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플립러닝을 적용한 알고리즘 이론교과목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설계 (Design of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Algorithm theory Subject using Flipped Learning)

  • 장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042-1048
    • /
    • 2017
  • 최근 새로운 산업 환경의 변화에 필요한 맞춤형 기업 인재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플립러닝이 주목 받고 있다. 기존 강의식 수업방식의 경우 중도탈락률이 높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저해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IT 공과대학의 경우 선수 교과목의 선행이 필요한 전공 이론과목이 대부분이므로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플립러닝과 실습수업을 병행한 5단계 플립러닝 수업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컴퓨터공학과의 알고리즘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교육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의 특성 (Features of Students Moving for University Education)

  • 한송이;배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95-10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을 위해 입학 단계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들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차 분석(카이제곱 검정)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지역 학생들은 서울, 경인, 지방 등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지방 출신 학생의 경우 낮은 비율의 학생들이 서울 지역 대학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교육을 위해 서울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서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 집단이 사회경제적 배경, 고교 유형과 성취 수준, 진로 성숙 수준, 대학몰입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화 구조를 극복하고 학생 구성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지역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체계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 박미정;오두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23-43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6년 6월 1일부터 10일까지 C와 S시에 소재한 2곳의 대학에 재학 중인 22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의사소통 기술은 점수가능범위 1~5점 중 2.13점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지각된 가정경제 수준과 여가활동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의사소통 기술은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대인관계 만족도에 대한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지각된 가정경제 수준 및 여가활동 여부의 설명력은 26.7%였으며, 의사소통 기술은 대인관계 만족도를 18.4%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넷째,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성별, 학업 성취도, 지각된 가족경제 수준 및 여가활동 여부의 설명력은 33.0%였으며, 의사소통 기술은 주관적 행복감을 0.3%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만족도 및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의사소통 관련 교육이 주요 중재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대학 e-Learning 실습교육 (The E-Learning for Practice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College Education)

  • 이기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443-476
    • /
    • 2015
  • 미술 디자인계열 학과를 개설한 대학의 이러닝 강의는 실습중심의 전공 교과목조차 대부분 이론중심 강의로 운영되고 있다. 심지어 완전 사이버교육을 제공하는 사이버대학교들 조차 실습과목에 대한 사이버학습 운영에 많은 어려움과 한계점을 토로하면서 이론위주로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사이버대학교들이 이러한 실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특강형식으로 일정기간 오프라인에서의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학습에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갖게 되는 학생들의 중도탈락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이러닝 환경에서 실습이 필요한 과목의 효율적인 이러닝 실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교육이 기존 강의실 기반의 실습교육에 비해 어느 정도의 학업성취도를 이루어 내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년제 일반대학교 디자인학부 1학년 84명을 선정하였으며, 3개 분반으로 나뉘어진 전공실습 수업 중 1개 분반에서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 수업을, 2개 분반에서는 강의실기반 실습수업을 각 7주간 처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이러닝 환경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실습수업은 강의실 기반 실습수업보다 학업성취도 면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학습 흥미도에 있어서는 증강현실기반의 실습이 수업자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학습몰입에 있어서 증강현실기반의 실습수업 집단이 더 높은 수준의 몰입을 보였다. 본 연구가 실제 대학교육의 정규과정에서 수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연구결과는 증강현실기반의 전공 실습교육이 기존의 이론중심 이러닝 강의나 이러닝 환경이지만 별도로 강의실에서 실습을 진행했던 대학들의 수업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수업방법임을 시사한다.

대학기숙사 물리적 주거공간환경이 기숙사 거주학생들간 인지된 공동체의식 및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Physical Living Environ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and Perceived Sense of Community among Students in University Dormitory)

  • 김원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10
    • /
    • 2015
  • College students living in university dormitory continuously experience unique physical and social living conditions, being away from their hometown and loving families. Most college students has engaged in a very limited social activities in dormitory area. Studies have shown that sense of community(SOC)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social activities. However, few research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ense of community.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dormitory on students' perceived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social interacti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und that developing social interaction and building a sense of student community improve students'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dormitory and personal academic growth. Survey on A university dormitory and Chi square analysis (${\chi}^2$) indicated that each group'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living period, and persona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level of SOC at the level of p=.01. Individual analysis of SOC showed that sense of belonging was higher than shared emotional connection, which means certain level of intervention is need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validated that there exis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OC. Further it also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facilitating social interaction were comfortable, quiet, and enough social space around the dormitory.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배진성;최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47-557
    • /
    • 2020
  • 본 연구는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 특성별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특히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의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 438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9년 8월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의 분포는 「정상군」이 78.8%, 「우울군」이 21.2%이었으며,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우울군」의 분포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수준과의 상관관계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도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군에 비해 높은 군에서 「우울군」이 나타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우관계,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주관적인 건강상태,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여자고등학생들의 우울수준은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 특성의 여려 변수들뿐만 아니라, 학업스트레스와도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초등학생의 유머감각과 음악성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elf-confi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ed to Sense of Humor and Music)

