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emotional respons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2초

모바일 결제시스템 사용자의 정서적, 인지적 반응 과정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 process of mobile payment system users)

  • 박진희;박혜민;최훈;최유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94-595
    • /
    • 2022
  • 모바일 결제 시스템 이용자들의 지속적 사용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는 정서적, 인지적 반응 과정을 거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외부요인(사회적, 시스템, 서비스 특성)이 정서적 반응(즐거움, 정서적 신뢰)과 인지적 반응(인지적 신뢰)이 지속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SPSS와 PLS를 사용하여 구조적 모형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외부요인이 정서적 반응과 인지적 반응에 영향을 주고, 인지적 반응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급한식당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감정반응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Class Korean Restaurants' Servicescape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Intention to Revisit)

  • 김경미;조은혜;조용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59-16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class korean restaurants' servicescape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intention to revisi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and cognitive reactions and intention to revisit. A total of 21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space, aesthetics and comfortabl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reaction, and convenience and cleanliness were related to cognitive reac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intention to revisit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and cognitive reaction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ink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reaction, and feel, think, act and the related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gnitive reaction. Finally, cognitive re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revisi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high-class Korean restaurant marketers should introduce or strengthen servicescape, brand reputation and experiences, which increased brand attitude or revisit.

공공시설물에서 컬러 적용이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 사용자 감성반응의 부분매개효과 (The effect of color application on cognitive response in public facilitie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

  • 박성억;명성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54-1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방법이나 정보를 찾을 때 컬러에 의한 사용자의 인지반응의 속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대한 컬러적용이 정보인지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반응에 대해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의 정보인지 요인과 감성반응에 대해 연구하고 컬러적용의 중요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컬러적용이 인지반응에 직접적인 기여도가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감성반응이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컬러적용을 4가지 하위요인별로 적용하여보았을 때, 인지반응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것은 명확성이었으며, 주목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호텔 주방의 지각된 물리적 환경이 조리 종사자의 내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erceived Physical Environments of Hotel Kitchens on Cooking Employees' Internal Responses)

  • 허준;유택용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7-23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ived physical environments of hotel kitchens influence cooking employees' internal respon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except Hypothesis 2 which was rejected in this study, all the hypotheses were partially accepted. These results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es of this study that comfort, spatiality, and convenience as physical environments wi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motional response and cognitive response. Also, equipment use as conveni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both emotional response and cognitive response whereas working environment as comfort and kitchen circulation and working space as spatiality had no effect. Therefore, kitchen environment should be set up in the direction of guaranteeing kitchen convenience to the maximum, and the further researches on the constituent factors which have no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and cognitive response should be proceeded continuously.

  • PDF

모바일 간편결제시스템 사용의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 과정 연구 (User Response to Mobile Payment System: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pproaches)

  • 최유정;황보현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158-1164
    • /
    • 2022
  • 본 연구는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사용 의도를 형성하기 위해 신뢰가 구축되는 과정을 감성적 반응 과정과 인지적 반응 과정을 구분하고, 여러 외부 요인들이 각 반응 과정을 통해 지속적 사용 의도 즉, 행동적 반응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외부 요인은 사회적(사회적 규범, 이미지), 시스템적(간편성, 접근성), 사회적(보안성, 호환성) 특성으로 구분하고, 감성적 반응은 즐거움과 정서적 신뢰, 인지적 반응은 인지적 신뢰, 그리고 종속 변수는 지속 사용의도로 설정하고, 모형 분석을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아동의 정서적, 인지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mo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 김정진;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endencies and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4-year-old (N=60), 6-year-old (N=60) and 8-year-old (N=60) children. In each group, there were an equal number of boys and girls. Feshbach & Roe's child perspective-taking ability test was modified for this study. The test included four facial expression cards and six different stories inducing three types of emotion: happy, sad and angry.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a 3 (age) by 3 (emotional stories: happy, sad and angry) factorial design. The dependent measures were two response types: emo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increased with age. Happy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developed earlier than sad and angry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taking ability increased with age.

