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watong-Connections in Traditional Mindori Type of Wood Structures

전통 민도리식 목구조 화통맞춤의 구조적 특성

  • Received : 2012.02.09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Mindori structure which is general private houses' structural type among traditional types and is a basic study to confir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watong connection which is general connection type of column-beam-cross beam. It is aimed to analyze how main member, column, such as size, figur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affect on structur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According to connection conditions, models with big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stable hysteretic behavior until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60 and models with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dramatical increase in load after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24. After the angle rotation of member reaches 1/30, separation distance of members is identified physically and cracks are not observed. 2. Specimens with big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similar inner force regardless of column size(except column size 150mm) and models with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how increasing inner force as the column size increases. Specimens with same sectional area have similar inner force even though the column figures are different. Th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doesn't affect inner force greatly,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Sungetuk is thin, it could lead to failure of structure as it breaks. 3. The bigger the size of column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re, the smaller Bending stiffness depreciation ratio is. 4. Energy Dissipation Efficiency differs from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big, square column shows bigger than round one and it is bigger when the thickness of Sungetuk and Dugeup is thicker. Whe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small, round column shows bigger than square one.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도시정책관, 도시.건축 업무편람, 2009
  2.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항목에 따른 내진 진단법의 개발, 2009
  3. 권기혁.유혜란.이진혁.최민석, 탄소섬유판 삽입공법으로 보강된 목재보 휨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8권 1호, 2008, pp. 1-7.
  4. 김영아, 전통 건축물 손상목부재 재활용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 무라타 겐이찌 저 김철주.임채역 역, 일본 전통 건축 기술의 이해, 한국학술정보(주), 2008
  6. 문기현, 사진과 도면으로 보는 한옥짓기,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5
  7. 문화재청, 한국전통 목조 건축물 영조규범조사보고서, 2006
  8. 문화재청,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2011
  9. 문화재청, 주요 업무 통계자료집, 2011
  10. 문화재청, 청운동 성천택, 2005
  11. 문화재청, 의성 소우당, 2005
  12. 문화재청, 창녕 하병수 가옥, 2005
  13. 문화재청, 고창 신재효 가옥, 2005
  14. 문화재청, 파장동 이병원 가옥, 2005
  15. 문화재청, 달성 조길방 가옥, 2005
  16. 문화재청, 삼척 신리 너와집, 2005
  17. 문화재청, 삼척 대이리 너와집, 2005
  18. 문화재청, 삼척 대이리 굴피집, 2005
  19. 문화재청, 보은 선병국가옥, 2006
  20. 문화재청, 만운동 모선루, 2006
  21. 문화재청, 합천 묘산묵와고가, 2006
  22. 문화재청, 보성 이금재가옥.이범재가옥. 이용옥가옥.열화정, 2006
  23. 문화재청, 궁집, 2006
  24. 문화재청, 강릉 선교장, 2007
  25. 문화재청, 정읍 김동수 가옥, 2007
  26. 문화재청, 윤증선생 고택, 2007
  27. 문화재청, 홍성 조응식 가옥, 2007
  28. 문화재청, 해당 윤두서 가옥, 2007
  29. 문화재청, 남원 몽심재, 2007
  30. 문화재청, 구례 운조루, 2007
  31. 문화재청, 청도 운강고택 및 만화정, 2007
  32. 문화재청, 함양 일두 고택, 2007
  33. 문화재청, 영천 만취당, 2007
  34. 문화재청, 양동 서백당, 2008
  35. 문화재청, 어재연장군 생가, 2008
  36. 문화재청, 영동 규당고택, 2008
  37. 문화재청, 가일수곡고택, 2008
  38. 문화재청,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2008
  39. 문화재청, 정온선생 가옥, 2008
  40. 문화재청, 영광 연안김씨 종택, 2008
  41. 문화재청, 경주 양동마을, 2009
  42. 문화재청, 안동 하회마을, 2009
  43. 문화재청, 아산 외암리 참판댁, 2010
  44. 문화재청, 봉화 설매리 3겹 까치구멍집. 예천 의성김씨 남악종택.영주 괴헌고택. 송석헌, 2010
  45. 박원규.이광희,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 수종의 변천", 한국건축역사학 회 건축역사연구 제16권 1호, 2007, pp. 9-28.
  46. 서정문.최인길.전영선.이종림.신재철 .허택영, 고대 민가의 구조 및 목조 프레임의 수평하중에 관한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제1권 제2호, 1997, pp. 3 1-37.
  47. 서정문.최인길.전영선.이종림.신재철, 수평 교번하중에 대한 초가삼간 목조 프레임의 이력특성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권 제3호, 1997, pp. 21-27.
  48. 이필성, 전통 문화재 목조프레임의 횡하중에 대한 거동 및 이력특성, 서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49. 한국산업규격, KS F 2206
  50. 한국산업규격, KS F 2207
  51. 한국산업규격, KS F 2208
  52. 한국산업규격, KS F 2209
  53. 木造軸組構法建物の耐震設計マニュアル編集委員會, 伝統構法を生かす木造耐震設計マニュアル-限界耐力計算による耐震設計.耐震補强設計法,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