ; the early type had double swing window on the front column spacing and single swing door on the rear, and the later type had swing door on the front column spacing and on openings on the rear. ii) After 18C; the earlist type was the same as the later type of 'before 18C', the next type had swing doors on both the front and the rear column spacing, and the last type had Sabunhap-swing door on the column spacing, iii) Through those transformations, the windows gradually replaced by the doors in the openings.

  • PDF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거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act Absorbing Behaviour of Steering Column)

  • 허신;구정서;최진민
    • 연구논문집
    • /
    • 통권25호
    • /
    • pp.23-29
    • /
    • 1995
  • Steering column is a typical component that may injure the driver at a frontal collision accident. To protect the driver from an impac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impact absorbing behaviour of steering column. The dynamic simulation were performed for the ball sleeve type impact absorbing steering colum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similar trends to FMVSS 203 test results. Hence using the simul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edict dynamic response of steering system which is used in design modification. Impact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ball sleeve type steering column with the column angle of $21^\circC$ and $26^\circC$ satisfies the safety criterion of FMVSS 203.

  • PDF

Experimental study on simplifi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in construction technology

  • Teraoka, Masaru;Morita, Koji;Sasaki, Satoshi;Katsura, Daisuke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권3호
    • /
    • pp.295-31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type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SRC) beam-column joints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joints, which simplify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steel fabrication, welding works, concrete casting and joint strengthening. In the proposed beam-column joints, the steel element of columns forms continuously built-in crossing of H-sections (${\Box}$), with adjacent flanges of column being connected by horizontal stiffeners in a joint at the level of the beam flanges. In addition, simplified lateral reinforcement (${\Box}$) is adopted in a joint to confine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in columns.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joints. Twelve cruciform specimens and seven SRC beam-column subassemblage specimens were prepared and tested.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from this study: (1) SRC subassemblages with the proposed beam-column joints show adequate seismic performances which are superior to the demand of the current code; (2) The yield and ultimate strength capacities of the beam-to-column connections can be estimated by analysis based on the yield line theory; (3) The skeleton curves and the ultimate shear capacities of the beam-column joint panel are predicted with a fair degree of accuracy by considering a simple stress transfer mechanism.

다양한 생물반응기 형태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Bioreactors on Growth and Ginsenoside Accumulation in Ginseng Adventitious Root Cultures(Panax ginseng C.A. Meyer))

  • 김윤수;한은주;백기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49-253
    • /
    • 2004
  • 생물반응기의 형태에 따른 인삼부정근의 생장과 ginsen-side의 생산능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원형의 상부와 하부에 5 cm의 bubble column을 가진 bulb type bubble bioreactor (BU)에서 건물중은 41.92 g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cylindric tube bioreactor (CT)에서 건물중이 38.55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들 두 생물반응기의 초기 kLa 값은 BU 생물반응기에서 6.98 h$^{-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반대로 bubble column이 없는 CT 생물반응기에서 5.25 h$^{-1}$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기 kLa값의 차이는 부정근내의 이차대사산물인 ginsenoside의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U 생물반응기에서 bubble column의 길이를 기존의 5 cm에서 10 cm로 연장시켰을 때, 초기 kLa값이 6.52 h$^{-1}$에서 7.80 h$^{-1}$로 증가하면서 인삼부정근의 생장을 42.13 g에서 50.30 g으로 약 16%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민도리식 목구조 화통맞춤의 구조적 특성 (A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watong-Connections in Traditional Mindori Type of Wood Structures)

  • 유혜란;권기혁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3호
    • /
    • pp.7-28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Mindori structure which is general private houses' structural type among traditional types and is a basic study to confir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watong connection which is general connection type of column-beam-cross beam. It is aimed to analyze how main member, column, such as size, figur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affect on structur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According to connection conditions, models with big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stable hysteretic behavior until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60 and models with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dramatical increase in load after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24. After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30, separation distance of members is identified physically and cracks are not observed. 2. Specimens with big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similar inner force regardless of column size(except column size 150mm) and models with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increasing inner force as the column size increases. Specimens with same sectional area have similar inner force even though the column figures are different. Th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doesn't affect inner force greatly,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Sungetuk is thin, it could lead to failure of structure as it breaks. 3. The bigger the size of column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re, the smaller Bending stiffness depreciation ratio is. 4. Energy Dissipation Efficiency differs from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big, square column shows bigger than round one and it is bigger when th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is thicker. Whe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small, round column shows bigger than square one.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원형 CFT 기둥-H형강 보 접합부의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Y Type Plate Connection between Circular CFT Column and H Shape Steel Beam)

