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preferenc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34초

종합 평점과 다기준 평점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협업필터링 기반 하이브리드 추천 시스템 (A Hybrid Recommender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with Selective Use of Overall and Multicriteria Ratings)

  • 구민정;안현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85-109
    • /
    • 2018
  •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과거 구매행동을 통해 향후 구매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제품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추천해준다. 특히 전자상거래 기업의 상품추천시스템은 일대일 마케팅의 대표적 실현수단으로 가치가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추천시스템, 특히 학계 및 산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협업필터링 기법은 단일차원의 '종합 평점'만을 고려하여 추천결과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들의 정확한 니즈를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전자 상거래 기업들도 고객들로부터 보다 다각화된, 다기준 방식으로 피드백을 받고 있다. 특히 다기준 평점은 정량적으로 입력되는 정보이므로 상대적으로 분석 및 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기준 평점 역시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피드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의견을 이해하여 추천에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기준 평점 정보와 선택적 협업필터링의 서로 다른 접근방법을 통해 도출된 추천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추천 대상리스트를 산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식음료점(식당, 카페 등)에 대한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종합 평점과 다기준 평점을 수집하였으며, 데이터를 학습용과 검증용으로 구분하여 학습시키고 성과를 평가하였다. 이 기법은 결합 함수 기반 접근법과 사용자마다 구매의사결정의 체계가 다르다는 전제하에, 사용자들을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라 정보원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실험결과, 제안 알고리즘을 통한 추천 방법이 단일 차원을 고려하는 전통적인 협업필터링과 비교해 더 우수한 예측정확도를 나타냄을 확인했다. 아울러, 본 연구가 제안하는 다기준 평점과 선택적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종합하여 추천하는 방법이, 단순히 다기준 평점을 고려했을 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정확도의 개선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자 활동과 시간 정보를 적용한 추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mmender Technique Applying User Activity and Time Information)

  • 윤소영;윤성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43-551
    • /
    • 2015
  •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이 다양한 웹 사이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과 추천을 이용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아이템을 추천하기위해 사용자의 활동과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반영한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아이템 선택 시 고려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시간 변화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 변화 정보를 반영한 데이터만을 사용한다. 해당 카테고리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는 협업 필터링 기법에 태그 정보를 적용하여 추출한 아이템을 추천하고, 일반 사용자에게는 태그 정보를 사용하여 계산한 순위를 기반으로 아이템을 추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hetrec2011-movielens-2k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아이템 기반, 사용자 기반 기법보다 추천의 정확성과 적합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합유사도 함수의 이용과 시간정보를 고려한 협업필터링 기반의 추천시스템 (New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Similarity Integration and Temporal Information)

  • 최근호;김건우;유동희;서용무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147-168
    • /
    • 2011
  •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가 중요해짐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추천시스템 개발을 위한 다양한 지식과 기법들을 제공해왔다. 이러한 기법들 중에서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tering) 기법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현재의 협업 필터링 기법은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대부분의 추천시스템과 관련한 연구에서 특정 고객과 성향이 유사한 다른 고객들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도 함수들(Similarity Functions)은 대부분 특정한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에서 성향이 유사한 다른 고객들을 찾는데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특정 관점에 치우치지 않는 통합된 유사도 함수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객들의 성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를 추천결과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고객들의 구매 성향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여러 실험들을 통해 다음의 가설을 검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다양한 관점이 동시에 반영된 통합 유사도 함수의 이용과 시간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의 구매 성향의 변화를 반영할 경우 추천의 정확도가 향상될 것이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천시스템은 전통적인 협업 필터링 기반의 추천시스템들에 비해 일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이 채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협업 필터링 시스템에서 Degree of Match를 이용한 성능향상 (Using Degree of Match to Improve Prediction Quality 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 손재봉;서용무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139-154
    • /
    • 2006
  • 추천시스템은 사용자들의 관심을 끄는 아이템을 그들이 보다 쉽게 찾도록 도와주거나, 그들의 기호에 기반하여 의미 있는 아이템들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가장 성공적이었던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시스템은 다른 사용자들의 의견을 참조하여 추천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추천을 한다. 즉, 아이템들에 대한 사용자 기호를 나타내는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정보가 추천을 위한 정보원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시스템이 사용자들의 기호만을 이용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다른 정보를 이용하면 추천시스템의 성능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논문에서는 유사 정도와 인구통계학 정보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런 추천시스템에서는 평가정보가 계속적으로 누적되기 때문에, 추천시스템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한, 사용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 정도와 인구통계학 정보를, 사용할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여 자연스레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유사 정도의 사용이 추천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여주었고, 특정 인구통계학 정보의 사용도 추천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였음을 보였다.

