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response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6초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 개관 (A Review of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Creativity)

  • 조수현
    • 인지과학
    • /
    • 제26권4호
    • /
    • pp.393-433
    • /
    • 2015
  • 창의성은 독창적이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현대 사회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류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창의성의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창의성은 매우 이질적이고 복합적인 능력으로서 이를 하나의 능력으로 개념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창의성의 개별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주요한 구성 요소인 확산적 사고, 통찰, 관계적 사고 그리고 예술적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들을 소개한다.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창의성의 인지신경학적 기전과 관련하여 우반구가 좌반구보다 우세하다는 가설은 실험적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창의성과 관련하여 특정 뇌 영역의 중요성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뇌 영역의 활동성이 창의성과 관계된다는 연구 결과가 혼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이한 연구 결과가 관찰되는 이유는 창의성의 각 구성 요소의 이질성 뿐 아니라, 연구에 사용된 과제의 특수성과 과제에 의해 유발된 인지적 전략의 차이에 의해 뇌 활동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요소 별 뇌기반과 창의성의 증진에 대하여 우수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룬 대표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 현행 연구들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부산지역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유병률 (Prevalenc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mong the Elderly in Busan)

  • 김정순;이수일;정영인;황인경;이봉숙;김민정;초의수;전진호;정인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1호
    • /
    • pp.63-70
    • /
    • 2003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elderly people, aged 65 or above,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Methods : Total of 1,101 old people, aged 65 or above, living in Busan as of December 31, 2001 were selected using stratified three-stage cluster sampling. Cognitive impairment was determined from the MMSE-K score, and dementia confirmed from five psychometric measures and the Barthel index. The crude prevalence, sex-age adjusted for the Korean population, were obtained. Results : With the cut-off point for cognitive impairment was set at 24 points, or below, on the MMSE-K scale, the crud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 was 29.3% (15.7% for men and 37.5% for women), and the sex-age adjusted prevalence was 30.5% (17.5% for men and 37.0% for women). When the cut-off point for cognitive impairment was set at 20 points, or below, on the MMSE-K scale, the crud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s were 10.0% (4.1% for men and 13.5% for women), and 10.6% (4.7% for men and 13.1% for women), respectively. The crude dementia, and the sex-age adjusted rates were 7.4% (2.4% for men and 10.5% for women), and 8.0% (2.7% for men and 10.0% for women),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this study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reported by othe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ur results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ime and space, diagnostic tools, response rates, and distribution of male and female subjects, etc.

종합 신경인지기능 평가(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FT)의 표준화 예비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 박진혁;김학병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55-69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 신경인지기능 평가인 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FT)의 표준화 자료를 얻고 신뢰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CNFT는 기억력, 집중력, 감각,운동협응, 전두엽 및 고위인지기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결과는 전산화되어 일관성 있고 자동으로 처리된다. 연구대상은 표준화 자료를 얻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에서 20대부터 80대 이상까지 서울특별시와 대구시에 거주하는 정상 성인 140명이 참여하였다.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에는 정상 성인 40명이 참여하였다. 결과 : 정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며, 반응속도는 늦어졌다. 또한 영역별 점수 분석결과 기억력, 전두엽 및 고위인지기능 점수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2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48~.85로 나타났고 두 검사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CNT와의 세부 영역과의 상관계수는 r=.67~.79이다(p<.05). 결론 : 종합 신경인지기능 평가인 CNFT의 표준자료와 해석기준이 마련되었다. CNFT는 인지기능에 문제를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평가도구이다.

인지부하 환경에서 호흡방식이 생체신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omparing Physiological Changes in Breathing Conditions during Cognitive Tasks)

