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System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 서혜란;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30
    • /
    • 2015
  • 장애인의 고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장애대학생도 증가하고 있지만,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는 별개의 문제로 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의 정보접근권 보장과 정보복지 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대체자료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제작 공급체계와 시각장애대학생들의 대체자료 이용 현황과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데이터 수집을 위해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담당자와 시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 시각장애대학생을 위한 대체자료 지원체계 방안으로 1)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역할 강화, 2)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3)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술적 제도적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국민학교 학생의 시력관리 지식 및 실천과 시력장애에 관한 조사연구 -3, 4, 5, 6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sual Impairment State and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in Chonbuk Area)

  • 정영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8-68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grasp the knowledge and practice the level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also analyse the state of visual impair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re 347 students composed of 456 boys and 391 girls in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has been made through studying references. These were carried out from the 10th to 30th of June 1992.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tilizing SPSS for percentage, mean, S.D.,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the knowledge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as in intermediate range (mean on 20 point scale of 12.34, with O=definitely no), but low in aspects of preventive care for overwork of eye (mean on 5 point scale of 2.67). 2. The level of the practice about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as intermediate range (mean on 20 point scale of 12.34, with O=definitely no), but low in aspects of preventive care for overwork of eye (mean on 5 point scale of 2.58). 3.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knowledge of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ere sex (p<0.01) and grade (p<0.001). 4.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practice of visual impairment protective care was living area (p<0.01). 5.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Those who have more knowledge score have more practice score (p<0.001). 6. vision impairment state 1) Student with subnormal in 0.9 or less were 26.3% in left eye and 28.4% in right eye. 2) Student with subnormal in 0.6 or less were 11.9% in left eye and 10.9% in right eye. 7. Vision impairment programs 1) Males are slightly higher in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than females. 2) Visual impairment we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grade. 3) Urban students are higher in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than rural students, but these seem to have no statistical meaning.

  • PDF

시각 및 청각장애 대학생의 오픈코스웨어(OCW) 사용성 평가 - KOCW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 (Usability Testing of OpenCourseWare(OCW) by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 Focused on the Accessibility of KOCW -)

  • 손지영;염명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27-1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OCW 강좌가 시각 및 청각장애 대학생들이 인식하기에 접근성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시각장애 6명(전맹 3, 저시력 3), 청각장애 4명(농 2명, 난청 2명) 총 10명의 시각, 청각장애를 가진 대학생들이 국내 KOCW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두 가지 유형의 강좌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시각, 청각장애 학생들이 인식하게 두 유형의 강좌 모두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의 사용성과 접근성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시각, 청각장애인을 위해 OCW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오픈코스웨어(OCW)에 대한 장애학생 사용성 평가 - 시각 및 청각장애 대학생을 중심으로 - (Usability Testing of OpenCourseWare(OCW) - Focusing on Studen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

  • 손지영;염명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3-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OCW로 제공되는 강좌가 시각, 청각 장애학생들이 인식하기에 사용성 측면에서 어떠한 장점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시각장애 학생 8명, 청각장애 학생 4명으로 총 12명의 장애 대학생들을 선정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대상은 해외 edX와 국내 KOCW에서 제공하고 있는 강좌를 한 개씩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일반적인 사용성 수준에서는 평균적으로 보통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장애인 접근성 측면에서는 edX가 KOCW 강좌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장애영역별로 살펴보면, 청각장애 학생들은 edX에서 제공하는 강좌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였고, 시각장애 전맹 학생들은 KOCW에서 제공하는 강좌에 대해 높은 사용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했다. 저시력 장애학생들은 두 강좌에 대해 비슷한 수준의 평가 양상을 나타냈다.

초등학생들의 시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arious Factors giving impacts on the Visual Impairment in schoolchildren)

  • 김정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9-85
    • /
    • 2000
  • 본 조사는 초등학생 시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44명(488eye)을 대상으로 자각적 굴절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경을 장용하고 있거나 안경장용이 필요한 학생은 27.3%로 나타났으며 이 중 6.3%가 0.3미만의 나안시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시안 27.3% 가운데 근시안과 원시안의 비율은 각각 25.4%, 1.9%로 나타났으며 전체 굴절이상안 중 경도굴절이상안이 71.4%, 중도굴절이상안이 28.6%로 산출되었다. 시력과 환경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첫째, 2m이하의 근거리에서 T.V를 시청하는 학생은 전체학생 중 73.8%로 나타났고 정상시력을 가진 학생은 70.7%, 비정상시력을 가진 학생은 82.5%가 근거리에서 T.V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8.4%의 학생이 누워서 혹은 엎드려서 독서하는 습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책상에 바르게 앉아서 독서하는 습관을 가진 학생보다 누워서 혹은 엎드려서 독서를 하는 학생 가운데 저시력을 가진 학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독서거리가 25cm이하인 학생은 조사 대상 중 84.4%로 나타났으며 25cm이상의 독서거리는 정상시력을 가진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안시력 0.7이하의 학생 가운데 63.3%만이 안경을 장용하고 있었으며 부동시안은 3.4%로 나타났다.