  • 심인옥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8-15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ense of humor and music on the self-confidenc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found differences between the impact of each participants' sense of humor and sense of music on self-confid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265 children who were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lived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ir sense of humor sense, sense of music and self-confidence on three separat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self-confidence related to the higher income status, young aged mothers and birth order. Moreover, academic achievement was shown to relate to a high sense of humor and music, and self-confidence.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a sense of humor and music and self-confid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source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pplying sense of humor and music to improve the self-confi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사회 연결망 중심도와 학습자 성과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 Centrality and College Students' Performanc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조일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77-87
    • /
    • 2007
  • 본 연구는 오프라인 수업을 온라인 토론이 보조하는 블렌디드 러닝 형태의 대학교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적에 미치는 사회 연결망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이버 학습 세미나' 과목을 수강하는 36명의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우 연결망 중심도, 조언 연결망 중심도, 그리고 적대 연결망 중심도 등 세 가지 사회 연결망 변수들을 측정한 후, 이를 기말 과제 및 시험 점수 등 학습자 성과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언 연결망 중심도와 교우 연결망 중심도는 학습 성과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던 반면, 적대 연결망 중심도는 대부분분의 성과 변수들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온라인 토론의 양과 질은 교우 연결망 중심도 및 조언 연결망 중심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그 질은 조언 연결망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IT Curriculum Evaluation for College Students

  • Kim, Heon Joo;Kim, Kyung-mi;Yi, K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255-265
    • /
    • 2022
  • 본 연구는 H대학 전교생 필수인 IT 교과목 강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의만족도가 학업성취도, 출석율, 수강과목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특별히 컴퓨터를 활용하는 실습이 많이 요구되는 IT 교양과목들의 강의 만족도가 일반 교양과목의 강의만족도 경향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H 대학교에서 2019년도 1, 2학기에 진행한 교양 IT 교과교육과정의 12개 교과목에서 2,322명 수강생들이 제출한 2,149건 강의평가 결과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강의평가 결과는 객관식 선택형 문항의 평가점수 외에도 주관식 서술형 문항도 학생들이 제출한 서술문을 긍정형과 부정형으로 분류하여 계량화를 하여 강의평가 결과를 객관화하였다. 연구 결과, 출석률과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강의만족도가 높았으며, 주관식 문항에서는 부정 단어보다는 긍정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점이 낮을수록 부정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초급프로그래밍이나 소프트웨어활용군 과목군에서는 출석률이 높을수록 강의만족도가 높았지만, 중급프로그래밍에서는 출석률과 선택형 평가점수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주관식 문항에서도 타 과목군보다 부정 단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IT 교과목에 대한 강의평가 경향은 일반 교과목의 강의평가 경향과 유사한 면도 있지만 중급프로그래밍 교과목에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성과 코호트의 구축과 운영 사례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n Educational Outcome Cohort at the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김순구;이애화;이가람;황일선
    • 의학교육논단
    • /
    • 제25권2호
    • /
    • pp.109-113
    • /
    • 2023
  • An educational outcome cohort has been established at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to help make educational policy decisions and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data. The purpose of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is to support educational policy decisions for achieving graduation outcomes smoothly and to accomplish the intende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through objective analyses and regular monitoring, providing continuous feedback. The data collected for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include the student identifications of freshmen, entrance exam scores, premedical and medical school grades, titles and forms of student academic research,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esting, scholarship recipient lists, volunteer clubs, and so forth. The data are collected using an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the collected data are encrypted and stored on a dedicated computer for enhanced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Proposals to access and utilize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data must be discussed and approved by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Committee, which decides on the scope and method of utilization. The collected and managed educational outcome cohort data have been used to develop comparative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y and to support admission policy decis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medical school students.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outcome cohor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chool of Medicine's educational policies and suggesting new direc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