  • 조현국;최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12-118
    • /
    • 2015
  • 최근 도심지에 건설되는 건축물의 초고층화는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을 증가시켜 기둥단면 증가와 사용면적 확보의 어려움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CFT와 같은 합성기둥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CFT 기둥의 경우 폐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기둥 접합부 개발의 어려움과 성능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원형CFT 기둥과 외다이아프램을 이용한 접합상세 개발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원형 CFT 기둥-H형강 보 접합부 접합상세를 개발하여 Y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접합부 구조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Y형 플레이트 폭 및 두께를 주요변수로 설정하여 실험을 통해 구조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체에 사용된 Y형 플레이트는 설계기준에 제시된 장기허용인장력이 Y형 플레이트에 접합된 인장 측 플랜지의 축방향력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여 파괴형태를 통해 Y형 플레이트의 구조적 안전성과 성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P.E.B 시스템 강골조에서 H형강 기둥 - Rafter 접합부의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H-shaped Column-Rafter Connection in the P.E.B Systematic Steel Frames)

  • 김종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통권76호
    • /
    • pp.347-356
    • /
    • 2005
  • 최근 들어 강구조 공장건축은 상당부분 P.E.B.시스템으로 지어지고 있으나 관련기술이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된 것으로 전용프로그램(예, MBS, LTI 등)에만 의존하고 있고 국내의 설계지침이 없어서 AISC-ASD에 의해 설계하고 있다. 또한 P.E.B.골조의 구조적 거동을 검토한 연구 및 H형강을 이용한 요소기술 개발이 부족한 실정에 있다 특히, 기둥-보(rafter) 접합부는 Extended type end plate에 의한 접합에만 의존하여 과다설계의 경향이 있으므로. 접합부에 대한 구조적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P.E.B.시스템 공장건물에서 H형강-보(rafter)의 접합부(Extended/Flush type)의 구조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여 구조적, 경제적으로 우수한 P.E.B. 시스템 골조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안 해저 피복 분류를 위한 항공 초분광영상의 수심보정 (Water Column Correction of Airborne Hyperspectral Image for Benthic Cover Type Classification of Coastal Area)

  • 신정일;조형갑;김성학;최임호;정규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31-38
    • /
    • 2015
  • 연안 해저 피복 조사에 있어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조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위성영상과 항공영상과 같은 광학 원격탐사자료는 수심의 영향으로 동일한 해저 피복조건에 대해 다른 반사도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CASI-1500 항공 초분광영상에 대한 수심보정을 통해 연안 해저 피복에 대한 조사 범위 및 정확도 향상이 가능한지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강원도 강릉시 연안으로 갯녹음 현상으로 인해 해저 환경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는 지역이다. 해저면이 모래인 지점을 대상으로 초분광영상에서 추출한 수체 반사율(water reflectance, $R_W$)과 수심 간의 회귀모델을 통해 밴드별 수심보정 계수를 추정하고, 이를 영상 전체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수심보정 전 영상에서 수심 6-7m에 한정하여 판독이 가능하였지만 수심보정 후 수심 15m까지 판독이 가능해지고, 수심에 따른 반사율의 변이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수심보정을 통해 해저 재질 분류 정확도가 13%p 증가하였다.

착색단고추 재배용 1-2W형 개조온실 구조의 안정성 검토 (Structural Safely Analysis of a Modified 1-2W Type Greenhouse Enhanced for Culturing Paprika)

  • 서원명;최만권;배용한;이종원;윤용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7-203
    • /
    • 2008
  • 본 연구는 1-2W형 온실의 구조를 개조하여 착색단 고추 재배온실로 이용하고 있는 온실의 구조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SAP-2000에 의한 구조해석 결과 1-2W기본형 온실의 기둥을 1.2m높였을 경우,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한계적설심은 변화는 거의 없으나 한계풍속은 약 $26.0\sim41.0m/s$정도로서 기본형에 비하여 약 $3\sim18%$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하중 작용시 변형도를 비롯하여 축방향력, 전단력, 휨모멘트 등의 최대단면력은 기본형이나 개조형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최대단면력은 풍상측의 처마높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하중 작용시 변형도를 비롯하여 축방향력, 전단력, 휨모멘트 등의 최대단면력은 기본형이나 개조형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축방향력을 제외한 최대단면력은 처마높이 부위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축방향력은 내측기둥에서 발생하였다. 한계적설심에 대한 내측기둥의 좌굴은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장비 또한 제한값 범위내에 들어 기본형 및 개조형 모두 만족하였다. 기초의 인발저항력과 지내력은 기본형과 개조형에 관계없이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Band Plate로 연결된 RC기둥-철골보 접합부의 이력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Structural Behavior of the RC Column-Steel Beam Joint with Band Plate)

  • 서수연;이원호;이리형;윤승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213-221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resul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teel beam joint connected by Band Plates(BP). Main parameters in the test are the shape of BP and thickness of plate. Ten interior and exterior RC column-steel beam joint specimens are designed. Cyclic loads are applied to the beam end of eight specimens (four interior specimens and four exterior specimens). To evaluate the cyclic effect, monotonic loads are acted for two specimens. All specimen showed similar failure pattern such as the plate of BP get torn after the large deformation. Even though the specimen with double cross type BP has lower strength than the specimen with single cross type BP, the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the specimen turned out high. Thus, provided the strength of joint with double cross type to be designed to have suitable strength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plate, the joint system may show higher seismic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