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Correction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6초

벡터 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색보정 기반의 칼라 중간조 처리법 (Color halftoning based on color correction using vector error diffusion)

  • 최원희;이철희;김정엽;김희수;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7권5호
    • /
    • pp.76-8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벡터오차 확산법을 이용한 색수정 방법으로 장치간 색재현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색차를 줄이는 칼라 하프토닝(halftoning)법을 제안하였다 각 장치의 출력색을 추정하기 위하여 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장치 특성화 과정의 평균 추정 오차를 정의하여 이를 색수정의 임계치로 정의하였다 즉 화소 단위로 색차를 비교하여 최대 허용 색차(임계치)보다 클 경우 그 화소의 프린팅을 위한 이진 도트 집합은 벡터 오차 확산법을 이용해 재배열된다 제안된 방법은 선택적으로 벡터 오차 확산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벡더 오차 확산법이 갖는 스미어 현상(smear effect)을 줄일 수 있으며 색수정을 통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장치간 색차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Adobe Camera Raw를 이용한 효과적인 3D 렌더 이미지 보정 (Efficient Color Correction for 3D rendered images using Adobe camera raw)

  • 윤영두;최은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3호
    • /
    • pp.425-447
    • /
    • 2013
  • 디지털 카메라의 대중화로 인하여 ISP(Image Signal Process)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보정 어플리케이션들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AWB(Automatic White Balance) 와 Auto Exposure 는 ISP 기능 중에서도 가장 관심을 받는 분야로서 이미지나 영상의 질을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3D 프로그램에서 라이팅과 카메라의 원리는 실제 카메라와 라이팅의 원리를 적용하여 만들어졌으나, 실제의 카메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노출 기능과 AWB 기능들과 같은 전문적인 기능들은 3D 프로그램 상에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영상에서 색상의 보정은 색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가능하며, 합성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은 일반적인 디지털 사진을 보정하는 프로그램 방식에 비하여 복잡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애니메이션을 공부하는 대학생들의 경우에는 애니메이션의 제작과정에 있어서 색상보정의 과정을 생략하고 렌더링과 합성과정을 거쳐서 애니메이션을 완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색상보정에 사용하는 기능들을 3D 애니메이션제작 실사에서 적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색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도 쉽게 색상을 보정하여 렌더 이미지의 퀼리티를 높이는 3D 제작 파이프라인을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색채 응용 시스템의 색향상을 위한 기호색 보정 (Favorite colar correction for color enhancement in color application system)

  • 이응주;하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566-1573
    • /
    • 199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vorite color correction algorithm for color enhancement in color application system which represent preferred colors for viewer's demands. The proposed algorithm corrects skin color which is widely used as a reference color for color control of color application system, blue color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ri-stimulus values, and green color which has higher visual sensitivity.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vaiation range of phase detector output voltage was minimized for the favorite color saturation changes, thus the favorite from the burst signal for the phase detector characteristic, thus the favorite color was easilty detected from the other color without overlapping of correctionranges.

  • PDF

Novel Method of Color Correction LUT generation for LCDs

  • Jeong, Jae-Won;Moon, Hoi-Sik;Berkeley, Brian H.;Kim, Sang-S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1호
    • /
    • pp.997-1000
    • /
    • 2007
  • Achieving white balance is one of the key issues for LCD image quality enhancement. A well-known color correction algorithm is Accurate Color Capture (ACC). Determination of ACC correction values has been time consuming as past methods have required trial-and-error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We propose a new ACC value determination method that uses spatially emulated patterns and measured values on patterns.

  • PDF

항공정사영상의 상대적인 지상좌표 위치오차에 따른 색상보정 (A Color Correct Method based on Relative Ortho Rectification Precision in High-resolution Aerial Ortho Images)

  • 박숭환;정형섭;정경식;김경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495-506
    • /
    • 2017
  • 본 연구는 동일 촬영시기 정사영상에 대한 색상보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접 영상 간 상대적인 지상좌표 위치오차를 분석하였다. 위치오차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block sum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각 block sum 크기에 따라 결정된 회귀계수를 이용하여 상대색상보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으로 상대색상보정이 잘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정량적인 분석은 히스토그램 유사성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이로부터 block sum 방법이 상대색상보정에 유용함이 증명되었다. 특히 상대적인 지상좌표 위치오차의 양에 따라 block sum 크기의 선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치오차가 클수록 높은 크기에서의 block sum 적용이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멀티스펙트럴 재조명을 이용한 균일 조명 색상 보정 (Color Correction for Uniformity Illumination using Multispectral Relighting)

