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on 모델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7초

스마트 단말기 상의 기능적 지원을 위한 협업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f Collaboration Service Model for Supporting Functional Resources in Smart Device)

  • 송수미;윤용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5호
    • /
    • pp.161-170
    • /
    • 2015
  • 스마트 단말기가 확산되면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또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스마트 환경이 연구되고 있다. 스마트 환경에서 다수의 단말기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즉, 스마트 환경은 단말기 간의 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협업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사양 단말기의 재사용성을 높여 단말기 효율성 증대와 개인의 스마트 공간 구현에 도움이 되고자 데이터 콘텐츠 자원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기능 및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기능적 지원까지 가능한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스마트 단말기 협업 서비스라고 정의하였으며, 전체적인 서비스 모델 구성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을 증명하기 위하여 연락처 교환 및 카메라 기능 지원이 가능한 스마트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이 등장할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용하지 않았던 단말기까지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고, 개인 스마트 공간 구성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한다.

분류시스템 개발과정에서의 협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llaboration in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Practice)

  • 박옥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81-199
    • /
    • 2008
  • 본 연구는 실제 분류 시스템 개발자들의 행태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협력행태를 중심으로 협력의 유형,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협력이 분류 시스템 개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협력에 대한 이해가 분류 교육자, 연구자,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자료는 문헌조사, 현장인터뷰, 관찰법, 이메일의 방법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본 연구는 이미지 분류 시스템 개발팀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사회과정모델을 연구의 프레임워크로 채택하였다.

다자간 협업 환경에서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 합성 (Agent-based Service Composition in Multi-party Collaboration Environments)

  • 한상우;김종원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5호
    • /
    • pp.74-84
    • /
    • 2008
  •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지식 노동자들 간에 진보된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범위 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전통적인 회의실 기반의 협업 환경 (편리하지 못한 시청각 자료의 공유, 협업 도구의 어려운 조작 등)에서 이미 알려진 여러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념적인 프레임워크들이 설계되었다. 실용적이고 편리한 협업 환경 구성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 기반의 서비스 합성 모델을 개념적으로 설계한다. 사용자 입장에서 복잡한 협업 환경의 내부 구조를 알 필요 없이, 상위 수준의 작업 지시를 하면 협업 환경에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들을 자동적으로 발견하고, 연결하기 위한 모델을 설계한다. 본 서비스 합성 모델을 기반으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기반의 다자간 협업 환경관리 툴킷을 개발하여, 직관적인 GUI를 통해 협업 노드 상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설정,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들을 발견하고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현된 툴킷의 실용성을 실증하기 위하여, 개발된 툴킷을 기반으로 영상 회의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협업 서비스들을 구현한다.

인터넷 기반의 공동 작업을 위한 UML CASE 도구의 동작환경 구성방법 (Environment Configuration of UML CASE Tool for Internet based Collaboration Works)

  • 최환복;김윤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1-56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공동 작업을 지원하는 CASE 도구를 위한 동작환경 구성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산된 위치에서 모델 공유를 위한 공유방법을 정의하고 공동 모델 저장소를 구성한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작업 상황 비교를 위한 히스토리 기능 및 작성한 모델에 대해 책임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을 통한 작업자 관리를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동작환경 구성방법은 분산된 위치에서 협업이 가능한 CASE 도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목적인지를 반영한 협업 분류 모델 제안 (Proposing Collaboration Classification Model considering Collaboration Purpose Recognition)

  • 주정은;구상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3-211
    • /
    • 2014
  • In recent highly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collaboration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 strategies for companies to survive and/or prosper.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ollaboration strategies, and it is crucial for companies to select the right on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llaboration they require. To select the right type of collaboration options for business, in the past research, there have been two important criteria to classify collaboration types, namely governance (who makes key decisions - one kingpin participant or all players?) and membership (can anyone participate, or just select players?). In this research, we add a new classification criterion, recognition of collaboration purpose, which means whether collaborators know or do not know the purpose of collaboration in advance. Recently, we see many cases in which social media data are used in many unknown purposes a priori. In this research, we add such cases to develop new classification model.

분산 협업 환경에서의 콘텐츠 공유 모델 (Contents Sharing Model in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

  • 허혜정;이주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9-8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분산된 협업 환경을 통합하는 콘텐츠 공유 모델을 제안한다. 확장 가능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자원, 로컬 및 원격 콘텐츠 공유, 다중 사용자 상호작용 및 접근제어 특성들을 통합하여 결합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다중 사용자의 상호 작용은 모든 사용자가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그로 인해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오버랩을 관리하기 위해 접근 제어를 모델에 적용했으나 작업 흐름의 방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사항을 중점으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콘텐츠 공유 모델은 상호작용과 그 흐름을 방해 하지 않아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산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과학적 가시화를 위한 증강 협업 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Designing Amplified Collaboration Environments for Scientific Visualization)

  • 박경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535-542
    • /
    • 2005
  • 증강 협업 환경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그룹과 그룹간의 사용자들이 함께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작업 환경이다. 본 논문은 실시간 협력 작업 환경의 특징적인 공유 작업 공간 모델을 살펴본다 그리고 과학적 가시화를 위한 증강 협업 환경의 공유 작업 공간 모델을 검증하는 반복적인 디자인 실험연구를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원거리 사용자들의 협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강 협업 환경의 디스플레이 기술 설정을 바꿔가며 사용자 평가 실험이 진행되었다. 각 실험에서 두 개의 방에 두 명씩 분산된 그룹들에게 협업 가시화를 이용한 집중적인 분석 작업을 시켰다. 그 결과 다른 사람들의 작업 내용을 쉽게 볼 수 있는 고화질 작업환경의 항시 가시성이 분산된 구성원들 간의 상호 인지도와 협력에 도움이 되어 협업 능률을 향상시켰다.

구성주의 학습 방법을 통한 BIM/IPD협업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Learning Effect of BIM/IPD Through Constructivism Learning Method)

  • 진주완;최중식;김인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1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교육이론 기반의 BIM/IPD(통합프로젝트수행)교육에 적합한 BIM협업 교육모델제안과 그 교육모델의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BIM/IPD기반 협업능력은 건설 전 분야 걸쳐 필요한 역량으로 보고 있다. '구성주의 협업 프로세스' 교육 방식을 실험군(구성주의 협업프로세스)과 대조군(빌딩스마트 협회 BIM 코디네이터 과정)에 적용하여 학습 전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효과의 개선을 인지측정(협업의 만족도, 협업의 수준)하고 실무능력(협업고도화지수측정)측정을 통한 '구성주의 협업프로세스'의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산업간 융합 서비스모델 개발 방법론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Methodology for Inter-Industry Collaboration Service Model)

  • 류귀진;권혁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1-214
    • /
    • 2009
  • Today many corporations converge clients' needs and IT technology, and then they are developing new service model in order to survive global situation. The changes of manufacturing industry from simple manufacture to industry for focus on services is getting speeded up, because not only growth of service part but also enlargement in creating value in services is expected. And servic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knowledge based service and only manufacturing industry is important. In this situation, this thesis is willing to propose methodology for Inter-Industry Collaboration Service Model. The proposed methodology includes procedures which develops service model, plans for Inter-Industry Collaboration Service Model and evaluating framework. Also, this applied case studies. I look forward to offering useful guideline on the proposed methodology in this study to corporations that try to create new service model through Inter-Industry Collaboration Servic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