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Index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초

생활지수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lac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Living Index)

  • 이주오;이형걸;김아연;허승연;박우진;안용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3-31
    • /
    • 2020
  • 정보 통신과 스마트폰 등의 발달로 인한 편리한 접근성과 다양한 아이템의 종류로 인해 개인 맞춤형 추천의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날씨 및 기상환경은 사용자의 장소 및 활동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날씨 정보를 이용하면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생활지수를 활용하여 성향이 유사한 사용자를 구하고 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예측하여 장소를 추천함으로써 생활지수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날씨를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한 날씨 모듈과 장소 추천을 위한 협업 필터링을 사용하는 추천 모듈,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도 및 후기 관리를 위한 관리 모듈로 구성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과 생활지수의 융합 및 개인의 성향을 반영하는 측면에서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and Scientific Productivity: The Case of Korean Statisticians and Computer Scientists

  • Kwon, Ki-Seok;Kim, Jin-Guk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6권1호
    • /
    • pp.85-93
    • /
    • 2017
  •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and the productivity of scientists, which is rarely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Utilizing a unique dataset from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we examin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network (e.g. distribution of nodes, density and mean distance), and analyze whether the network centrality is related to the scientific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ly we have found that th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of the Korean academics in the field of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is a scale-free network. Secondly, these research networks show a disciplinary difference. The network of statisticians is denser than that of computer scientists. In addition, computer scientists are located in a fragmented network compared to statisticians. Third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s' network position and scientific productivity, a significant relation and their disciplinary difference have been observed. In particular, the degree centrality i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the scientists' produ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put forward.

대규모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저자의 중심성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uthors' Centrality on Research Performance in a Large-Scal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 문성구;김인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9-190
    • /
    • 2018
  • 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authors' centrality on research outcomes in a large-scal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five types of centralities were derived. Six research outcomes of individual researchers were also derived through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social science field for the last 10 years.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ity and research outcome, and the effect of centrality on research outcom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evised citation and H-index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uthors' centrality. This result can imply that the centrality of the researcher can expect a considerable influence of the thesis as well as a certain level of productivity.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entrality on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large-scal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in the past decade, and is carefully to suggest a guideline in order to support new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for active researchers and the advancement of collaborative research.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 for interpreting the diverse academic fields of the social sciences in a uniform way. In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using various weighted indices for network centrality in order to measure the influence of research.

맵리듀스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 추천 기법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er Technique using MapReduce)

  • 윤소영;윤성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1-333
    • /
    • 2015
  • 네트워크와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추천 기법으로는 급증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추천 기법인 협업 필터링 기법의 확장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 기법에 분산 병렬처리 방식인 MapReduce를 적용하여 확장성 문제를 줄이고 정확성을 높이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 기반 협업 필터링 기법에 MapReduce와 색인기법을 적용하여 유사도 계산에 사용되는 이웃의 수와 이웃의 적합성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확장성과 정확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저자집단 분석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학술커뮤니케이션 동향 연구 (A Study on Scholarly Communication Trend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ies through Author Group Analysis)

  • 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409-434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 학술지에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 동안 게재된 논문 전체의 저자를 분석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를 통한 학술 커뮤니케이션 현황을 고찰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학술지별 공저자 수, 귀환저자 비율, 투고선호지수, 저자집단 변화 추세, 연구자 유인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 학술지의 공동연구 수준, 학술지별로 연관된 저자집단의 형성 정도, 저자집단이 변화된 변곡점, 신진 연구자 집단의 특성, 학술지 간 저자 공유 정도 등이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2015년이 한국 문헌정보학 저자집단이 변화한 변곡점으로 나타났으며, 이후에 등장한 신진 연구자들은 주로 공동연구를 수행하면서 이전과 다소 다른 학술지 논문발표 행태를 보였다. 계량분석을 수행한 이 연구의 결과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선행 연구와 함께 활용된다면 한국 문헌정보학 학술지 발전 전략에 대한 다각화 연구를 수행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화 추천 시스템에서 연관 관계 군집에 의한 아이템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 (An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by Associative Relation Clustering in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s)