  • 심규동;박종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07-213
    • /
    • 2017
  • 다수의 조명을 이용한 멀티스펙트럴 이미징을 정확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영상 내 조명의 세기가 균일해야 한다. 멀티스펙트럴 이미징이 아니더라도 정확한 색 정보가 필요한 영상 획득에서는 조명이 정확해야 하고, 정확한 조명 특성을 위해 평면 광원을 사용하거나 조명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명의 세기가 균일하지 않은 영상을 조명의 세기가 균일하도록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비균일 조명에서 얻은 두 영상으로 멀티스펙트럴 이미징을 수행하여 반사 스펙트럼을 획득하고 획득한 반사 스펙트럼을 형광등이나 태양광과 같은 평면광에서 획득한 영상의 조명 특성으로 재조명한다. 재조명으로 얻은 영상과 평면광 영상의 조도 분포의 차이를 이용해서 비균일 조명 영상을 균일한 영상에서 획득한 영상처럼 색상 보정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로 조명의 비균일성이 균일하게 보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이 결과를 통해 영상의 색 정보를 취득하는 데 조명의 제약사항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차원 체적 모델의 생성을 위한 색상 최적화 함수 기반의 조명 보상 기법 (A New Illumination Compensation Method based on Color Optimization Function for Generating 3D Volumetric Model)

  • 박병서;김경진;김동욱;서영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98-60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실사 3차원 모델 생성용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영상에 대한 조명 보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3차원 체적에 대한 촬영은 실내에서 이루어지고 시간에 따른 조명의 위치와 강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다시점 카메라는 총 8대를 사용하고, 공간의 중심을 향해서 수렴하는 형태이므로 조명이 일정하다고 할지라도 각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의 강도 및 각도는 다르다. 따라서 모든 카메라는 색상 보정 차트를 촬영하고, 색상 최적화 함수를 이용하여 획득된 8개의 영상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색상 변환 매트릭스를 획득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색상 보정 차트를 기준으로 모든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보정한다. 본 논문은 3차원 객체를 8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 취득할 시 카메라 간의 색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컬러 보정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3차원 영상으로 복원 시 영상 간의 색차가 줄어드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Color Correction in Portable-type Urine Analyzer

  • Kim, Jae-Hyung;Park, Chang-Hee;Lee, Seung-Jin;Jeon, Gye-Rok;Kim, Gi-Ryon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3권4호
    • /
    • pp.21-26
    • /
    • 2002
  • Color correction methods of chromaticity coordinates using Color Matching Function (CMF) were studied to develop a device-independent portable-type urine analyzer. The reflection spectra were measured for the degrees of 10 test items of the urine reagent strip (urine strip) to develop a portable-type urine analyzer. A computer simulation was performed to quantitatively distinguish the color reactions of the urine system, by using the spectral power distribution of Light Emitting Diode(LED), the reflection of a urine strip, and spectral sensitivity of a photodiode. To develop a device-independent system, chromaticity coordinates were modified to reduce the color deviations in the urine strip, by using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of LED and the color transformation by CMF. The experimental values obtained by developed urine system exhibited the accuracy above 95% for all color samples.

다항회귀를 이용한 필름 스캐너에서의 색보정 (Color Correction Using Polynomial Regression in Film Scanner)

  • 김태현;백중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1호
    • /
    • pp.43-50
    • /
    • 2003
  • 오늘날 멀티미디어의 응용이 크게 늘면서 영상 취득 장치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그중 필름 스캐너는 고해상도와 고화질의 디지털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필름 스캐너에서는 광원 및 센서의 비선형적 특성으로 인해 원 필름 영상의 컬러와 스캔된 영상의 컬러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필름 스캐너에서는 스캔된 디지털 영상에 대한 색보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캔된 RGB 색공간의 데이터를 CIE L/sup */a/sup */b/sup */ 색공간으로 변환한 후 다항회귀를 이용하여 색보정한다. 또한, TMS320C32 DSP 칩과 고해상도 라인 센서를 사용하여 R, G, B 각각 12 비트의 색분해도와 2400 dpi 급의 해상도를 갖는 스캐너 하드웨어를 구현하였다. 제작한 스캐너의 색보정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결과, 색보정 전에는 평균색차 (ΔE/sup *//sub ab/)가 13.48 이었던 것이 색보정 후에는 8.46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Features of Yellow Sand in SeaWiFS Data and Their Implication for Atmospheric Correction

  • Sohn, Byung-Ju;Hwang, Seok-Gy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404-408
    • /
    • 1998
  • Yellow sand event has been studied using SeaWiFS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aerosol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e Yellow Sea and their influences on the atmospheric correction for the ocean color remote sensing. Two SeaWiFS images of April 18 and April 25, 1998, representing Yellow Sand event and clear-sky case respectively, are selected for emphasizing the impact of high aerosol concentration on the ocean color remote sensing. It was shown that NASA's standard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treats yellow sand area as either too high radiance or cloud area, in which ocean color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SeaWiFS aerosol optical thickness is compared with nearby ground-based sun photometer measurements and also is compared with radiative transfer simulation in conjunction with yellow sand model, examining the performance of NASA's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in case of the heavy dust ev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