  • 정주연;이영배;박현미;강창기
    • 감성과학
    • /
    • 제25권2호
    • /
    • pp.79-86
    • /
    • 2022
  • 대기오염 등의 영향으로 실내 활동 시간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뇌기능과 신체활동 측면에서 보다 건강한 실내 생활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한 고려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실내 산소의 농도와 호흡의 방법에 따라 인지능력과 생체신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보다 건강한 실내 일상생활을 제안하고자 한다.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공기 전달 시스템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산소마스크를 통해 흡입하도록 하였다. 호흡 방법과 산소농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피험자는 3가지 호흡(비강, 구강, 및 고농도 산소공급과 함께 구강 호흡)을 인지부하자극(눈 감은 휴식기, 눈 뜬 휴식기, 1-back 및 2-back 작업기억 과제) 별로 각각 수행하였다.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 정확도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호흡에 따른 인지부하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가지 호흡에서 모두 인지부하의 증가에 따라 심박동수는 유의하게 증가하면서 인지부하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생체신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강호흡에서는 분당 호흡 횟수가 인지부하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인지활동 시 구강호흡에서 부족한 산소공급을 보완하기 위한 생체신호의 변화를 확인하게 되었다. 반면 고농도 산소공급과 함께 수행한 구강호흡에서는 비강호흡과 같이 분당 호흡 횟수의 유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농도 산소공급이 구강호흡과 같이 비효율적인 산소 흡입이나 산소 농도가 부족한 환경에서 이를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자율신경계 변화까지 분석하여 인지 뿐만 아니라 심리에 미치는 영향까지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뇌과학 기반의 디즈니 애니메이션 흥행 예측 AI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sney Animation's Box-office Prediction AI Model Based on Brain Science)

  • 이종은;양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05-412
    • /
    • 2018
  • 영화 흥행의 예측이 필요한 시점은 영화 제작 전에 시나리오에 대한 투자를 결정하는 시점이다. 이런 요구에 따라 최근 인공지능 기반 시나리오 분석 서비스가 출시되었으나, 아직 그 알고리즘이 완벽하지는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뇌 작동 기작에 기반 하여, 영화 시나리오 흥행 예측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버의 자극 반응 법칙과 뇌의 자극 기작 이론 등을 적용하여, 디즈니 애니메이션 흥행작의 시각, 청각, 인지적 자극의 타임 스펙트럼 패턴 도출을 시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흥행작에서 나타난 뇌 자극의 빈도가 비 흥행작보다 약 1.79배가 많았다. 둘째로, 흥행작에서는 지각 자극 코드들이 타임 스펙트럼 상에 고른 분포를 보인 반면에 비흥행작에서는 집중 분포를 보였다. 셋째로, 흥행작에서는 인지적 부담이 큰 인지적 자극은 주로 단독적으로 등장한 반면에, 인지적 부담이 적은 시각적, 청각적 자극은 두 가지가 동시에 등장하였다.

밀도 개념 학습에서 자기 조절 전략과 인지 갈등 및 개념 변화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Self-Regulation Strategy,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in Learning Density)

  • 강석진;신숙희;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3-89
    • /
    • 2002
  • 본 연구는 밀도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고, 특성 및 상태 자기 조절 전략과 인지 갈등 및 개념 변화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특성 자기 조절 전략 검사, 선개념 검사,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를 실시하여, 제시한 초기 이론과 일치하는 선개념을 가진 146명을 선택하였다. 학생들이 과학적 원리를 학습한 후 상태 자기 조절 전략 검사와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특성 및 상태 자기 조절 전략의 하위 범주 점수들과 인지 갈등 정도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개념 검사 점수는 특성 계획, 특성 노력, 상태 계획, 상태 자기 점검, 상태 노력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상태 노력만이 개념 변화에 대한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알쯔하이머병과 소혈관성 치매에서 Donepezil 복용 후 K-MMSE의 변화와 의미 있는 K-MMSE 변화를 보이는 알쯔하이머병 환자의 특징 (The Change of K-MMSE Following Donepezil Medica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Small Vessel Dement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Alzheimer's Disease with Meaningful K-MMSE Change)

  • 곽용태;한일우;김준;이유상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98-106
    • /
    • 2005
  • Objectives:Donepezil is a widely used drug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A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the effica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rs to donepezil. Methods:Patients with probable AD(n=80;75.7 years) and small vessel dementia(SVD)(n=18;77.8 years) who received donepezil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using Alzheimer's registry, and three questions were asked:1) Does donepezil therapy improves cognit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dementia? 2) If donepezil improves cognitive symptoms, which items of the K-MMSE are improved? 3)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r to donepezil medication? Results:1) After donepezil medication, cognitive function measured by the K-MMS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types of dementia(AD and SVD), However,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se groups. 2) In a clinical trial of donepezil, the patients performed better than before mediation on K-MMSE items assessing orientation, recall, construction, concentration, calculation. 3) In AD, the K-MMSE score before medica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response of donepezil.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donepezil improves various cognitive functions in both types of dementia, and the responsiv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K-MMSE scores than the non-responsive group before medication.

