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ision speed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36초

충돌 후 열차의 차체 가속도 평가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Techniques to Evaluate Carbody Accelerations after a Train Collision)

  • 김준우;구정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477-485
    • /
    • 2010
  • In this study, we suggested several approaches to evaluate the collision acceleration of a carbody under the article 16 of the Korean rolling stock safety regulations.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evaluate the rigid body accelerations such as the displacement comparison method by double integration of filtered acceleration data, the velocity comparison method by direct integration of filtered acceleration data, and the analysis method of a velocity-time curve. We compared these methods one another using the 1D dynamic simulation model of Korean high-speed EMU composed of nonlinear springs or bars, dampers, and masse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velocity-time curve analysis method and the displacement comparison method are recommended to filter high frequency oscillations and evaluate the maximum and average accelerations of a carbody after a train collision.

판재를 이용한 초고속 위협체의 방호성능에 대한 해석적 연구 (Investigation Into Protection Performance of Projectile Using Flying Plate)

  • 최효성;신현호;유요한;박장현;김종봉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039-1045
    • /
    • 2016
  • We investigated the protection capability of a plate against high speed projectiles demonstrating collision and penetration behaviors by finite element analysis. The element erosion method was used for penetration analysis, which showed that the speed of the projectile was slightly reduced by the collision with the protection plate. Protection capability was measured by the projectile's attitude angle change because the damage of our tanks by projectiles was also dependent on the projectile-tank collision angle. When the length of the protection plate was sufficiently long, the projectile was severely deformed and incapacitated. In the case of a small plate, the projectile was deformed only in the collision region. Thus, projection capability was investigated by the change of attitude angle. The effect of collision angle, velocity, and length of the plate on the rotational and vertical velocities of the projectile was investigated.

EU의 TSI 규정 및 국내 철도차량안전기준의 대형장애물 유한요소모델 개발과 분산형 고속열차의 충돌성능평가에 적용 (Development of FE Models of the Heavy Obstacle for the EU-TSI and Domestic Rolling Stock Safety Regulations and Application to Collision Evaluation of the Korean High-speed EMU)

  • 김거영;구정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33-340
    • /
    • 2011
  • 본 논문은 유럽 TSI와 국내철도차량안전기준에 정의된 건널목 충돌사고시나리오에서 요구하는 성능의 대형 변형체 장애물의 유한요소 모델에 대하여 2가지 종류의 모델을 개발하여 한국형 분산형 고속철도 차량에 적용하고 평가하였다. 규정에서 요구하는 대형 장애물은 기존 강체모델에서 현재의 변형체모델로 변경되었으며 규정에 정의된 방법으로 변형체 강성 값이 검증되어야 한다. 여러 번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준을 만족하는 균일한 밀도와 강성의 솔리드 형 장애물 모델과 균일하지 않은 셸 형 장애물 모델 등 2가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형장애물을 사용하여 분산형 고속열차를 대상으로 규정의 대형장애물 충돌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셸 형과 솔리드 형 장애물은 열차와 충돌 후 거동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고, 셸 모델이 더 가혹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쾌속여객선의 수중부유물과의 내충돌 안전성 평가 (Crashworthy Safety Assessment of High Speed Passenger Ship with Underwater Floating Matter)

  • 이상갑;이재석;백윤화;전승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30-3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쾌속여객선과 수중부유물과의 실선 충돌응답해석을 통하여 선체와 승객의 내충격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동안 수중부유물과의 충돌사고로부터 발생하였던 선체와 승객들의 손상자료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평가하여 쾌속여객선 수중익 시스템의 수중부유물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구조를 철저히 파악함으로써 내충격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충돌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었다. 주변 유체를 고려하는 LS-DYNA 코드의 유체-구조 연성 해석기법과 국부 zooming 해석기법을 사용하여 쾌속여객선의 수중부유물과의 충돌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선체와 승객의 내충격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유효충돌속도에 따른 어선 충돌사고 피해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ffective Impact Speed and the Severity of Collision Accidents with Fishing Vessels)

  • 박현구;박영수;박상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02-211
    • /
    • 2023
  • 국내 해양사고에서 어선의 충돌사고는 타 선종보다 빈번하고 사고 심각도는 높은 편에 속한다. 과거 큰 피해를 불러온 국내 어선충돌사고의 시사점은 어선이 충돌 직전까지 높은 항행 속력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과 어선이 규모 차이가 큰 선박과 충돌하였다는 점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어선의 충돌사고 결과로 나타나는 선박피해 심각도를 선박의 속력과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를 하였다. 이를위해 도로교통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효충돌속도(Effective Impact Speed)라는 개념을 두 선박의 충돌상황에 적용하였고 2016년부터 2022년까지 해양사고 재결서 중 어선과 어선, 어선과 비어선 충돌사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총 617척 선박의 유효충돌속도를 산출하였다.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효충돌속도를 독립변수, 선박피해 심각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두 변수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유효충돌속도와 선박피해 심각도가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과 선박피해심각도는 유효충돌속도와 함께 선박의 질량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FID 시스템 인식속도 개선을 위한 충돌방지 알고리즘 (Anti-Collision Algorithm for High-Speed Tags in Active RFID System)