내재적 신뢰가 강화된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추천시스템 (Recommender System using Implicit Trust-enhanced Collaborative Filtering)

  • 김경재;김영태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1-10
    • /
    • 2013
  • 개인화는 개인적인 기호를 바탕으로 각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화의 핵심적인 부분은 각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컨텐츠나 상품을 추천할 수 있는 추천기술이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추천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새로운 추천기술을 제안하여 왔다. 여러 추천기술들 중에서 협업필터링은 실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협업필터링은 종종 희박성 또는 확장성 문제를 겪게 된다. 선행연구들 역시 이 두 가지 문제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여러 가지 해결방안들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여러 선행연구들은 기존의 사용자-상품 매트릭스 외에 다른 원천들로부터 생성된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문제점들을 해결하려 함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을 요하는 다른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희박성 문제를 완화하고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협업필터링을 위한 새로운 내재적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자-상품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의 신뢰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내재적 평가법에 기반한 사용자-상품 매트릭스의 보완을 통해 희박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방안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실험 결과를 제공한다.

모바일 인터넷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초기질의 자동생성 기법 (A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of the Initial Query Set for Image Search on the Mobile Internet)

  • 김덕환;조윤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4
    • /
    • 2007
  • 휴대전화의 배경화면을 위한 캐릭터 이미지의 수요가 모바일 컨텐츠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지능형 검색 도구의 부재로 인해 사용자들은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미지 검색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이 사용될 수 있겠으나 PC-기반 시스템과는 달리 초기 질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의 제약 사항의 극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합성 피드백과정에서 얻어진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는 협업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CF) 기법을 사용하여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의 초기 질의로 사용될 수 있는 후보이미지의 리스트를 자동 생성하는 IQS-AutoGen이라고 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IQS-AutoGen은 CBIR로부터 피드백된 이미지들에 대한 적합성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사용자와 선호도가 유사한 이웃(neighbor)을 확인하고 이웃들이 선호하는 이미지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CF 프로세스를 통해 CBIR을 위한 초기 질의 집합(Initial Query Set : IQS)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따라서 모바일 사용자는 IQS에 있는 이미지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CBIR 세션을 위한 질의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C-기반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 CBIR의 초기질의 요구를 성공적으로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현재의 검색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 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Effective Factors of Reading Discussion for the Young Adults Program of A Local Children Care Center in Incheon)

  • 안인자;윤석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77-398
    • /
    • 2013
  • 본 연구는 인천지역아동센터의 초등,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독서토론프로그램을 통하여 독서토론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교육요소와 효과성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독서토론 교육 요소는 읽기훈련, 쓰기훈련, 발표훈련, 듣기훈련, 생각정리훈련의 5가지이다. 분석결과 학생의 정서지능, 참여자들의 완독수준, 참여횟수, 수업참여자와의 공감도, 독서에 대한 사전 선호도가 효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그 외에 논제의 적합성, 진행자의 역량, 도서선정, 말하기, 글쓰기 등의 기초 교육 병행도 효과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전문간호실무를 위한 조직환경과 간호사의 근무의욕간의 관계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Nurses' Task Motivation)

  • 강소영;엄영란;한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3-36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a) describing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embedded in nursing care units and (b) examining its relationships to nurses' task motivation. Method: Using the Nursing Work Index Revised (NWI-R) and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WPI),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20 registered nurses on 26 nursing care units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Result: Mean scores were 12.9 on a 5-20 score range of an autonomous environment scale, 7.3 on a 3-12 score range of a collaborative environment, and 15.8 on a 7-28 score range of control over nursing practice. Nurses' age, educational level, job position, working period at the hospital and employment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The extent to which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accounted for task motivation was $19.5\%$. Conclusion: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professionalism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that nurses perceived within the nursing care units. When nurses care for patients, the degree of task motivation depends on the work environment supporting the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청취 순서 성향을 고려한 랜덤워크 음악 추천 기법과 실험 사례 (Experimental Study on Random Walk Music Recommendation Considering Users' Listening Preference Behaviors)

  • 최혜진;심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5-85
    • /
    • 2017
  • 전자 상거래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개인화 추천은 많은 분야에서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개인화 추천을 위해서는 개인 정보를 포함하여 아이템을 재 분류해야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아이템을 재분류 하지 않는 추천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음악 추천 영역으로 제한하여 실험하였으며, 실제 청취 이력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 분석을 통해 적은 데이터로도 유의미한 추천을 이끌어 낼 가능성을 살피고, 상황별 추천을 위한 아이템 수 분석과 추가 기법을 제안한다.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소속도를 이용한 사례기반 필터링 (Case-based Filtering by Using Degree of Membership for Digital Contents)

  • 김형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9-18
    • /
    • 2010
  • 디지털 콘텐츠의 양이 방대해지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방대한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추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를 찾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필터링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에게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를 필터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례기반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 사용자에게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선호도 분석에는 디지털 콘텐츠 사용에 대한 사례를 이용한다.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