  • PDF

패션 크리에이터의 혁신성과 매력성이 소비자 반응 및 지속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1인 미디어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fashion creators' innovativeness and attractiveness on consumer response and orientation toward a sustainable relationship - Focusing on personal media -)

  • 이은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1호
    • /
    • pp.121-144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ashion creators' innovativeness and attractiveness on consumer response and orientation toward a sustainable relationship in personal medi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aged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experience in sharing video content or writing comments and participating in fashion creators' real-time broadcasting of personal media. The results show that the innovativeness of fashion creators was classified into originality, opinion leadership, variety, and adventurous spirit, while attractiveness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social, and professional attractiveness. Consumer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emotional or cognitive responses, and sustainable relationship orientation was classified into communication, sharing, and relationship sustainability. The originality and variety of the fashion creators positively affected the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of consumers. Adventurous spirit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response, whereas opinion leadership positively affected cognitive response. In addition, the social and professional attractiveness of fashion creators positively affected consumers'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positively affected consumers' sustainable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originality and opinion leadership of the fashion creators positively affected the three factors of sustainable relationship orientation, while variety positively affected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sustainability. Fashion creators' social and professional attractiveness positively affected the three factors of sustainable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physical attractiveness positively affected relationship sustain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on the direction of fashion startups using personal media and marketing as well as distribution strategies in the fashion industry.

영재 아동들의 인지 및 정서적 억제처리 과정: 스트룹 효과 및 정서 스트룹 효과 중심으로 (Cognitive and Emotional Inhibition Processes of Gifted Children: Word-color and Emotional Stroop Effects)

  • 남수린;남기춘;백연지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469-491
    • /
    • 2015
  • 본 연구는 영재아동들의 집행기능 중 억제처리과정을 폭넓게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억제처리과정을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처리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은 국내의 ${\times}{\times}$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영재아동들 총 100명(성별에 따라 남62 및 여38, 학년에 따라 초등46, 중등54)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인지적 요소가 포함된 억제처리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어-색상 스트룹 과제(word-color Stroop task)를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정서적 요소가 포함된 억제처리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 스트룹 과제(emotional Stroop task)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영재아동들은 억제처리 과정에서 인지적 자동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인지적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지적 비용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서적 요소가 포함되는 억제처리 과정에서는 간섭 비용이나 정서로 인한 인지편향이 유의하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재아동들의 인지적 억제처리와 정서적 억제처리가 동일한 기제가 아닌 구분되는 처리 양상임을 시사한다.

IAPS 자극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정서 평가 (Emotional Evaluation about IAPS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박태진;박선희
    • 인지과학
    • /
    • 제20권2호
    • /
    • pp.183-19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 반응을 측정하여 평가하는데 있다. 특히 Lang 등(2005)이 제작한 956장의 IAPS 그림자극 전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 정서 반응의 평가 척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 결과를 Lang 등(2005)이 제시한 미국인의 평가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IAPS 자극에 대한 각성과 정서가 반응 모두에서 한국인과 미국인은 서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는데,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IAPS 자극에 대해 더 높은 각성 반응과 덜 극단적인 정서반응을 보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두 나라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각성 반응을 보였다는 점은 일치했지만, 정서가 반응에 있어서는 한국 여성은 부정적으로, 미국 여성은 극단적으로 반응했다. 이 연구 결과는 정서 반응에 있어서 문화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IAPS 자극을 활용한 연구에서 이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Mothers' Responses)

  • 윤금숙;이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55-171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examine the emergence of complex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in 3 and 4 years old children, and secondly, to analyz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their mothers' responses. The subjects comprised 66 preschoolers(33 boys, 33 girls) and their mothers in J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in frustrating episodes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instrumental behaviors, cognitive reappraisal, distraction behaviors, and comforting behaviors. Second, the mother's responses to frustrating episodes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cognitive reappraisal, instrumental behaviors, comforting behaviors, and distraction behaviors. Third,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of the preschooler's strategies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mothers' responses to frustrating episodes were found to be of a similar patterns (e.g. preschoolers'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y and mothers' cognitive reappraisal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