  • 정경용;김진현;정헌만;이정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4호
    • /
    • pp.467-477
    • /
    • 2004
  • 추천 시스템은 예전에는 몇몇 혁신적인 전자상거래(E-commerce) 사이트에서만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전자상거래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필수적인 비즈니스 도구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협력적 필터링은 이론과 실무 분야 모두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평가받은 추천 기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개인화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즉 초기 평가 문제와 희박성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관 관계 군집과 연관 규칙의 향상도를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평가 데이타를 사용하여 아이템간의 향상도를 산출하고, a-cut에 의한 임계값을 아이템들간의 연관성에 적용한다. 연관 관계 군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존의 Hypergraph Clique Clustering 알고리즘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Split Cluster Method를 이용하였다. 군집이 완성되면, 각 군집 내부에서 아이템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빠른 액세스를 위해 인덱스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새로운 아이템들의 선호도 예측 시에 생성한 인덱스를 적용시킨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기존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How Do Green Invest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isclosure, and Social Collaborative Initiatives Drive Firm's Distribution Performance?

  • PAMBUDI, Widiatmaka. F;DIAN, Wahdiana;Suherman, Suherman;LEONARDUS, Samodro Bintang A.M;Sukrisno, Sukrisno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4호
    • /
    • pp.51-63
    • /
    • 2022
  •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st a possible model tha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green investment, CSR disclosure, social collaboration initiatives, and firm distribution performance to deal with environmental change because it's become the major stakeholder since it affects increasingly global company performance index.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method was adopted. The 220 respondents were owners and managers of manufacturing enterprises from Indonesi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Partial Least Square (SmartPLS)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tool. Findings: The study's finding shows that green inves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SR disclosure, and CSR disclosur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collaborative initiatives and the firm's distribution performance. Similarly, social collaborative initiatives also significantly impact a firm's distribution performance. Limitations: This study uses variables that are still abstract and have not been able to regress the dimensions contained there into conclusion variables for each antecedent variable. In addition, this study only used a sample with a small scope, namely Central Java Province, Indonesia. Contribu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body of literature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upport the agency and stakeholder theories. For the practical contribution, this study provides the way to build and implement green-based investment strategies as a competitive edge and improve firm's distribution performance.

IT 분야 학술지의 연구 생산성 및 심사 효율성 분석 (The Analyses of Research Productivity and Review Efficiency for IT Related Journal)

  • 김기환;김인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3-107
    • /
    • 2014
  • Interests on collaborative research and academic relationship among researchers have been increased. Collaborative researchers can maximize productivity, time and cost savings, and reduce the risk of research. An empirical study on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co-authors' network and review efficiency of the reviewer network was conducted based on co-author networks and reviewer networks in Korea Society of IT Servic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uthor and reviewer networks, and to analyze research productivity and review efficiency in order to draw some implications. The meaning of interactions among professional groups was analyzed. Research productivity index was calculated using 728 authors' papers submitted to the socie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indicators of social network analysis on research productivity and review efficienc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As a result, the indicators of network centrality did not affect the review efficiency, but affect the research productivity.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알고리즘 연구 (Collaborative filtering-based recommendation algorithm research)

  • 이현창;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5-656
    • /
    • 2022
  • 추천 시스템을 위한 분석방법들 가운데 협업 필터링은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에서 주요 대표적 방법이다. 일반적 사용 방법은 다양한 아이템에 대해서 사용자들의 평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통적인 패턴을 찾으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선호 아이템을 추천하는 기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지표 측정에 활용하였으며, 사용자 선호에 대한 예측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찾아서 제시하였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ating Time and Values for Time-aware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 Soojung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75-82
    • /
    • 2023
  • 협력 필터링 시스템에서 추천 리스트의 고객 만족도를 위하여 시스템이 산출하는 항목 평가 예측치는 매우 중요하다. 시간 인지 기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의 평가 시간을 반영하여 예측치를 산출하는데, 대개 과거 평가치일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치에 대한 평가 시간의 영향력이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사용자의 평가 적극성 정도, 항목의 인기도, 그리고 항목 장르별로 사용자 평가치와 평가 시간의 상관도를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공개 데이터셋을 활용한 분석 결과, 특히 희소 데이터셋에서 각 요인에 따라 현저히 다른 상관지수 값을 얻었다. 따라서 평가 예측치에 대한 평가 시간의 영향력의 크기는 평가 데이터 밀집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다르게 책정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