  • 김익순;김천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891-1904
    • /
    • 2013
  • RFID 시스템에서 해결하여야 할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태그간의 충돌로 인해 인식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기존의 충돌 방식 중 BS 충돌 방지 알고리즘 방식은 구현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태그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태그간 충돌에 의해 전체 태그를 읽는데 요구되는 단계별 스케줄 횟수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충돌 예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0'과 '1'의 결정 비트를 통한 복수 응답 프레임 방식을 제안하였다.

교항하는 두 선박간의 충돌회피에 관한 해석적 접근 (An Analytical Approach to Collision Avoidance between Two Encountering Ships)

  • 박정홍;김진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교항하는 두 선박 간의 충돌 회피에 적용 가능한 해석적 기법에 바탕을 둔 피항 조선 알고리듬을 소개한다. 충돌 회피를 위하여 두 선박 간의 최소이격거리를 설정하고 교항하는 두 선박의 적절한 피항 조선을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항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의 구현을 위하여 1) 선박의 운항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변화에 의한 충돌회피 기법과 2) 선박의 선수각을 변경하여 침로를 변경하는 충돌회피 기법을 고려하였고, 두 선박의 기하학적 배치를 감안하여 충돌 회피를 위해 조선 동작을 개시하는 피항 개시거리를 해석적으로 전개하였다. 제안한 기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교항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

Maritime Officers' Strategies for Collision Avoidance in Crossing Situations

  • Hong, Seung Kweo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25-533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ritime officers' strategies to avoid the ship collision in crossing situations. Background: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wo ships, maritime officers can change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own-ship to avoid the collision. They have four options to select; adjusting the speed only, the direction only, both the speed and direction at the same time and no action. Research questions were whether the strategy they are using differs according to the shipboard experience of maritime officers and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ARPA (automatic radar plotting aid) - radar graphic information. Method: Participants were 12. Six of them had more than 3 years of onboard experience, while the others were 4th grade students at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For each participant, 32 ship encounter situations were provided with ARPA-radar information. 16 situations were presented by the north-up display and 16 situations were presented by the track-up display.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cide how to move the own-ship to avoid the ship collision for each case. Results: Most participants attempted to avoid the collision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ship, representing an average of 22.4 times in 32 judgment trials (about 70%). Participants who did not have experience on board were more likely to control speed and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an participants with onboard experience. Participants with onboard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ship only.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ame ARPA Information wa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in many cases made different judgments depending on the method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track-up display and north-up display. It was only 25% that the participants made the same judgment under the same collision situations. Participants with onboard experience did make the same judgment more than participants with no onboard experience. Conclusion: In marine collision situations, maritime officers tend to avoid collisions by adjusting only the direction of their ships, and this tendency is more pronounced among maritime officers with onboard experience. The effect of the method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on their judgment was not significant.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ight help to train maritime officers for safe navigation and to design a collision avoidance support system.

틸트로터 무인기의 충돌회피기동 모사 (Collision Avoidance Maneuver Simulation of Tilt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 황수정;이명규;오수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45
    • /
    • 2007
  • The collision avoidance maneuver flight simulation for tilt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was performed by time-accurate numerical integration method based on wind tunnel test data. Five representative collision avoidance maneuvers were simulated under constraints of aerodynamic stall, propulsion power, structural load, and control actuator capability. The collision avoidance performances of the maneuvers were compared by the computed collision avoidance times. The sensitivities of initial flight speed and collision zone shape on the collision avoidance time were investigated.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e pull-up turn maneuver defined using moderate pitch and maximum roll controls within simulation constraints is the most robust and efficient collision avoidance maneuver under the various flight speeds and collision object shapes in the tilt rotor UAV applications.

  • PDF

선박충돌에 의한 해상풍력발전기의 취약도 평가 (Fragility Assessment of Offshore Wind Turbine by Ship Collision)

  • 조병일;김동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36-243
    • /
    • 2013
  • 해상풍력발전기는 주위를 항행하는 선박 및 바지선등과 같은 선박에 의한 충돌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충돌에 대해 안정성을 고려하기 위해 해상풍력발전기의 선박충돌해석을 수행하고 충돌하중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충돌취약도를 분석하였다. 충돌해석은 해저지반-기초구조물의 상호작용 및 유체를 p-y곡선과 부가질량법으로 고려하였다. 충돌취약도는 선박의 중량과 충돌각, 선박흘수를 변동성으로 고려하여 항복응력에 대한 손상수준을 추정하였으며 취약도를 분석한 결과, 850ton 바지선과 30,000DWT 화물선의 충돌속도에 취약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