  • PDF

폭음 여자대학생의 전체-세부 시지각 처리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of global-local visual percep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binge drinking)

  • 임소연;김명선
    • 인지과학
    • /
    • 제34권2호
    • /
    • pp.111-151
    • /
    • 2023
  • 폭음군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와 유사한 인지기능의 장애를 보인다고 보고된다. 신경심리검사와 뇌 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시지각 기능을 조사한 선행 연구에서는 이들이 전체-세부 시지각 처리 결함을 가짐을 보고하였다. 폭음군의 전체-세부 시지각 결함에 대한 신경학적 근거가 제시되고 있으나 폭음군의 전체-세부 시지각 처리 과정을 조사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폭음을 하는 여자대학생의 세부 편향적 시지각 특성을 Navon의 전체-세부 방안과 사건관련전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전체-세부 방안에서 자극은 세부 수준 혹은 세부 수준의 자극들로 구성된 전체 수준에서 제시되었으며, 두 수준에서 제시되는 자극은 서로 일치하거나 불일치하였다. 본 연구에 폭음군 25명과 비폭음군 25명이 참여하였다. 행동자료 분석 결과, 비폭음군과 폭음군 모두 세부 자극에 비해 전체 자극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였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전체불일치 조건에 비해 세부불일치 조건에서 유의하게 낮은 반응정확률과 긴 반응시간을 보였으며, 이는 전체 수준의 비목표 자극에 의해 간섭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사건관련전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폭음군과 폭음군 모두 세부불일치 조건에 비해 전체불일치 조건에서 더 큰 N100 진폭, 세부 조건에 비해 전체 조건에서 더 큰 P150 진폭을 보였고, N200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전체 조건에 비해 세부 조건에서 더 큰 진폭, 전체불일치 조건보다 세부불일치 조건에서 더 큰 진폭을 보였다. 반면, P300의 경우 비폭음군에 비해 폭음군이 더 작은 진폭을 보였으며, 특히 세부 조건에서 더 작은 P300 진폭을 보였다. 또한, P300 진폭과 폭음 점수 사이의 부적 상관, 즉 폭음 점수가 증가할수록 P300 진폭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N100은 초기 시각 주의, P150은 시각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 목표 자극의 지각 과정, N200은 갈등 모니터링 및 반응 억제, 그리고 P300은 인지적 억제 및 주의 할당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세부 방안의 세부 과제에서는 세부 수준에서 제시되는 목표 자극에 주의를 할당하는 동시에 전체 수준에서 제시되는 비목표 자극에 대한 주의는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폭음을 하는 여자대학생이 세부 편향적 시지각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대신 주의를 억제하는 능력의 결함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일부 특수학교 장애인의 구강보건의식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in the special school for students of disability)

  • 송윤신;장우성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3-111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of oral health problems was conducted to 311 students in Special Schools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state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s, to find out the main obstacles against dental services, to secure dental reasonable basis for oral health promotion.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pecial School of the 311 students in the area of the metropolitan Seoul. By means of Chi-squared test and Fisher's exact test, oral hygiene habits for each type of the subjects, the contents of dental care services, the prerequisites to improve oral health, were inquired. To evaluate the effects to the current oral health status of types of disability, 2-way ANOVA was practiced. Results : The handicapped with Visual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multiplicity with disabilities, answered negatively in their own oral health status. 47.4% of the deaf can do brush for theirselves without the inconvenience, but in other types of disability they showed that they were helped by others. Subjects did not use the secondary oral hygiene necessaries because, except brain damage, almost of types of disability impeded the convenient use. 60 to 88.2 percent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the recent visitors to dental clinique within 1 year, and the most common motives of the visiting dentist, is a routine medical examination, their movements to the dentist in all types of disabilities, needed helps of others. Most of them received medical treatment at a private dentist, the handicapped preferred the private care and place(49.8%). Only in the case of the brain disorders, extremely much of the disabled answered that they were needed the preventive treatment, and the another cases of disability were largely needed the treatment of the decayed teeth.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opening of the clinics and hospitals over a certain size, the mandatory medical facilities for the care of the disabled should be preceded and followed by the improvement of dental insurance system so as to reduce the burdens of the cost of dental care. Conclusions : The improvement of oral health policy for the disabled are needed inevitably: Development of secondary oral hygienic easy to use for the disabled, the building systems of medical dental hospital with the disabled facilities, by the improvement of the insurance system, the reduction of the burden of pay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