  • PDF

식음 공간 디자인의 심미적 평가 반응 -지각적.감정적 판단에 따른 미적 변수와 선호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Evaluative Response of Eating and Drinking Space Design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esthetic Variables and Preference by Perceptual-Cognitive and Affective Judgment-)

  • 최은희;권영걸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32
    • /
    • 2007
  • 디자인의 심미적 요인은 물리적, 기능적, 행태적, 경제적 요인에 비해 정량적으로 측정되거나 평가되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만 심미적 요인들은 디자인 조형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심미적 가치평가나 심미적 영향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상업 공간디자인의 시각적 선호도와 지각적-인지적, 감정적 차원의 미적 변수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실증 조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업 공간디자인의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통일', '질서', '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기분 좋은', '편안한'을 들 수 있다. 반면, 선호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대비', 복잡성', 그리고 명료성의 반대 개념인 '불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호기심 있는', '긴장되는'을 들 수 있다.

  • PDF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의 응답에 관한 인지면접연구 (Response Experiences with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 A Qualitative Study using Cognitive Interview)

  • 이경실;이명선;정효지;백희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6호
    • /
    • pp.566-5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how individuals reflect on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foods that they consume. Participants selected 5 males and 15 females aged 30 years or older were first interviewed on the frequency of their food consumption. Then based on this data, they were given a cognitive interview using the method of verbal proving. The individual cognitiv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consent while being conducted after complete approval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ion Review Board. The recorded material was evaluated using a thematic analysis after transcribing them into text. By analyzing stages of reflection, the major barriers to make the device difficult are revealed: 1) More difficulty in remembering events over the course of a full year due to diversification in the types of food that people consume 2) difficulty calculating the average for seasonal foods 3) difficulty estimating the amount of consumption from the photos presented 4) difficulty estimating amount of consumption from the quantity presented 5) difficulty processing foods that people think are healthy and foods are unhealthy simultaneously 6) difficulty having to consider foods where target food goes in as an ingredient; 7) difficulties arising from having to increase frequency when the amount consumed is higher than the quantity that is presented 8) difficulty having to combine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each food item when numerous foods are clustered into one category.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less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cooking, the more diverse their eating habits were, and the more they tried to adhere to rules of filling out the questionnaire, the more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come up with an answer to the question being asked. It therefore seems necessary to construct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at is attentive to these problems that arise from the recall stages.

건강통제위 개념의 국내 간호연구 분석 (Health Locus of control : A Review of the Nursing Research in Korea)

  • 이은희;임숙빈;김인자;이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4-712
    • /
    • 1993
  • A number of nursing researchers have used the concept of health locus of control over the past decade in Korea. This article reviewed 92 nursing research papers on health locus of control conducted since 1982, and examined type of subjects, design, measurement instruments, the scores of each dimension of the HLOC, and significant variables. Most of the research were correlational in design, used an 18-item 6-point score instrument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HLOC, health re-lated variables, and cognitive-emotional variables, The health related variables included health behavior, health management, preventive health behavior, compliance to treatment regimen and self care behavior The cognitive-emotional variables included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self- esteem. Some consistent findings are beginning to emerge. The concept of internal HLO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alth related variables. But few studies found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owerful others HLOC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In the case of chance HLOC, few studies repor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Many of the articles report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HLOC and cognitive-emotional variables, but few repor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werful others or chance HLOC and cognitive -emotional variables. all experimental studies but one found that only internal HLOC was significantly changed following experimental manipulation. When the different groups of subjects such as normal persons, chronic patients, acute patie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mean scores, it was found that the HLOC appeared to change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patien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include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about the pattern of response suggested by Wallston and Wallston(1982) and further experimental study on changing the belief of subjects to internal HLOC.

  • PDF